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 평균기온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Plant Phenological Trend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 Lee, Kyoung-Mi;Kwon, Won-Tae;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3
    • /
    • pp.337-350
    • /
    • 2009
  • The phenological change of plants is an indication of local and regional climate change. An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is manifest in the change of phytophenological events. In this study, trends in the plant phenology and its correlation with air temperature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using observational data for 18 phenological phases. The spring phenological phases, such as sprouting and flowering, occurred earlier (from 0.7 to 2.7 days per 10-year) during 1945 ${\sim}$2007. while the autumn phases, such as full autumn tinting, moved later (from 3.7 to 4.2 days per 10-year) during 1989 ${\sim}$2007.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nt phenology in spring with the air temperature from February to March is relatively high. The warming in the early spring (February March) by $1^{\circ}C$. causes an advance in the spring plant phenology of 3.8 days. The plant phenology in autumn also correlates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in October. The autumn plant phenology for a $1^{\circ}C$ increase in October temperature occurs about 3.1 days later.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Wind Speed in South Korea: In Case of January and August (한국에서 풍속 변화에 관한 연구 -1월과 8월을 대상으로-)

  • 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3
    • /
    • pp.347-358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wind speed during winter and summer seasons for 50 years(1961-2010). It were analyzed the mean wind speed, maximum wind speed, windy days and storm days on January and August of 13 weather stations in South Korea. The mean wind speed was decreased in the coastal region(Busan, Jeju, Ulsan, Pohang) in winter and summer seasons. Also it was similar to windy day. The relationship between wind speed and mean temperature has negative correlation in winter season. The relationship is low in summer season. The number of windy day and storm day has negative relation with monthly mean temperature.

  • PDF

대구와 추풍령의 도시화에 따른 야간냉각율 비교 연구

  • Park, Myeong-Hui;Kim, Hae-Dong;Lee, B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3-120
    • /
    • 2007
  • 대구와 추풍령이 겨울철(2005년 12월${\sim}$2006년 2월)과 여름철(2006년 6월${\sim}$8월) 시간대별 일 최고기온, 일 최저기온, 일 평균기온과 풍속자료를 사용하였다. 추풍력은 대구에 인접해 있으면서 도시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받은 지역이다. 대상일은 대구와 추풍령의 겨울철과 여름철을 대상으로 일 최고기온과 다음날의 일 최저기온간의 차이가 $10^{\circ}C$이상인 날을 선정하고, 그 중에서 운량이 30%이하인 맑은 날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일을 대상으로 도심과 교외지역 야간(익일 18시${\sim}$다음날 06시까지)의 기온 냉각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온하강은 두 지점 모두 풍속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도시구조물이 많은 대구(도심)의 경우는 풍속이 강하더라도 건물에 의한 축열과 복사냉각의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00시까지는 풍속과 냉각율이 비례하며 현열수송으로 냉각되고, 그 이후부터 일출까지는 풍속과 냉각율이 반비례하여 현열수송에 의한 가열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Using Air Temperature and Sunshine Duration Data to Select Seed Production Site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기온과 일도시간 분석에 의한 가시오가피의 파종적지 선정)

  • 박문수;김영진;박호기;장영선;이중호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4
    • /
    • pp.444-450
    • /
    • 1995
  • It was very hard to gather the seed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known as a medicinal plant for they tend to drop under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during the summer perio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seed production site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in Korea, comparing the climate of Hokkaido of Japan, in which the seeds have been produced, with that of various place in this country. It was low that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during the hottest summer two months (July and August) as a 24.4$^{\circ}C$ in Hokkaido and 21.2$^{\circ}C$ in Daegwanryeong compared with 27.4$^{\circ}C$ in Changsu. Especially in Daegwanryeong, average maximum temperature from June to September remained as low as 21$^{\circ}C$.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5$^{\circ}C$) was 807$^{\circ}C$ in Hokkaido and 964$^{\circ}C$ in Daegwanryeong during the ripening period. Monthly sunshined hours from July to August were 121.7~128 hours in Daegwanryeong and 83.5~85.4 hours in Hokkaido. The Eleutherococcus senticosus sprouts at 8.5$^{\circ}C$, comes to flowering season in mid-August, and ripens during late-August and October in Hokkaido, the climate of which is similar to that of Daegwanryeong.

