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경전후기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118초

월경통(月經痛)의 약물혈위첩부치료법(藥物穴位貼敷治療法)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Dysmenorrhea using the Method of applying Herb-medicine at the acupoints)

  • 임은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48
    • /
    • 1995
  • 월경통(月經痛)은 부인과(婦人科) 질환중(疾患中) 가장 흔한 질환(疾患) 중의 하나로서 대부분의 여성(女性)들은 월경(月經)의 시작(始作)과 함께 그 정도(程度)가 경미(輕微)한 어느 정도(程度)의 복부불쾌감(腹部不快感)이나 피로감(疲勞感)등을 느끼지만 일상생활(日常生活)에 별다른 지장(支障)을 초래(招來)하지않을 뿐 아니라 월경직전(月經直前)에만 나타났다가 월경(月經)이 시작(始作)되면 정상(正常)으로 회복(回復)되므로 특별(特別)한 치료(治療)를 요(要)하지 않는다. 다만 그 정도가 심(甚)하여 강도(强度)가 높은 동통(疼痛)을 수반(隋伴)하거나, 혹(或)은 장기화(長期化)하여 심신(心身)에 장애(障碍)를 초래(招來)하게 되는 경우 이것을 월경통(月經痛)이라하니 치료(治療)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월경통(月經痛)의 원인(原因)은 다양(多樣)하지만 병기(病機)는 모두 기혈(氣血), 허실한열(虛實寒熱), 경전(經前), 경후(經後)를 막론(莫論)하고 통(通)하지 않으므로 통(痛)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월경통(月經痛)의 치료원칙(治療原則)은 통(通)하게하여 불통(不痛)케하는 것이니, 활혈통락(活血通絡)하고 충임맥(衝任脈)과 기혈(氣血)의 조리(調理)를 위주(爲主)로 하여 온경지통(溫經止痛)하고 통창기혈(通暢氣血)한다. 월경통(月經痛)의 치료법(治療法)은 월경(月經)의 변화시기(變化時期)에 따라 치료법칙(治療法則)에 차이(差異)가 있으나 그 중에서 월경중(月經中)에 치료하는 것이 가장 치료효과(治療效果)가 우수하다고 한다. 이에 월경중(月經中)에 한약(韓藥)의 내복치료(內服治療)와 함께 병용(竝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治療法)중 경락(經絡)에 약물(藥物)을 붙이므로서 약물(藥物)의 효능(效能)이 직접 경락혈위(經絡穴位)의 피부(皮膚)를 통하여 흡수(吸收)되어 종합적(綜合的)으로 효과(效果)를 발휘(發揮)하므로 치료효과(治療效果)가 신속(迅速)하며 통증(痛症)이나 부작용(副作用)도 없고 경제적(經濟的)인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을 월경통(月經痛)에 이용한 자료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월경통(月經痛)의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은 주(主)로 기체혈어(氣滯血瘀)와 한습응체(寒濕凝滯)한 실증(實症)의 월경통(月經痛)과 원발성월경통(原發性月經痛)인 경우(境遇)에 많이 응용(應用)되었다. 2. 월경통(月經痛)의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에 있어서 치료혈위(治療穴位)는 신궐혈(神闕穴), 즉 제부위(臍部位)의 복부임맥혈(腹部任脈穴)들을 주로 선혈(選穴)하고 있다. 3. 월경통(月經痛)의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의 치료약물(治療藥物)은 주(主)로 활혈거어(活血祛瘀)하고 온경통락지통(溫經通絡止痛)하는 약물(藥物)들로서 내치법(內治法)의 약물(藥物)과 동일(同一)하였다. 4. 월경통(月經痛)에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으로 치료(治療)한 시기(時期)는 월경(月經) 3일전(前)부터 월경중(月經中), 또는 월경후(月經後)까지의 기간(期間)으로 주(主)로 월경전후기(月經前後期)에 집중(集中)되어 있다. 5. 월경통(月經痛)의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의 치료효과(治療效果)는 우수(優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主)로 기혈허약(氣血虛弱)이나 간신휴손(肝腎虧損)의 허증(虛症)보다는 기체혈어(氣滯血瘀)와 한습응체(寒濕凝滯)의 실증(實症)인 경우(境遇)에 더 치료효과(治療效果)가 우수(優秀)하였다. 6. 월경통(月經痛)의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은 외치법(外治法)의 하나로서 간편하고 경제적(經濟的)이며 통증(痛症)과 부작용(副作用)이 없는 등(等)의 장점(長點)이 있다. 7. 이상(以上)으로 월경통(月經痛)의 혈위첩부요법(穴位貼敷療法)은 행경기(行經期)에 급치(急治)하고 표치(標治)하는 치법(治法)으로 활용(活用)할 수 있다.

