• Title/Summary/Keyword: 웹 응용

Search Result 1,49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dentifying Platform Independent Elements of Web Applications (웹 응용의 플랫폼 독립적인 구성요소 식별)

  • 정우성;이기열;이병정;김희천;이종석;우치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85-387
    • /
    • 2004
  • 웹 응용은 서로 의존관계를 가지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복잡하게 뒤섞여 있기 때문에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어렵고 개발을 병행하거나 유지보수를 하는 과정에서 않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 응용의 구성요소들을 아키텍쳐 관점에서 모델링하여 관계형 집합으로 표현하고 종속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관련 구성요소들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나누는데 필요한 프로토콜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웹 응용 아키텍쳐 정보는 관계형 집합으로 DBMS에 테이블로 저장되는 경우 SQL문을 통하여 항해나 패턴 분석, 기타 설계단계에서 웹 응용에 대한 다양한 질의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요소 정보는 기존의 웬 응용으로부터 역공학을 통해 얻을 수도 있으며, 재구조화를 통해 재공학의 도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 향후 추상화 아키텍쳐를 구체적인 릴 기술과 매핑시킬 경우 자동화를 통해 구현에 필요한 기초 코드를 생성하는데 응용될 수도 있다.

  • PDF

The Standardization Trend of DCCI (DCCI 표준 기술 동향)

  • Lee, Won-Suk;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9-932
    • /
    • 2008
  •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는 2007년 상반기부터 웹 기술을 PC를 넘어 휴대폰, PDA, 정보가전, 로봇 등 모든 디바이스로 적용이 확대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웹 응용을 위한 표준 개발을 시작하였다. 이를 담당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웹 응용 워킹그룹은 탁상용 컴퓨터뿐 아니라 사무용품, 가정 매체 기구, 이동 전화, RFID나 바코드를 포함하는 센서나 이펙터(effector) 등의 유비쿼터스 기기들이 다양하게 흩어져 있는 환경에서 쉽게 웹 응용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 워킹그룹의 활동의 중요한 표준화 아이템 중의 하나는 Delivery Context: Client Interfaces(DCCI)로 이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의 접근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이다. DCCI가 중요한 이유는 현재 웹 환경에서 오픈 API를 이용하여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매쉬업 응용에 GPS와 같은 단말을 기능을 매쉬업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W3C의 UWA(Ubiquitous Web Application) WG에서 추진되고 있는 DCCI에 대한 표준화 동향을 설명한다.

  • PDF

A Web Based Multicast Multimedia Application (웹 기반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응용)

  • Sin, Myeong-Gi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2
    • /
    • pp.3194-3205
    • /
    • 1998
  • 본 논문은 웹 브라우저만을 사용하여 MBond 세션에 참가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음매 없이 수신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웹 응용에 관해 기술한다. 본 응용은 웹 상에서 세션 발견을 위해, SDP, S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HTML 세션 페이지를 생성시키고, 실시간 스트림의 수신을 위해 RTP 프로토콜을 웹 구조에 통합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웹 상의 RTP 재생은 넷스케이프 플러그인 방식과 자바 애플릿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넷스케이프 플러그인은 수신측의 지연버퍼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최소한의 품질을 보장하도록 구현하였으며, 애플릿 방식은 플랫폼-독립적이며, 새로운 미디어의 확장이나 업그레이드를 위해 추가적인 프로그램을 인스톨 해야 하는 불필요함을 없앨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접근 방식은 핫자바 브라우저 상에서 프로토타입핑 되어, 앞으로의 차세대 인터넷 멀티캐스트 환경에 적용될 새로운 응용이나 미디어를 위한 이상적이고 확장성을 지닌 솔루션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구조에서 멀티캐스트 미디어의 확장성을 보이기 위해 멀티캐스트를 통한 HTML 문서의 분배라를 새로운 응용 구조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Tools for WebCL (WebCL을 지원하기 위한 개발도구에 관한 연구)