  • PDF

The Temporal Variations of Summer Temperature in Central Area of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20세기 한반도 중부지방의 여름철 기온 변화)

  • 최광용;최종남;김종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19-52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세기 동안 한반도 중부 지방의 여름철 7월과 8월의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의 지역적 패턴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연구기간 동안 여름철 일최고기온의 평균 및 일정 임계치 이상의 고온 특이일의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여름철 일최저기온의 평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이 지역의 여름철 일교차의 평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최고기온의 감소 추세는 1950년대 이래로 진행되어온 조림사업으로 인한 삼림 임목 축적량의 증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도시화 지구온난화가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기온극값 발생빈도와 장기적인 패턴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 Chang, Jeong-Gul;Yu, Sung-Tae;Kim, Byung-Do;Park, Hyeon-Ho;Baek, Jin-Yeong;Kwon, Hye-Yeon;Yi, Myung-Ho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38-38
    • /
    • 2019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 2월보다 3~4월의 월평균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 PDF

Geographical Variation in Bud-burst Timing of Zelkova serrata Provenances (느티나무 산지별 개엽시기의 지리적 변이)

  • Kim, In Sik;Han, Sang Urk;Lee, Wi Young;Na, Sung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3
    • /
    • pp.191-20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ographic variation of bud phenology of Zelkova serrata provena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Gangneung, Yilmsil, Hwaseong and Jinju plantations which were parts of the 6 provenance trials establish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2009. The 16 provenances were included in these trials. The starting date of bud burst and finishing date of leaf expansion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to May every other day. The four geographic factors and fifteen climatic factors of the test sites and provenanc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bud phenology between test sites and provenances.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timing of bud burst were the differences of extremely high temperature (March-October), annual mean temperature, mean temperature (March-October), extremely high temperature (July-August) and mean humidity (June-October) between test site and provenance. The provenances with lower mean or high temperature than those of plantation showed the earlier bud burst and leaf expansion. It showed a typical north-south or low-high temperature cline.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 tree breeding program of Z. serrata based on these results.

Garlic yields estimation using climate data (기상자료를 이용한 마늘 생산량 추정)

  • Choi, Sungchun;Baek, Jangs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4
    • /
    • pp.969-977
    • /
    • 2016
  • Climate change affects the growth of crops which were planted especially in fields, and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use climate data to predict the yields of the major vagetables. The variation of the crop products caused by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discrepancy of the demand and supply, and leads to the price instability. In this paper, using a panel regression model, we predicted the garlic yields with the weather conditions of different regions. More specifically we used the panel data of the several climate variables for 15 main garlic production areas from 2006 to 2015. Seven variables (average temperatur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average minimum temperatur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cumulative precipitation, average relative humidity,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for each month were considered, and most significant 7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84 variables by the stepwise regression. The random effects model was chosen by the Hausman test.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January),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rch, October),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October) were chosen among the variables as the significant climate variables of the model

Monthly temperature forecasting using large-scale climate teleconnec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대규모 기후 원격상관성 및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월 평균기온 예측)