  • PDF

여성의 월경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모형구축 (A Model of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Factors Influencing College Womens도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 김정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4-244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d test a model of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factors influencing women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specifically, premenstrual discomfort or pain, negative affect, disability and role acceptance.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1992 with the use of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enstrual Attitude Questionnaire, Sex Role Acceptance Scal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he SPSS PC/sup +/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C-LXSREL 7.13 for covariance structure.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20 women college students in 2 three-year nursing junior colleges and 1 department of nursing of a college of medicine.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19, the mean age at monarch was 13.7, the mean menstrual cycle was 29.7 days and the mean menstrual duration was 5.3 days. The amount of menstrual discharge was moderate and the menstrual cycle variability was within 3 days. The score for pain, negative affect and disability were higher during the perimenstrual period than intermenstrual period.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with the six paths and the empirical data was high [X²(df=4)=. 57 (P=.966), GFI =.999, AGFI =.997, RMR=.008].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on acceptable level of significance. 1) The higher the pain and negative affect, the stronger the disability. 2) The higher the pain, negative affect and disability, the more negative the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3) The lower the women's role acceptance, the more negative the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The model was supported by the empirical data, and thus these results may help nurses and nursing scientists to understand and support these phenomena of womens’ health experience.

  • PDF

일부 근로여성이 호소하는 월경전후기 불편감, 월경대처 및 증상완화 정도에 관한 연구 (Perimenstrual Discomfort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Workers)

  • 성미혜;민경옥;장윤정;전주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8
    • /
    • 2006
  • Purpose: To identify perimenstrual discomfort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worker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203 women who had worked were obtained from two hospitals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8 to 16, 2004. Three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erimenstrual Discomfort Questionnaire by Park(1988) and the Menstrual Coping Questionnaire and the Relief of Symptoms by Billings & Moos(1981) modifie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ith SPSS 10.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dysmenorrhea was 81.3%. The total mean score for perimenstrual discomforts was 2.83 out of a possible total of 5 and the mean score for each category was, 3.08 for water retention, 2.95 for pain, 2.88 for negative affect, 2.83 for behavioral change, 2.73 for autonomic reactions, and 2.51 for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se study result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for age(F=2.76, p=0.04), feeling to menstruation(F=3.94, p=0.00), dysmenorrhea(t=4.26, p=0.00), and taking medication(t=2.09, p=0.00). The coping modes with the highest scores were 'take a hot bath'(99.0%)', 'rest and go to bed'(83.7%), 'regard menstruation as a physiological and temporary phenomenon'(76.8%), 'take a warm shower'(65.0%).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to relieve symptoms were 'rest and go to bed'(70.0%), 'take a warm shower'(57.6%), 'take pain killers'(49.8%), 'apply hot water bag on painful parts of the body'(46.8%). Conclu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m. Nursing intervention has to be considered in any program aiming to reduce perimenstrual discomforts.

  • PDF

남강댐의 운영수위와 버들류 군락의 상호관계 (Correlation between Salix Communities and Water level in Namgang-Dam)

  • 정혜련;김기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767-771
    • /
    • 2012
  • 남강댐은 평지에 위치하여 댐 높이가 낮고 댐운영 수위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계획홍수위 아래 완경사 비탈면이 갈수기인 3월부터 5월 사이에 장기간 노출되어 5월 전후에 발아하는 식생 특히, 버들류가 이입, 성장하여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현재 형성된 대규모의 버들류 군락은 댐수질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솎음질(self-thinning)에 의해 고사한 버들류의 유목으로 인하여 댐운영에 많은 애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들류 군락 형성과 댐운영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버들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의 남강댐 건설 직후인 1979년, 2003년 2010년의 항공사진과 수심측량에 의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버들류 군락의 확장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방형구를 설치하여 버들류의 밀도 및 흉고직경을 조사하고, 성장추에 의한 수령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는 총 17종이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선버들(Salix nipponica), 버드나무(Salix nipponica), 왕버들(Salix gracilistyla), 등으로서 선버들(Salix nipponica)이 우점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의 수령을 조사한 결과 수령은 약 9년~10년, 흉고직경 10~15cm, 수고 7~8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댐운영수위와 버들류의 수령을 분석한 결과 2002년 5월 댐수위 38.5~41.0m 일 때 연안대의 수면부근에서 1단계로 이입, 정착한 것으로 보이며, 2004년 및 2005년 5월경에 댐수위 36m일 때 2단계로 이입, 정착하여 현재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강댐 버들류 군락의 형성은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수위 부근의 습지에서 발아환경이 최적인 온도와 저토환경에서 일시에 이입,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강댐과 같이 평야부에 위치한 댐에서 댐운영 및 댐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버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운영 수위를 최대한 높여 현재의 버들류 군락에 의하여 발아, 성장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댐운영 수위를 낮추어 발아해도 홍수기 동안 장기간의 침수에 의하여 고사되도록 하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