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유입량 예측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flux characteristics from the submerged soils of Yeongju dam (영주댐 수몰지 토양의 용출 특성 분석)

  • Lee, Seungyoon;Shin, Cholong;Choi, Kwangsoon;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2-462
    • /
    • 2018
  • 국내 신규댐 건설에 있어, 침수토양의 용출에 의한 호내 수질영향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정량화된 사례는 찾기 어려우며, 댐 담수 초기에 증가되는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조사자료의 부족으로 담수이후의 수질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외부 오염부하의 강우시 유입과 퇴적물로부터의 영양염용출 등의 내부 오염부하가 함께 고려된 수질예측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수몰지 토양 및 호내로부터의 내부부하에 있어서는 퇴적물 내의 다량 존재하는 오염물이 재용출 되거나 퇴적물 내의 화학적 생물학적 반응이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부분 수몰지토양에서 수층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양은 수층에서 퇴적물로 흡수 또는 침강 되는 것보다 많은 경우도 있으며, 오염된 수계에서는 내부 부하량이 과다할 경우 수질 개선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시험담수 예정지인 신규댐 수몰지를 대상으로 토양에 포함된 유기물이 자연상태에서 수체로 용출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댐 수몰지의 토양 시료는 시험담수전 2016년 7월, 토지이용 유형별로 5개지점(논, 밭, 대지, 임야, 하천)에서 시료를 채집하여 총 36일간 용출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수층내 용존산소 조건을 호기성 조건과 혐기성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수질분석은 COD, T-N, T-P, $PO_4-P$등 9개 항목에 대해 실험기간 중 13회 실시하였다. 토양별 점유면적 대비 일 용출량은(kg/day) COD 63 kg/day, T-N 93.6 kg/day, T-P 5.8 kg/day, $PO_4-P$ 4.6 kg/day 였으며, 수몰지 내 토지이용현황별 오염원 기여율은 임야, 밭, 하천, 논, 대지 순 이었다. 본 실험은 수몰지토양의 순수용출량만을 담수개시~36일간 측정한 결과로서 실제 저수지환경에서는 실험값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되며, 수중 수질환경 변화 및 퇴적물의 퇴적 등으로 인하여 원토양으로부터의 용출로 인한 수질에의 영향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 또는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는 담수초기의 영향으로 국한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장기적인 영향파악을 위해서는 담수 후의 퇴적물의 거동(퇴적현황) 파악 및 담수 후 퇴적물의 장기용출실험을 통한 용출량 검토가 필요하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Riverbed Changes at the Downstream of the Ji-Cheon (수치모형을 이용한 지천하류부의 하상변동 분석)

  • Choi, Ho;Rim, Chang-Soo;Jung, Jae-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117-125
    • /
    • 2011
  • River bed variation drops storage capacity of dams and reservoirs, and furthermore deteriorates safety of banks and peers. Therefore, understanding of bed variation is important to use and manage river water. Study section is downstream part of Ji- Cheon nearby Ji-Cheon Bridge which is located in Gum river basin. The river surveying at fourteen places with the length of 1,320m were undertaken on November 7, 2003 and September 24, 2004, and the results of river surveying were analyzed for the study. Real bed variation was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of HEC-6 and GSTARS 3.0. Cross section data for the simulation of HEC-6 and GSTARS3.0 were composed of the basis of river surveying data on November 7, 2003. Hydrological data were acquired from Gu-Ryong watermark located at Ji-Chun Bridge.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when using Toffaleti equation, simulation results of two models were similar to the real bed variation. The bed variation simulated by using GSRARS 3.0 with only one stream tube was similar to the real bed variation. The bed variation simulated by using two models(HEC-6 and GSTRARS 3.0) with Toffaleti equation was also similar to the real bed vari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HEC-6 and GSTARS 3.0 models have applicability to predict the bed variation at the downstream of Ji-Cheon.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GIS (GIS를 이용한 분산형 강우-유형 모형의 개발)

  • 김경숙;박종현;윤기준;이상호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1 no.2
    • /
    • pp.1-16
    • /
    • 1995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eluate the potential of a GIS to assist an application problem. GIS has been applied to rainfall-runoff modeling over Soyang area. Various rainfall-runoff models have been developed over the years.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is selected because it considers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ver the basin. GIS can handle the spatial data to enhance the modeling. GRASS-a public domain GIS S/W-is used for GIS tools. Digital database is generated, including soil map, vegetation map, digital elevation model, basin and subbasin map, and water stream. The inpu data for the model has been generated and manupulated using GIS. The database, model and GIS are integrated for on-line operation. The inflow hydrographs are tested for the flood of Sept., 1990. This shows the promising results even without the calibration.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alysis of the current flood season: a case study of the Yongdam Dam (현행 법정홍수기 타당성 검토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용담댐 사례)

