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검색어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of Users' Inflow Route and Search Terms of the Korea National Archives' Web Site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유입경로와 이용자 검색어 분석)

  • Jin, Ju Yeong;Rieh, H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1
    • /
    • pp.183-203
    • /
    • 2018
  • As the users' information use environment changes to the Web, the archives are providing more services on the Web than b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users' recent inflow route and the highly ranked 100 search terms of each month for 10 and half years in the Web site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suggests suitable inform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 inflow route could be divided into access from portal site, by country, from related institutions, and via mobile plat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arch terms of users for the last 10 and half years,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term turned out to be 'Land Survey Register', which was also the search term that was searched for with steady interests for 10 and half years. Also, other government documents or official gazettes were of great interests to users. As results of identifying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and steadily searched terms, we were able to categorize the search terms largely in terms of l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records management and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strengthening connec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Web site with portal sites and mobile, and upgrading and improving search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nalysis of Web log and user search terms would yield meaningful results that could enhance the user services in archives.

Elementary Educational Contents Retrieval System Using Semantic Web Technology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자료 검색 시스템)

  • Lee, Hee-Kyoung;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22-630
    • /
    • 2004
  • 웹의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웹을 통한 자료의 검색이 증가하고 있으나, 웹상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학습자가 꼭 필요한 학습자료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검색엔진을 이용하면 원하는 정보를 어느 정도 찾을 수 있으나 사용자 의존적인 검색엔진의 특성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도 있으며 연관이 없는 정보를 필터링하기 위해 최종적인 내용을 찾기까지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털 연구에서는 자원의 의미정보를 구조화하여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통합,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맨틱 웹 (Semantic Web)기술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습자료에 적합한 온톨로지 (Ontology)를 구축하여 이를 기반으로 초등학교 학습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검색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료와 연관된 사용자 질의어를 보다 상세하게 입력받는다. 둘째, 사용자 질의어를 바탕으로 온톨로지에 질의하여 검색결과를 얻는다. 셋째,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분석하여 요구된 의미에 적합한 자료만을 검색결과로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Phrase-based Indexing (구 기반 색인 시스템의 구현)

  • Lee, Chung-Hee;Kim, Hyun-Jin;Jang, Myung-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63-69
    • /
    • 2001
  • 정보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위수준의 색인 정보를 이용한 검색 기법이 요구된다. 상위수준의 색인을 하기 위해서는 구문 분석을 이용할 필요가 있지만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 웹 검색에서는 웹 폐이지 자체의 오류 때문에 구문 분석을 할 때 실패할 확률이 높으므로 견고한 구문 분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구, 문장에 기반한 색인 기법 및 기존 색인 방법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시스템은 5가지 방법의 색인 기법을 사용한다. 각 색인 기법은 적용될 분야 또는 범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색인 기법은 1)명사 색인 2)명사+용언 색인 3)명사+용언+문장정보 색인 4)명사구 색인 5)중심어-종속어(Head-Modifier) 색인으로 나누어진다. 색인 기법 중 4와 5의 경우, 구문 분석된 결과를 사용하여 특정 명사구 및 중심어-종속어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문서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고 그러므로 정보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반 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Resolving Ambiquity in search query by using the WordNet (워드넷을 이용한 검색 질의어의 모호성 해결)

  • 김형일;김준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75-77
    • /
    • 2000
  • 방대한 웹에서의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얻어내기란 매우 어렵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은 내용기반 방식을 이용하므로, 검색 질의어의 모호성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질의어들은 다의어로 표현되는 것이 빈번히 나타나지만, 사용자가 나타내고 싶어하는 질의어의 정확한 의미에 대하여서는 검색엔진 자체로써는 해결할 수 없다. 특히,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 어휘의 의미를 가지고 검색엔진에 질의를 할 경우, 질의어의 형태만 같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어휘의 의미와 관련 있는 웹 페이지들만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명시적 반응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워드넷(WordNet)을 이용하여 질의어의 모호성 해결하였다.

  • PDF

An Elementary Educational Contents Retrieval System Using Semantic Web (시맨틱웹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자료 검색시스템)

  • Lee, Hee-Kyoung;Jun, Woo-Chu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3A no.6 s.103
    • /
    • pp.545-554
    • /
    • 2006
  • Although the current Web search engines provide tremendous information, it is hard to find right information among the huge information. Users need to spend extra time to filter out unnecessary infor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current Web search engines, Semantic Web was developed to provide efficient search, integration, and reuse of information by structuring semantic information from Web resources. In this paper, an elementary education contents retrieval system using Semantic Web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emphasizes history contents that have high relevancy among data. For construction of the proposed system, ontology is proposed first for elementary study contents and ontology for historical contents is proposed for easy access to those contents using semantic relation among them. Based on the ontology,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system provides various query formats in detail so that search results can be refined efficiently. Second, the system presents only semantically information connected with key words or including key words using study contents ontology. Finally, the proposed system can increase study effects by presenting various contents that are related with query by users.

