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웨어러블디바이스

Search Result 32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웨어러블(Wearable) MPEG 국제표준기술 (멀티미디어 통신과 제스처 인식)

  • Cheon, Seung-Mu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0 no.2
    • /
    • pp.64-71
    • /
    • 2015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현재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심장 박동수 등 헬스케어 정보를 스마트워치나 스마트밴드의 헬스센서를 통해 얻고, 이 내용을 스마트 폰이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자동차 또는 스마트폰의 메시지 통신과 통화기능까지 수행하고 있다.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인 스마트 글래스도 세계의 여러나라에서 개발을 시작했으며, 구글 글래스 출시 이후에 스마트 글래스의 일반인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두 손이 자유로운 이동환경에서 동영상 촬영이나 인터넷이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케 하고 있다. 웨어러블 MPEG 국제표준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 중요한 특징은 웨어러블 기기에서 키보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제스처, 보이스 명령어를 이용하게 되고, 이 명령어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기술이다. 전세계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사 입장에서는 스마트폰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한 메타데이터 정합표준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파일포맷정보의 국제표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상호 통신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로 전달되는 명령어체계는 크게 제스처 명령어, 보이스 명령어와 터치 명령어로 나눌 수 있다. 웨어러블 MPEG 국제표준기술 중에서 멀티미디어 통신과 제스처인식 분야에서는 세가지의 명령어 집합을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

The Design of Profile for Wearable Computing Services (웨어러블 컴퓨팅 서비스 제어를 위한 프로파일 설계)

  • Jo Taewook;You Inseon;Lee KwangHee;Cho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32-534
    • /
    • 2005
  • 웨어러블 컴퓨터는 인간의 의복이나 사용자의 신체에 소형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간 친화적인 컴퓨터 기술이다. 웨어러블 컴퓨터를 구성하는 착용형/휴대형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이 때 디바이스간에 교환되는 정보가 프로파일이다. 프로파일은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 구성 정보와 탑재된 소프트웨어 정보 그리고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팅에 적합한 프로파일 구조를 제시하고 웨어러블 컴퓨팅에서 핵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대두될 블루투스 디바이스 지원을 위해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수용하는 웨어러블 컴퓨팅용 프로파일을 설계한다.

  • PDF

The Study of a Network PnP Component for the Wearable Computer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네트워크 PnP 컴포넌트 연구)

  • 장준;김연수;이광희;최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556-558
    • /
    • 2004
  • 개인 컴퓨터의 소형화에 따라 유비쿼터스 컹퓨팅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다. 하나의 웨어러블 서비스 프로그램이 다양한 웨어러블 네트워킹을 활용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웨어러블 컴퓨터용 미들웨어가 필요하다. 웨어러블 컴퓨터용 미들웨어는 자원제약적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BAN(Body Area Network)을 구성하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적 환경설정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경량, 초절전 웨어러블 미들웨어를 소개하고, 소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위해 동적 디바이스 환경설정 및 BAN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PnP(Plug and Play) 컴포넌트를 설계 하였다.

  • PDF

Group Decision Algorithm for Convergence Oriented Group Display of Several Wearable Devices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융합지향 그룹 디스플레이를 위한 그룹결정 알고리즘)

  • Kim, Yong-Gil;Kim, Yong-Ki;Kim, Mi-Hy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8
    • /
    • pp.27-32
    • /
    • 2017
  • The several wearable devices are not able to communicate through cable due to its portabilit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because of its good communication quality and group action features when the several wearable devic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group decision algorithm for grouping display of the several wearable devices. It means that recognize as a group member after measuring distan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result of experience showed that the group-type display of several wearable devices method overcome the limit of the display of single wearable device.

A Study of Intention to Use Wrist-worn Wearable Devices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Resistance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 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 Shin, Jae-Gwon;Lee, Sa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23-134
    • /
    • 2016
  • As the internet of things has come into the spotlight, wearable devices have been emerging as a new and growing market and the next hot thing in the world. However, wearable device growth in the market has not met expectations. For continued growth and diffusion of wearable device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user resistance factors to them. This study gives attention to people who have resistance to wearable devices' tendency towards innovative uses. Specifically,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which factors influence consumers' resistance and intention to use wrist-worn wearable devices, which are in high demand among wearable devic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lative advantage, innovation expectation, complexity, financial risk and physical risk are the predi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n wrist-worn wearable devices. And consumers' resistance affects the intention of positive acceptance. Thes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consumer resistance to the wrist-worn wearable device.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of Wrist Wearable Device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hin, Myeong-Seob;Lee, Yeo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5
    • /
    • pp.498-506
    • /
    • 2015
  • As smart phone market has been rapidly saturated, wearable devices have been emerging as a new growth power in the post smart phone era.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purchasing intention of product features(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innovation, fashion leadership, self-efficacy, concern for health) of wrist wearable device. The result shows that fashion leadership and health concern among consumers' individua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ability among product features are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This means that both usefulness and usabilit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 of wearable device and product development should be made to enhance user experience.

A Design of Key Compromise Protocol for Secure Communication In IEEE802.15.6 environment (IEEE802.15.6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키 합의 프로토콜 설계)

  • Park, Sang-Hyeon;Jin, Byung-Wook;Kang, Jung-Ho;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243-245
    • /
    • 2016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커지고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성능이 좋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증, 헬스케어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 되고 있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개인 정보들이 통신 과정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용자들에게 개인정보 보호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보안은 중요하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표준문서 IEEE802.15.6의 프로토콜은 사실상 표준에서 요구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키 합의 프로토콜 중 3번 프로토콜에서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안전한 키 합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표준에서 요구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통신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The Plug-in Module for Simultaneous Monitoring of Multi Bio-signal in Wearable Devices (착용형 단말에서 다수 생체신호의 동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 모듈)

  • Choi, Moon Sik;Choi, Dong Jin;Kang, Soon Ju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4
    • /
    • pp.195-200
    • /
    • 2016
  • With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bio-signal monitoring techniques that can measure the user's health condition. However, embedding several bio-signal sensors in one wearable device has some inherent problems in terms of limited resources such as its size. Furthermore, such problem also arise when new bio-signal sensors are added.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Bio-Cradle, which is a Plug-in module that can transfer the biological signals in real time from the accelerometer, ECG, or PPG sensor to other wearable devices at the request from the user of wearable devices. When the Bio-Cradle plugged in to the other device, it can transfer several synchronized bio-signals regardless of the type of device.

Behavior Analysis using Wearable devices and Smart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동 분석)

  • Song, Wook;H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01-503
    • /
    • 2015
  •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달로 센서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의 분야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걷기, 달리기 등의 행위 판단이 가능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두 가지를 활용해 신체 및 손의 특정 행동을 수직, 수평 성분 추출과 데이터마이닝 툴을 이용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특정 행동의 패턴 판단을 방법을 제시한다.

The Design of Network PnP Component for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을 위한 네트워크 PnP 컴포넌트 설계)

  • Joo Tae-Wook;Lee Su-Won;Park Choong-Bum;Cho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223-225
    • /
    • 2006
  • 차세대 컴퓨터 중 하나인 웨어러블 컴퓨터는 BAN 영역 안에서 다양한 소형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새로운 컴퓨팅 환경을 말한다. 네트워크 PnP는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서 디바이스와 서비스 발견 기능을 제공하여 BAN 내에 추가된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웨어러블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웨어러블 미들웨어를 제안하며 웨어러블 미들웨어를 구성하는 여러 컴포넌트들 중 하나인 네트워크 PnP 컴포넌트를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