  • Lee, Jae Hwang;Kim, Gi Joo;Kim, Young-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5
    • /
    • pp.359-369
    • /
    • 2024
  • Korea prepares for potential floods by designating June 21st to September 20th as the flood season. However, many dams in Korea have suffered from extreme floods caused by different climate patterns, as in the case of the longest consecutive rain of 54 days in the 2020's flood season. In this context, various studies have tried to develop novel methodologies to reduce flood damage, but no study has ever dealt with the validity of the current statutory flood season thus far. This study first checked the validity of the current flood season through the observation data in the 21st century and proved that the current flood season does not consider the effects of increasing precipitation trends and the changing regional rainfal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al with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ed seven new alternative flood seasons in the research area. The rigid reservoir operation method (ROM) was used for reservoir simulation, and the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was used to derive predicted inflow. Finally, all alternatives were evaluated based on whether if they exceeded the design discharge of the dam and the design flood of the river. As a result, the floods in the shifted period were reduced by 0.068% and 0.33% in terms of frequency and duration, and the magnitude also decreased by 24.6%, respectively. During this period, the second evaluation method also demonstrated that flood decreased from four to two occurrenc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s expect a formal reassessment of the flood season to take place,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the preemptive flood response to changing precipitation patterns.

The Application of an Algal Fence for the Reduction of Algal Intake into the Water Intake Facility (조류펜스의 조류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인 평가)

  • Jang, Min-Ho;Park, Sung-Bae;Jung, Jong-Mun;Roh, Jae-Soon;정광석, Kwang-Seuk;Joo, Gea-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4 s.105
    • /
    • pp.467-472
    • /
    • 2003
  • In this study, an algal fenc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reduce the input of algal scum into the water intake facility. The effectiveness of vertical algal fences(overlapped three types of meshes, (312 ${\mu}m$ ${\times}$ 375 ${\mu}m$, 390 ${\mu}m$ ${\times}$ 450 ${\mu}m$, and 0,7 cm ${\times}$ 1cm; vertical depth, 1.5 m; length of fence, about 120 m)) was experimentally tested at a water intake facility (Mulgum, lower Nakdong River). The application of the fence resulted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algal biomas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fence. According to ANOVA test, chi. a concentration in Day-1showed large difference at each depth of 0, 1, 2 m (0.001> p at each depth, n = 16 respectively). Especially large difference was observed at 0 and 1 m depth. However, the fence was only effective for a short period and its efficiency declined by Day-5after the installation. When better maintenance options for the fence are prepared, e.g. mechanical installation and periodic backwashing of the fence, the performance of algal fence may be sustained. In addition, reliable models for bloom prediction are required to provide an advanced indication of the optimal timing for the installation so that effective operation would be achieved.