Finding Correlated Keyword b Analyzing User's Implicit Feedback (사용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검색어 조합 추출)

  • Chul-Woo Shim;Eun Ju Lee;Ung-M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29-232
    • /
    • 2008
  • 웹 정보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는 검색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색 질의어와 함께 사용자의 환경, 검색 만족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사용자의 명시적 피드백을 요구하는 것은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잠재적 피드백과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 검색 질의어를 확장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어 확장과 검색 정확성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이 없어 연관 검색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검색 질의어를 변경하면서 검색을 반복하는 과정을 사용자의 잠재적 피드백의 하나로 보고 사용자 만족도를 반영하는 페이지 방문 시간과 함께 분석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된 검색어가 검색 결과 순위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우스 클릭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검색 만족도를 정량화하였고 특정 주제어에서 관련 검색어가 확장되어 가는 과정은 트리 구조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제어와 관련해 연속적으로 입력된 검색어 집합으로부터 연관검색어를 추출하고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안된 트리 구조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석하여 검색어, 검색 결과, 사용자 만족도, 배경 지식 등 단순 검색어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Cross-Lingual Text Retrieval Based on a Knowledge Base (지식베이스에 기반한 다언어 문서 검색)

  • Choi, Myeong-Bok;Jo, J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0 no.1
    • /
    • pp.21-32
    • /
    • 2010
  • User query formation highly acts o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retrieval when we retrieve documents from the general domain as a web. This thesis proposes a intelligen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based on a cross-lingual knowledge base to effectively perform a cross-lingual text retrieval from the web. The inferred knowledge from the cross-lingual knowledge base helps user's word association to make up user query easily and exactly for effective cross-lingual text information retrieval. This thesis develops user's query reformation algorithm and experiments it with Korean and English web.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based on the proposed knowledge base is much more effective than without knowledge base in the cross-lingual text retrieval.

Mathematical Equation Retrieval by Converting Plaintext Queries into MathML Terms (평문 질의어 MathML 용어 변환을 이용한 수학식 검색)

  • Lee, Jun-Young;Yang, Seon;Ko, Young-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12-314
    • /
    • 2012
  • 본 논문은 한글로 입력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웹상의 MathML (Mathematical Markup Language) 수학식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웹상의 수학식은 과거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대부분 MathML과 같은 수학식 표현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식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를 알고 있거나 수식 입력 툴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수학식 검색을 하는 데에는 제약점이 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전통적인 검색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마크업 언어가 아닌 일반 평문으로 작성된 질의어를 입력하여 수학식을 검색 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평문 질의어를 MathML 표현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질의어로 입력될 수 있는 다양한 수학식 표현을 미리 구축한 사전을 이용하여 MathML 표현으로 변환하는 간결한 기법만으로도 MRR 0.495 의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An Information Retrieval Model based on an Ergodic Markov Model (Ergodic Markov Model을 이용한 정보 검색 모델)

  • Kang, In-Ho;Lee, Yeo-Jin;Han, Young-S.;Kim, Gil-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57-62
    • /
    • 2001
  • 인터넷의 급속한 양적 증가로 인해 색인어 기반의 검색 방식만으로는 원하는 정보를 찾아 내기가 쉽지 않다. 색인어 기반의 검색 방식에서는 색인어로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이용할 수 없으며, 질적으로 균등한 검색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트의 여러 가지 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해놓은 웹 디렉토리를 이용하거나, 관련 전문가들의 추천 리스트를 이용하여 검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색인어 기반의 검색 모델에 웹 디렉토리와 추천 문서 같은 문서간의 링크 정보를 결합할 수 있는 정보 검색 모델을 제시한다. 특정 질의어의 검색 결과로 얻어낸 문서와 그 문서와 연결된 문서 집합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 네트워크에 검색기가 제시하는 순위와 유사도, 그리고 문서간의 링크 정도를 이용해서 확률값을 정해준다. 그리고 Ergodic Markov Model의 특성을 이용하여 색인어 정보와 링크 정보를 결합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문서가 질의어에 부합되는 정도를 사용자가 그 문서로 이동할 확률값으로 계산하는 방식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Ontology-Based Semantic Search System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 시스템에 대한 연구)

  • Heo, Sun-Young;Kim, Eun-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63-466
    • /
    • 2007
  • 현재 웹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 기반 검색은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정보까지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최근 시맨틱 웹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검색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시맨틱 검색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자료 수집을 하는 로봇 에이전트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자료를 검색하는 시맨틱 검색 엔진으로 구성된다. 로봇 에이전트는 자율적으로 웹을 순회하면서 자료를 수집하고 필터링하여 메타데이터 저장소로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시맨틱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검색 폼으로부터 전달된 정보 검색 요구사항을 기초로 시맨틱 질의어로 변환한 후, 온톨로지 저장소를 활용하여 검색한다. 시맨틱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시맨틱 질의어로 변환해 주는 질의처리 모듈과 사용자의 의도를 추론하여 보다 향상된 검색을 가능하게 해주는 추론(Inference) 모듈, 온톨로지를 보관해주는 온톨로지 저장소 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기반 검색에 비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 주고,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