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기반 학습시스템

Search Result 762,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Programming Languages Practice (프로그래밍 언어 실습을 위한 웹기반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eong Chan-Seon;Chung Kwang-Sik;Shon Jin-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247-249
    • /
    • 2006
  • 프로그래밍 언어 실습을 위해 일반적으로 실습 소프트웨어를 여러 대의 PC에 개별적으로 설치하거나, 실습 소프트웨어를 특정 서버에 설치한 후 라이센스를 받아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자의 수를 제한 받게 되는데, 이러한 모든 경우들에는 지정된 장소에서만 실습을 해야 하는 문제점과 실습자 수의 제한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습 소프트웨어 1본을 서버에 설치한 후 인터넷이 가능한 어떠한 장소에서 다수의 학습자가 프로그래밍 실습을 할 수 있도록 웹기반 학습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웹기반 학습시스템에서 학습자가 인터프리팅 또는 컴파일링, 실행 등을 요청할 때에만 실습 소프트웨어를 점유하기 때문에 접속자 수의 제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웹기반 학습시스템은 실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예제 프로그램과 그에 대한 동영상 설명, 학습자의 학습 이력,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그에 대한 참고자료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PDF

Dynamic Generation of Courseware in the Web-based ITS (웹 기반 ITS에서의 동적 코스웨어 생성)

  • 김정화;우종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59-561
    • /
    • 2001
  • 현재 웹 기반 교육시스템 (Web-based Educational System WES)은 웹이 플랫폼 독립적이라는 점과 장소와 시간에 대해 자유롭다는 점을 가지고 급성장하고 있으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초기의 WES 시스템들은 코스웨어의 정적인 구성과 상호작용성의 부족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적응력 있는 학습을 제시하는 연구 방향과 기존 단독형 ITS에서 연구된 결과를 웹 기반으로 적용하려는 두 가지 연구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ITS의 연구결과를 웹 기반 시스템에 적용하여 보다 지능적이며, 적응력 있는 웹 기반 교육시스템을 목표로 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시스템의 여러 모듈 중, 교수 계획기의 설계 및 구현을 설명한다. 또한, 교수 계획기는 학습의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가 학습상황을 시각적으로 선택 및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curriculum map 개념으로 설계되었다.

  • PDF

Design of Efficient Simulation-based Contents at e-Learning (이러닝에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 Lee J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5
    • /
    • pp.325-333
    • /
    • 2005
  • When a designer creates a new web-based learning-teaching system, there are so many considerations to help learners' learning effect through effective interaction. First of all, web-based simulation is recommended to provide learners with effective and att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in web. Efficient study design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well designed simulation-based contents provide continuous interest for learner. Until now many e-Learning systems provide web-based simulation using various technique. However, those contents require to be reorganized considering the level of accomplishment, learning styles. In this paper, I proposed a system that the learners can share simulation objects among other e-Learning systems using XML web service. By experimental result, the proposed system shows that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system in the self-leading study activity and interactivity.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Real time Quiz-game Type Learning System for Multi-Learner Interaction (다중 학습자 상호작용을 위한 웹기반 실시간 퀴즈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Jong-Jin;Kim, Byeong-Su;Kim, J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5 no.3
    • /
    • pp.351-363
    • /
    • 2001
  • The established Web Based Learning System had not encouraged Multi-Learner Interaction. The System for Multi-Learner Interaction proposed an alternative measure. By now, this System for Multi-Learner Interaction have applied the sphere of Web Based Learning. But, Actually, the Multi-Learner's Interaction and Feedback of this System has a few effective and confidence, because this System has much time gap between Interaction and Feedback of Multi-Learner primarily. This Research propose an answer of this Problem, Web Based Real Time Quiz-game Type Learning System for Multi-Learner Interaction. Moreover, this System expect increased concentration ability for Learning and strong motivation of Learning for the greatest Learning effects in a Subject Solution course of Learners with founding Web Based Quiz-game Type Learning. So this Research will design and implement the Web Based Real Time Quiz-game Type Learning System for Multi-Learner Interaction.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Study Management System (웹기반 학습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ong, Sung-Hee;Yuk, Dong-Cheol;Park, Seo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1-234
    • /
    • 2003
  • 웹 기반 가상교육의 보편화로 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웹 기반 가상교육은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나 학습자의 학습 활동과 학습 성실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행동을 트래킹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수업 성실도를 판단하여 피드백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목적으로 학습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WBI System Using WBSE (WBSE를 이용한 웹 기반 학습시스템에 관한 연구)

