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퍼지 이론을 이용한 웹기반 학습오인 진단 시스템

  • 백현기;이현노;고영춘;하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4.06a
    • /
    • pp.15-24
    • /
    • 2004
  • 본 논문은 be동사에 관한 학생들의 영어개념 이해에서 발생되는 오인을 진단할 수 잇는 학습오인 진단 시스템을 제시한다. 학습오인 진단 시스템에서 퍼지 인진 맵은 영어에 대한 학생들이 가지는 선입개념들과 오인들을 인과관계로 표현하며, 개념간의 인과관계를 기억할 수 있는 퍼지 연상 메모리를 통하여 오인의 원인들을 진단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습 오인을 진단하는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며, 교육분야의 다양한 영역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진단을 위한 학습오인 진단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Effect of PBL applied On-line Debating System.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 시스템을 적용한 사이버 토론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 Seo, Seong-Won;Park, Sang-Tae;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97-400
    • /
    • 2013
  • This research examines how e-PBL system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applying it to "Science Cyber Conference" participants for 16 weeks. Participants' perception of PBL class process was also looked. After applying PBL program, participa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s effectively changed statistically(p<.05). Especially, it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6 area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ut of 7. Participants also showed positive response to PBL program (p<.05).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정효숙;전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83-585
    • /
    • 2000
  • 과학 문명의 발달은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폭발적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자연 환경을 함부로 파괴하게 되었고 인류의 삶의 터전을 회복불능의 상태로 만들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이를 회복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고 올바른 태도를 기르는 환경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대부분 인지적 측면만을 지고하고 있어 환경보전 인식의 내면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웹을 교육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정보의 수용이 아니라, 학생들의 연구에 의한 학습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어 교사의 지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개인 또는 학급내 및 타 학급간의 협력을 전제로 환경을 탐구하고 환경 문제를 발견하며 이를 해결해 나가는 환경교육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러한 웹 학습 공간을 마련하여 학습자가 다양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한 협력 학습을 함으로써 이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환경보전을 실천하는 기틀을 다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BL Environment Applied by the Messaging Component (메시징 컴포넌트를 적용한 웹 기반 학습 환경의 설계 및 구현)

  • Byun, Kil-Ho;Kim, Young-Tae;Im, Kyoung-Mi;Kim, Ch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513-1516
    • /
    • 2000
  • 인터넷 사용자의 비약적인 증가와 발전에 따라 교육공학에 있어서도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웹 기반 학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하나의 교육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웹을 기반으로 한 수많은 학습 사이트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및 웹 기반 학습 이론에 충실하면서, 구조적이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학습[WBL]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 기반 학습 사이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모듈 사이에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학습자의 학습을 관리해 줌으로써, 학습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학습 환경을 구현하였다. 또한 UML 방법론을 사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메시징 컴포넌트를 구현 및 이용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교사-학습자간, 학습자-학습자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다른 웹 기반 학습 사이트에서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n Internet Course Scheduling Multi-agent System for Learners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코스 스케줄링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이종희;김태석;이근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19-723
    • /
    • 2001
  • 웹기반 교육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강좌는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컴퓨터 교육 시스템 분야의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기반 교육시스템의 보급과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대에 따른 교육서비스를 응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습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들이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지만,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이를 운영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등록한 모든 학생들이 대면하게 되는 상황을 모두 접수하고, 그들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코스 구성 및 스케줄을 제공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방법과 코스 구성, 그리고 코스 스케줄 등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에이전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학습 평가에 의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 스케쥴을 제공해 주는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scheduling Agent System for Internet Courseware (인터넷 코스웨어 자동 스케쥴링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태석;이종희;오해석;이근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83-585
    • /
    • 2001
  • 최근 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웹기반 교육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강좌는 컴퓨터 교육 시스템 분야의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기반 교육시스템의 보급과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대에 따른 교육서비스를 응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습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들이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지만,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이를 운영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등록한 모든 학생들이 대면하게 되는 상황을 모두 접수하고, 그들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코스 구성 및 스케줄을 제공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방법과 코스 구성, 그리고 코스 스케줄 등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에이전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학습 평가에 의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 스케줄을 제공해 주는 코스 스케줄링 멀티 에이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Kwak, Min-Hee;Yoo, Ju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2
    • /
    • pp.74-86
    • /
    • 2004
  • The effect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Four classes of 9th grade at a coed middle school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b-based project instruction in which students utilized the Web to interactively carry out their projects was put into practic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instruction was employed with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achievement and attitude scores were estimated through an analysis of covariance. Web-based project instruction was seen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In particular, the former instruction was most useful for improving higher level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among the higher, middle, and lower level students of both groups, based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effect of Web-based project may result in eradicating negative cognition about gender difference.

A Proposal of Motion Recognition-based Video Search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이용한 동작인식 동영상 검색시스템 제안)

  • Seo, Won-Seoung;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63-464
    • /
    • 2019
  • 본 논문은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아두이노와 시리얼통신을 통한 사용자의 동작인식을 이용해 보다 간단하게 인터넷상의 원하는 동영상을 찾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 검색시스템은 Python을 기반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패턴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입력받아 문자를 예측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검색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우선 문자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입력을 통해 학습 데이터 셋을 만들어야 하며 그것을 SVM을 이용하여 학습 모델과 식별자를 만들고, 만들어진 분류기를 통하여 동작인식을 바탕으로 문자의 결과를 예측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동작인식을 거쳐 만들어진 문자열을 이용해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인 Youtube를 통해 웹 크롤링하여 문자열과 관련 있는 동영상을 찾아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for Web-based NIE (웹기반 신문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소인미;이은숙;이지근;김희숙;정석태;정성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758-762
    • /
    • 2002
  • NIE(Newspaper-In-Education)는 신문을 활용한 교육을 말한다. NIE가 기존의 교육에 비하여 다양한 가치 인식을 통한 사회성 확립과 아울러 독해력과 작문력 향상, 정보 활용 능력의 육성 등의 장점이 있어서 교육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NIE는 기사 스크랩의 번거로움, 복사 사용으로 인한 판독의 어려움, 전문용어에 대한 지도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NIE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한다. 웹 기반 NIE는 신문활용교육의 장을 교실과 가정에서 그대로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옮겨온 것이다. 인터넷 신문을 통해 다양한 신문의 기사와 정보를 접하고, 분석하며 기존의 워크북(workbook)에서 하던 NIE 활동을 그대로 웹 기반으로 옳긴 것이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웹 기반 NIE 교수-학습시스템은 신문지면을 준비하는 문제에 구애받지 않고, 전문용어에 대한 실시간 검색을 통한 빠른 이해와 다른 사람의 NIE 작품을 비교할 수 있는 둥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NIE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n-line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Learning System(RVCLS) for Web-based Project Learning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지원하는 실시간 화상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Choi, Gil-Su;Kim,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7 no.1
    • /
    • pp.80-90
    • /
    • 2003
  • In this paper, we designed the on-line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Learning System(RVCLS) for Web-based project learning and develop programs for test groups. And we have also analyzed how the Web-based learning using RVCLS chang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classroom environment, using the WIHIC which is the classroom environment examination tool As a result,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activities using RVCLS had affirmative effects on the eight areas of classroom environment such as students unity, teacher support, participation in class, spontaneity, exploration activities, task-oriented mind, cooperative attitude, and equality. Also, the web -based project learning using RVCLS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enha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increase abilities to use I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