  • Kim, Chul-Gyum;Lee, Jeongwoo;Lee, Jeong Eun;Kim, Nam Won;Kim, Hyeon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9
    • /
    • pp.731-745
    • /
    • 2021
  • In this study, the monthly temperature of the Han River basin was predicted by statist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at use global climate indices and weather data of the target region as predictors. The optimal predictors were selected through teleconnection analysis between the monthly temperature and the preceding patterns of each climate index, and forecast models capable of predicting up to 12 months in advance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selected predictors and cross-validating the past period. Fore each target month, 1000 optimized models were derived and forecast range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dictability of monthly temperature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2020, PBIAS was -1.4 to -0.7%, RSR was 0.15 to 0.16, NSE was 0.98, and r was 0.99, indicating a high goodness-of-fit. The probability of each monthly observation being included in the forecast range was about 64.4% on average, and by month, the predictability was relatively high in September, December, February, and January, and low in April, August, and March. The predicted range and median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s, except for some periods when temperature was dramatically lower or higher than in normal years. The quantitative temperature forecast information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 not only for forecasting changes in temperature in the future period (1 to 12 months in advance), but also in predicting changes in the hydro-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evapotranspiration high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Climate Change during the recent 10 years in Korea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 Kwon, Won-Tae;Boo, Kyung-On;Heo, In-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8-280
    • /
    • 2007
  • 우리나라는 지난 94년간 1.5도 상승하여 전지구 온난화추세를 상회하였다. 기온뿐만 아니라 강수량 역시 변화하였는데 변동폭이 크기는 하나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20세기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은 특성을 보인다. 평균적인 기후변화추이와 더불어 특히 최근 10년($1996{\sim}2005$년)은 1850년 이후 지구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기간으로, 세계적으로 열파, 홍수, 가뭄, 태풍 등 기상이변에 의한 인명과 재산 피해, 생물종의 멸종 등 사회경제적 피해가 막대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폭염, 호우등의 빈번한 출현으로 급격해지는 온난화추세 영향을 반영하였는데 이러한 기후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기후 특성과 계절별 현상일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근 10년(1996-2005년)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특성을 보면 우리나라(15개 관측지점자료)는 평균기온이 과거 30년$(1971{\sim}2000)$ 평균대비 $0.6^{\circ}C$ 상승하였다. 계절별로 봄은 평년대비 $0.7^{\circ}C$, 여름은 $0.4^{\circ}C$, 가을은 $0.6^{\circ}C$, 겨울은 $0.7^{\circ}C$ 상승하여 봄과 겨울의 상승폭이 가장 크다. 연강수량은 30년 평균대비 최근 10년 강수량은 11% 증가하였고 특히 여름은 증가폭이 가장 커서 18% 증가하였다. 계절에 따라 다양한 기상현상의 변화도 나타났다. 3월 이후에 나타나는 늦서리의 종료일은 평균적으로 3월 말경에 나타났는데 최근 10년에는 3월 중순으로 2주 앞당겨졌고 이 추세는 특히 1993년 이후 뚜렷하다. 늦서리의 발생일수도 평균 4일 정도 줄었다. 일평균기온 $20^{\circ}C$이상인 날은 평년에 비해 최근 10년 동안 약 2일 증가하여 여름 시작시기가 빨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는 평년대비 최근 10년간 연간발생일수가 1.3일 증가하였으나 일최고기온 $35^{\circ}C$ 이상인 날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고, 호우발생빈도, 특히 8월의 강수일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름과 가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수는 뚜렷한 추세를 보이지 않으나,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로 인하여 각각 6조원, 4조원 이상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태풍에 의한 피해액은 GDP 대비 약 0.9%(태풍 루사)로 최근 경제상장률과 비교해 보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연근해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 세기가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 폭설과 한파일수도 평년대비 최근 10년 감소하였고 일최저기온이 영하 $10^{\circ}C$ 이하인 날도 연간 발생일수가 감소하였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기후의 변화특성은 기온상승과 더불어 서리종료일이 앞당겨지고 열대야가 증가하고 폭설, 한파, 겨울철 일최저기온 영하 10도 이하인 날의 감소 등이 나타나고, 여름철 재해의 원인인 호우일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이로 인한 피해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기후변화의 추이를 감안할 때, 기후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대비책을 마련하여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