한강유역의 3개보(강천보, 여주보, 이포보)건설로 인한 남한강 유역의 공사 전.후의 수리 분석

  • Lee, Gyeong-Yeong;Seong, Seu;Park,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1-441
    • /
    • 2011
  • 정부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 수질개선 등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4대 강사업을 아직도 언론이나 환경단체, 대다수의 국민들이 보 건설로 인해 홍수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수질이 악화되어 생태계와 생명이 파괴된다고 오해하고 있다. 이런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남한강유역의 보 건설 공사 전 후의 발생 가능한 수리변화 예측을 통하여 4대강사업에 따른 수리 수질 논란에 대비하고, 기존의 수위-유량 곡선식 및 홍수분석시스템 변화에 따른 개선을 통하여 보 건설 후 댐과 보의 운영시 각 보 지점의 수리분석을 통해 적절한 방류 규모, 시기를 결정하고 하류영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등 환경변화에 대한 사전 대책마련을 위해 EFDC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한강유역의 팔당댐을 기준으로 북한강 10km, 경안천 10km, 남한강 65km 구간의 공사 전 후 수위변화를 분석하기위해 남한강 유역의 2006년도부터 2010년까지의 여주, 이포, 양평 수위국의 최고수위 기간을 조사하여, 최고기간인 2006년 7월 15일부터 17일에 발생한 태풍 에위니아의 첨두유량(13,022CMS)을 사용하였고, 하천단면 측량자료는 2010년에 실시한 보 공사구간 횡단면도와 준설 후 계획 횡단면도와 과거 측량자료를 이용하였고, 총 3,794개의 격자망을 평균 $200m\times80m$ 간격으로 구성하여 3차원 수리/수질 모델 프로그램인 EFDC를 사용하여 수리모델링을 실시하여 보 건설 전 후의 수위변화를 모델링 하였다. 모델링 결과 남한강 상류인 강천보 지점의 수위 저감효과가 최대 2.0m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남한강의 하류인 여주보 지점은 최대 1.5m, 이포보 지점은 상대적으로 작은 1.0m 정도의 수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포보 하류의 양평수위국 지점과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이 합류되는 팔당댐 상류 지점의 경우 모델링 결과 공사 전 후 수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보 건설이 남한강 하류 지점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EFDC 모형을 이용하여 정밀 수리모형 검토를 통해 수위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발생하지만 보 건설을 통하여 수위 저감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정확한 검토를 위해 추후에는 남한강 상류의 강천수위국 상류지점의 검토와 남한강유역의 지류 유입량을 추가하여 모델링을 실시하면 보다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tidal discharge through a permeable dyke from varying surface gradients (내·외 수위차를 이용한 투수성 제체의 조류량 모델링)

  • Hong, Seong Soo;Kim, Tae In;Nguyen, Thao Thi Hoang;Gu, Jeong B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9-219
    • /
    • 2021
  • 서해안 중부 아산만 안쪽에 위치하는 평택·당진항에서 장래 개발 예정인 면적 6.9km2의 내항2공구 수역은 내항2공구 외곽호안 - 내항가호안 - 내항2공구 중앙 분리호안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투수성 제체인 내항가호안 사석 공극을 통하여 해수가 유통되어 조석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20년 8~9월의 2개월간 내항2공구 외곽호안 내·외측에서 조석 관측 결과, 2공구 수역의 최대 조차는 1.97m로서 외측 해역 최대 조차 9.79m의 20.1%이고 내·외측의 순간 수위차는 최대 5.82m에 달한다. 내항가호안은 내항2공구 개발이 거의 완료되는 시기까지 유지될 예정이므로 2공구 개발에 따른 내측 조차와 내·외측 수위차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내항가호안 제체 안전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래 개발단계별 변화 예측에 앞서, 관측이 이루어진 2개월간의 실시간 내측 조석과 내·외측 수위차 시계열을 Delft3D-Flow를 이용하여 기 구축된 아산만 수치모델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내항가호안 제체 통과 유량은 내·외측 수위차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수위차 - 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수위차는 평택 조위관측소와 내항2공구 수역의 1분 간격 관측 조위로부터 산출하였고, 제체 통과 유량은 내측 조위(z, 평택항 DL 기준, m) - 수용적(V, 106m3) 관계식으로 계산하였다. 내측 조위 - 수용적 관계식은 수심측량 성과로부터 V = 0.28z2 + 3.73z + 2.96 (r2=1.00)으로 얻어졌다. 다양한 함수식의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수위차(𝚫z, m) - 제체 통과 유량(Q, m3/s)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내항가호안 내측으로 유입시] $Q_{IN}=\{\begin{array}{lll}{\exp}\{0.54\;{\ln}({\Delta}z)+6.00\}&&\text{; }{\Delta}z{\leq}1.8\\219.82{\Delta}z+158.56&&\text{; }{\Delta}z>1.8\end{array}\;\;(r^2=0.86)$ [내항가호안 외측으로 유출시] QOUT = -exp{0.44 ln(-𝚫z) + 5.70} (r2=0.59) 매 𝚫t 마다 제체 통과 유량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Delft3D 소스 코드에 추가하고, 8개 분조 합성조석(M2, S2, K1, O1, N2, K2, P1, Q1)을 외력조건으로 설정하여 2개월간 조석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내항2공구 수역의 매 시별 조위 관측치와 모델치를 비교한 결과, 오차는 -0.37~0.37m의 범위이고, 오차 평균은 0.02m, 절대오차 평균은 0.08m로 상당히 정확하게 실시간 조위 변동을 모의하였다. 보정·검정된 이 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내항2공구 개발에 따른 내측 조석과 내·외측 수위차 변화에 대한 예측모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 PDF