  • 전주현;홍찬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52-654
    • /
    • 2001
  • 웹 기반 교육(WBI)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웹 기반 수업 혹은 웹 기반 교육의 초기에는 교수자의 개인적인 수준에서 교육 시스템이 개발 운영되어 체계적으로 개발 관리되지 못하였고 교수-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분산되어 있는 자료의 적절한 활용과 검색이 용이하지 못하여 중복 개발되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등을 내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WBSE(Web Based Software Engineering)개념을 웹 기반 교육시스템에 도입하여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컴포넌트화 하는 작업을 시도하여 이를 재사용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연구 기술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Tutoring System of Multimedia Web Page Implementation (웹 기반 멀티미디어 웹페이지 구축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권정식;김현주;엄희선;임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07-411
    • /
    • 2001
  • 웹 기반 멀티미디어 웹페이지 구축 학습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웹페이지 개발기술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는 멀티미디어적 교육 시스템으로,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탈피하여 상호 작용성을 강조한 학습방식이다.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으로 내용의 이해를 쉽도록 설계하였고 기존의 텍스트와 정적 이미지 세시방식에서 더 나아가 실제 학습통영 상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습득 능률을 높이도록 하였다.

  • PDF

Multi-agent System for Education Course Scheduling of Learner-oriented using Weakness Analysis Algorithm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김태석;이종희;이근왕;오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46-648
    • /
    • 2001
  • 전자도서관과 LOD 기술을 접목한 웹기반 교육 시스템의 연구는 몇 년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술 및 컴퓨터 통신 기술 개발의 가속화 및 이을 응용한 컨텐츠 개발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된 웹의 탄생은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교육형태로 인식할 수 있는 전환점을 제공하게 되었고, 웹을 기반으로 한 교육(WBI: Web-Based Instruction)이라는 새로운 교수 모형이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최근에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율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많은 교육 시스템들은 학습자 성향에 맞는 코스를 적절히 서비스 해지 못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과 학습자가 코스를 학습함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을 재학습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학습평가에 의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 스케쥴을 제공해 주는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Web-Based Debate System (웹 기반 토론 시스템)

  • Jung, Eun-Joo;Han, Hyu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31-1034
    • /
    • 2005
  • 사회생활을 통하여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사고력을 기르는 것은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남과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가장 직접적으로 실현되는 사고 혹은 활동 형태는 바로 토론이다. 또한 토론을 통한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의 대화를 활성화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를 학생들 스스로 성취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크다. 본 논문은 기존의 웹 기반 토론 학습의 제약을 극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웹 기반 토론 학습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웹 기반 토론 학습시스템은 첫째, 원활한 토론 학습을 위하여 실시간 및 비실시간 토론 학습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 둘째, 토론 학습의 사회자 역할, 토론자 역할, 방청객 역할을 두어 과제 중심적 역할 유형과 사회성 촉진적 역할을 모두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회자중재를 위한 토론중단 및 토론재개 기능과 방청객 질의 응답 시작과 종료기능을 제공하야야 한다. 넷째, 기존의 웹 토론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게시판이나 대화방은 학습자 평가를 위한 기능이 없고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웹 토론 학습시스템에 학습자들을 평가할 수 있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 평가 등의 평가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about Error Classification Method for Web-based Virtual Experiments (웹기반 가상 실험을 위한 오류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 이건민;백광운;김갑수;이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98-600
    • /
    • 2001
  • 기존의 웹기반 가상실험 시스템은 단방향적 학습내용 제시 및 학습자의 반응이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과학실험에서 범하기 쉬운 오류들을 학습자가 스스로 진단하고 수정할 수 있는 과정을 간과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가상실험 사이트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사고하고 변인을 조작하며 피드백을 통한 오류를 분석, 분류 및 수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가상 실험에서 학습자들이 겪게 되는 오류발생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하여 피드백과정을 거쳐 오류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가상공간에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상실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가상실험 학습의 장점 및 그와 연관된 오류분석 및 피드백의 의미를 7차 교육과정과 관련되어 기술하였으며, 시스템을 인터페이스 프로세스, 오류체크 프로세스, 오류분석 프로세스, 오류기록 프로세스, 오류제어 프로세스, 피드백 프로세스로 구성하였다. 또한 현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의 한 단원을 선택하여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먼저 국내 및 국외에서 웹기반 학습과 관련된 가상실험 사이트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한 학습내용 제시와 실험결과 위주의 평가를 중시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시스템의 학습자는 이와는 달리 실험결과 뿐만 아니라 실험과정의 오류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받아 스스로 오류를 분석, 수정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