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웹개발 플랫폼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35초

CoSpace : 공유작업공간을 지원하는 웹 기반 공동작업환경 (CoSpace : A Web-based Collaborative Environment Supporting Shared Workspaces)

  • 정수권;김규완;김인호;한천용;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227-229
    • /
    • 1999
  • 과거 대부분의 CSCW(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시스템은 특정 플랫폼에 의존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당 플랫폼 환경이 구축되어진 조직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다. 최근 어디서나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플렛폼에 독립적인 환경을 지원하는 웹의 급속하고도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많은 CSCW 시스템들이 웹 환경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고 또한 현재 개발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웹 기반 CSCW 시스템인 CoSpace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CoSpace 시스템은 작업 그룹의 구성원들이 공동작업을 위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작업공간을 지원한다.

  • PDF

모바일 웹 플랫폼 기술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김해영;최운해;이경수
    • 정보와 통신
    • /
    • 제27권5호
    • /
    • pp.24-29
    • /
    • 2010
  • 본고에서는 모바일 웹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의 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최근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젯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의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준화 단체인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와 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OMTP)에서는 위젯과 디바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에 대한 규격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은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이 Native 언어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과 동등한 수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 위젯 규격에 기반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유통 환경으로 확대하기 위한 산업 표준 단체로서 최근 Joint Innovation Lab (JIL)과 Wholesale Applications Community (WAC)이 설립되었다. JIL과 WAC은 다수의 이동통신사의 연합체로 구성되어 개발자와 이용자, 단말에서 네트웍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관련 표준 규격을 정의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WAC은 기존 산업 표준의 적극적 채용, 신속한 상용서비스 도입 등을 통해 산업과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려 함으로써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대중교통 컨덴츠 제공을 위한 모바일 웹서비스 솔루션 구현 (Developing Mobile Webservice Solution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Contents)

  • 홍상기;김경호;박종현;이종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797-800
    • /
    • 2003
  • 개방형 LBS 플랫폼의 등장은 다양한 플랫폼을 가진 이동 통신 업체들 사이의 위치정보 연동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LBS 응용 솔루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방형 LBS 플랫폼과 연동하여 대중교통정보를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웹 서비스 솔루견을 제안 구현한다.

  • PDF

3차원 상호작용기반 웹 표준 e-book 콘텐츠 저작도구 플랫폼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 of web standard e-book content authoring tools platform based on 3D interaction)

  • 김태겸;장현중;홍성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5-988
    • /
    • 2015
  • 최근 다양한 ICT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사회, 문화, 교육 등의 많은 분야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많은 기술들이 인간 삶의 영역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 웹 표준 기술의 발전은 e-book 시장과 교육용 콘텐츠의 변화가 많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Screen 지원과 반응형 웹 기술 지원을 위한 3차원 상호작용기반의 e-book 콘텐츠 저작도구 플랫폼 설계를 연구하였으며, 6가지 영역의 상호작용 콘텐츠 개발이 웹 표준에 의해 저작될 수 있는 저작도구 모형을 연구 개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e-book의 저작 형태는 웹 표준 기술 HTML5와 ePub3.0 표준을 기반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콘텐츠 플랫폼을 설계 하였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시뮬레이션 등의 기능을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구 적용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로 전자책 산업 발전과 교육 분야의 활용 향상을 기대하고 있으며, 지식의 체계를 좀 더 다양하게 제공 할 수 있는 e-book 콘텐츠 연구의 원천이 되기를 기대한다.

XML 정보보호 기술을 이용한 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보안 모델 (Security model of web service application using XML information security)

  • 전형득;송유진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1-326
    • /
    • 2003
  •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였던 것이 다양하고 개별적인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웹 서비스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플랫폼의 대안으로 웹 서비스(Web Service)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서비스의 보안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웹 서비스 보안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XML 정보보호기술을 기반으로 웹 서비스의 보호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XML-Web Service 보안 모델을 검토하고, 기반구조 및 기능을 살펴본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모델은 차세대 웹 서비스 플랫폼의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IA 플랫폼 개발환경 비교 (Comparing Development Environment for RIA Platforms)