Dynamics of Inorganic Nutrients and Phytoplankton in Shihwa Reservoir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 Kim, Dong-Sup;Cho, Kyung-Je;Shin, Jae-K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3 no.2 s.90
    • /
    • pp.109-118
    • /
    • 2000
  • The dynamics of inorganic nutrients and phytoplankton population were examined at eight stations of Shihwa Reservoir, which situated near the cities newly constructed and the industrial complex of West-sea in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1999. Among environmental factors, average concentration of $NH_4$, SRP and SRSi were $522.7\;{\mu}g\;N/l$, $9.8\;{\mu}g\;N/l$ and $0.26\;{\mu}g\;Si/l$, respectively. Water quality was extremely deteriorated by a great amount of pollutants load into inner reservoir after the event of rainfall. Nutrients concentration was suddenly decreased toward the lower part. While $NO_3$ concentration did not much varied among stations, but it was relatively high in winter season.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high at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with average of $37.2\;{\mu}/l$, and closely related to the fluctuation of $NH_4$, SRP and SRSi concentrations. The phytoplankton development in the water column was dominated by diatom (autumn), prasinoid (winter) and dinoflagellate (summer). Dominant phytoplankton were composed to Skeletonema costatum of diatom, Prorocentrum minimum of dinoflagellate, Chroomonas spp. of cryptomonad, Eutreptiella gymnastica of euglenoid and Pyramimonas spp. of prasinoid. The large bloom of phytoplankton at the upper zone of the Shihwa Reservoir after inflow of a seawater were consistently observed. In consequenc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the inlet stream was assessed to be very important and urgent.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Asian Dusts Using the WRF-Chem Model in 2010 in the Korean Peninsula (WRF-Chem 모델을 이용한 2010년 한반도의 황사 예측에 관한 연구)

  • Jung, Ok Jin;Moon, Yun Seob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90-108
    • /
    • 2015
  • The WRF-Chem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Asian dust event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from 11 to 13 November 2010. GOCART dust emission schemes, RADM2 chemical mechanism, and MADE/SORGAM aerosol scheme were adopted within the WRF-Chem model to predict dust aerosol concentrations. The results in the model simulation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with the weather maps, satellite images, monitoring data of $PM_{10}$ concentration, and LIDAR images. The model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long-range transport from the dust source area such as Northeastern China and Mongolia to the Korean Peninsula. Comparison of the time series of $PM_{10}$ concentration measured at Backnungdo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36,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192.73{\mu}g/m^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M_{10}$ concentration using the WRF-Chem model was similar to that of the $PM_{2.5}$ which were about a half of $PM_{10}$. Also, they were much alike in those of the UM-ADAM model simulat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anwhil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M_{10}$ concentrations during the Asian dust events had relevance to those of both the wind speed of u component ($ms^{-1}$) and the PBL height (m). We performed a regressive analysis between $PM_{10}$ concentrations and two meteorological variables (u component and PBL) in the strong dust event in autumn (CASE 1, on 11 to 23 March 2010) and the weak dust event in spring (CASE 2, on 19 to 20 March 2011), respectively.

Water Budget Analysis of Four big river basin based on K-WEAP (K-WEAP을 이용한 4대 권역별 물 수지 분석)

  • Moon, Jang-Won;Choi, Si-Jung;Lee, Dong-Ryul;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62-1366
    • /
    • 2006
  • 우리나라에서는 하천법 제11조에 의거하여 10년마다 한 번씩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5년마다 이를 수정 보완하고 있다. 2001년 7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이 수립된 이후 잦은 봄 가뭄 등 이수측면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와 최근 이상홍수 등으로 인한 대규모 홍수피해 발생에 따른 치수측면의 종합적인 대책의 제시가 요구되면서 2001년 수립된 계획에 대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자원계획의 신뢰성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문제제기와 지역 차원의 수자원계획 및 수자원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로 인해 계획 수립 과정과 결과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을 위한 체제의 구축이 금번 보완 계획의 수립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금번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완은 투명성 확보라는 큰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수자원 관리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물 수급 전망 및 용수수급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다. 기 개발된 한국형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모형을 보완 계획 수립 과정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K-WEAP 모형을 통해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수급 균형을 판단함으로써 일반 대중에게 물 수급 관련 상황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각 권역별로 2003년의 물 수급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하천의 관측유량과 비교해봄으로써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각 권역에서 시나리오별로 추정된 용수수요량을 이용하여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목표연도별 물 수급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물 수급 분석 시 지하수 및 농업용 저수지 등 하천과 다목적댐 이외의 지역 공급원에 대해서도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