  • Yoon, Seok-Jin;Kim, Do-Hyung;Lee,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662-1663
    • /
    • 2015
  • 1989년 웹 기술이 등장한 이래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HTML5 까지 정의되었다. 웹 기술만을 사용하여 네이티브 응용을 대체하여 개발하려는 경향이 생겨났으며 이에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GPGPU를 활용하는 방법이 모색되어왔다. WebCL은 자바스크립트에서 OpenCL을 활용하기 위한 표준이며 크로노스 그룹에서 최근 표준화 되었다. 고속화 웹 응용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C 기반의 커널코드를 작성해야 하며 개발시에 이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커널 코드 작성을 위한 C 편집기를 기존의 도구에 통합시키고 개발 시점에서 온라인 컴파일을 통하여 사전 검증할 수 있게 지원하려고 한다. 또한 웹 응용을 타켓 디바이스에서 실행시켜 볼 수 있는 웹 응용 실행 관리를 지원한다. 향후 WebCL 개발을 지원하는 도구의 등장으로 웹 고속화 응용이 많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ramework for Construction of Applied Web GIS (응용 웹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Kim, Jae-Hong;Kim, Sung-Hee;Bae, Hae-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1 s.3
    • /
    • pp.43-55
    • /
    • 2000
  • Because the complexity in the development pha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s hard to change its operation or user interface after the development. So we should develop most part of the applied GIS even though previous GIS is almost exist. In other words, reusing the previous system is not easy. Therefore, its required to research reusable GIS for easy construction of applied GIS. This thesis describ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GIS framework which makes applied web GIS development more easy. Framework is software library composed of reusable units such like classes and objects. Proposed web GIS framework Provides basic web GIS functionalities and execution design to web GIS developers. They could extend the framework to build applied web GIS with applied operation and user interface. The development of applied web GIS could be archived by various tools used for general web application development.

  • PDF

Trends on Standardizations of HTML5 based Web Platform Technology (HTML5 기반의 웹 플랫폼 기술 표준화 동향)

  • Jeon, J.H.;Lee, S.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4
    • /
    • pp.83-95
    • /
    • 2012
  • 웹은 초기에 단순히 정적인 문서 형태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과 서로 다른 원격 데이터들을 연결하는 기술로 진화하였고, 이제는 단말의 HW을 제어하고 연결하는 단계를 넘어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로도 발전하고 있다. 이제 웹은 단지 개별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서가 아니라, 다양한 응용과 서비스를 연동하고 제공하기 위한 명실상부한 플랫폼이 되어가고 있다. 기술적으로도 과거 웹 기술이 단지 브라우저와 서버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최근에는 HTML5를 중심으로 리치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시스템 API 기술, 서비스 플랫폼 기술, 웹 운영체제 기술들과 같은 플랫폼 지향적인 기술개발 및 제품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웹 플랫폼 기술과 웹 응용 기술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피고, 향후 웹 플랫폼과 웹 응용 기술이 해결해야 할 이슈들과 나아갈 방향들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n X-Internet Based Applications and Web Applications (X-Internet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웹 어플리케이션의 성능평가)

  • Lee, Woo-Key;Lee, Jeong-Hoon;Yoon, Seok-Ho;Cha, Chang-Il;Choi,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67-70
    • /
    • 2005
  • 최근 응용 프로그램은 대다수가 웹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은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업들이 배포 및 유지보수가 쉬운 웹 응용프로그램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조건을 웹 응용 프로그램이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기업은 앞 다투어서 새로운 인터넷 구조인X-Internet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출시하고 있으면 기업들도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본 논문은 X-Internet 기반의 응용프로그램과 웹 응용프로그램의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X-Internet 기술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a Web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웹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의 구현)

  • Lee, Gang-U;Kim, Hyeong-Ju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5 no.5
    • /
    • pp.533-542
    • /
    • 1999
  • 웹은 지금까지의 문자 위주의 응용에서 벗어나, 그림,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점차 많은 응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데이타베이스와 웹의 연동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양질의 웹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웹 통로에 대한 많은 연구로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웹과 데이타베이스의 연동에 있어 필요한 웹 트랜잭션 처리시 발생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연구결과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웹 통로에서 웹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시스템인 WebTP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WebTP는 워크, 워크-전역변수 등을 도입하여, 웹 응용 단위에서의 저장점 설치와 부분 철회와 트랜잭션 상태 관리 기법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구조적인 웹 응용작성이 가능토록 하여, 복잡한 웹 응용 개발을 돕는다.Abstract Enabling users to access multi-media data like images and motion picture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text-based data, Web becomes a popular platform for various applications.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paid a large amount of works on integrating Web and databa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Web services, and have produced many noticeable results on this area. However, no enough research results have been presented on processing Web transactions that are essential in integrating Web and databases.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WebTP, which is a Web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for Web gateways to databases. WebTP, by introducing work and work-global-variables, provides a more robust state management, supports application-level savepoints and partial rollbacks. It also nhances productity by providing a modular way to develop Web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