  • 지정훈;박규태;우균;김원영;최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70-773
    • /
    • 2008
  • 인터넷의 확산으로 소프트웨어 산업구조는 패키지 방식에서 웹을 중심으로 한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소프트웨어 배포 및 사용이 웹을 통해 이루어지고 사용자들도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웹 기반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도 더욱 많아졌다.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지원, 상호작용, 데스크톱 수준의 시각적으로 화려한 인터페이스(UI)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HTML과 스크립트 언어 기반의 웹 시스템 만으로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는 HTML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모델이다. 향후 RIA 기술은 많은 분야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RIA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RIA 개발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정의하고 RIA 개발환경들의 장단점을 비교 평가한다. 또한 각 플랫폼의 성공적인 응용사례를 살펴봄으로써 RIA 개발환경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I 개발을 위한 노 코드 플랫폼의 개발 방향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no code platform for AI model development)

  • 신유진;양희진;장다영;장현준;고석주;한동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2-175
    • /
    • 2021
  •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래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가 활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딥러닝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기술은 높은 전문 지식이 요구되어 관련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활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AI 관련 배경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UI를 통해 쉽게 이미지 분류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노 코드 플랫폼에 관하여 기술하고, django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웹 개발과 딥러닝 모델 학습을 통합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웹서버에 업로드한 이미지들을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벨링 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킨다. CNN 모델에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과정과 생성된 모델 기반으로 이미지 예측하는 모듈을 통해 전문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딥러닝 기술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이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S-100 기반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연구

  • 장인성;이충호;김민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9-241
    • /
    • 2014
  • 최근 S-100 표준을 기반으로 웹 상에서 표준화된 전자해도 및 항행정보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S-101의 전자해도, S-102의 해저지형 등과 같은 데이터 표준들은 어느 정도 완성이 되어 제시되고 있으나, 선박과 선박, 선박과 항만, 또는 선박/항만과 대국민 사이에 항행정보의 웹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표준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O 19100과 OGC의 공간정보 표준을 참고하여 개발되고 있는 S-100 표준의 상황을 고려하여 S-101의 전자해도 표준과 공간정보의 WMS, WMTS 등의 웹 서비스 표준을 수용하는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은 전자해도, 공간정보, 날씨, AIS 정보 등의 융합 서비스가 가능하며, WebApp 서비스 또는 앱 지원을 통하여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손쉽게 항행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웹 도메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ML+Navigation Diagram 기반의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UML+Navigation Diagram for Web Domain Application)

  • 김행곤;한은주;신호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513-515
    • /
    • 1999
  • 웹은 소규모 정보에서 대규모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가지고 다양한 서버와 분산된 작업흐름 시스템에 대한 전역적인 환경으로 발전되어 오고 있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에 관계 없이 접근가능한 브라우저와 표준화된 문서환경을 제공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단시간에 개발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러한 장점은 구조적인 변화와 웹 기반 구현기술의 발전을 가져왔지만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의 생성은 체계적인 프로세스없이 개발자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여 임시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고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하지 않는 저수준 기술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개선하고 웹을 기반으로한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적용가능한 컴퍼넌트기반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컴퍼넌트를 개발하기 위해서 분석, 설계 모델링 방법으로 네비게이션 다이아그램을 사용한다. 이는 모델링을 위한 고수준의 추상화 정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역으로의 개발을 통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구현기술의 재사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자바 빈즈 기반의 웹 메일 서비스 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b-mail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Java Beans)

  • 박은영;박근효;김용대;김삼룡;이정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07-310
    • /
    • 2000
  • 최근 인터넷 비즈니스를 위하여 구축된 사이트에서는 웹 메일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을 하고 있다. 이렇게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만큼 웹 메일 시스템 구축에 있어 빠르고 효율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서버 페이지로 웹 메일 환경 설정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요한 모듈을 바이트 코드인 자바 빈즈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특징으로는 컴포넌트 기반으로 작업을 하여 어떠한 플랫폼에 무관하게 동작을 수행하고,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와 라이브러리로 자바 빈즈를 사용하여 쉽고 빠른 웹 개발을 지원해 줄 수 있게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