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경성 자원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Legal Issues of Nagoya Protocol and Related Proposals for Korea (나고야 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우리나라 입장에 관한 제언)

  • Jin, Mingzi;Son, Younghyun;Kim, Hye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4
    • /
    • pp.161-190
    • /
    • 2014
  • The Nagoya Protocol will enter into force on 12 October, 2014 during the period of UNCBD COP12 which will be held in Pyeongchang, Korea. In this circumstance, it is essential to analyze other countries' legislations and find various related issues. Based on that analysis, Korea can set its course for related policies and also improve its own legislations. EU and China were selected as comparison countries since EU i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trying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system and China is regarded as a model country representing LMMC (Like-Minded Mega-diverse Countries) in the world. Based on this study,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Korea to assert the need for dispute resolution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 parties and also trilateral co-management of trans-boundary genetic resources and related traditional knowledg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addition, Korea also needs to improve its legislation towards integrating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genetic resources.

  • PDF

동북아 산성비 문제와 환경협력

  • Sin, Ui-S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1
    • /
    • pp.119-150
    • /
    • 1997
  • 1990년 동북아 23개 지역의 이산화황 총배출량은 14.7백만톤이었다. 이중 중국동북부가 81%, 한국이 12%, 일본이 5%, 그리고 북한이 2%를 배출하였다. 기본시나리오하에서 동북아지역의 이산화황 배출은 2020년에 40.5백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에서 배출된 장거리 월경성 대기오염물질은 한반도와 일본으로 이동하며 특히 산성강우는 중국으로부터의 이산화황 배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산성강우는 자연생태계와 농작물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심각한 피해를 준다. 따라서 미래의 산성강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국뿐 아니라 인접국의 이산화황 및 질소산화물 배출도 함께 감소되어야 한다. 동북아지역 국가들은 경제발전단계 및 환경협력 논의에서의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내에 환경협력을 위한 다자간 협약을 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ESCAP, APEC 등 기존의 지역협력기구를 이용하거나 IBRD, ADB 등의 다자간 외부금융기관이나 공적개발원조 (ODA) 등을 통해 개선된 환경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고 지역환경개선을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성비와 관련한 동북아 환경협력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정치, 경제, 과학, 외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와 NGO도 포함하는 다차원적, 포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 PDF

북태평양에 있어서 월경 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 자원관리에 관한 경제적인 연구

  • 박성쾌;최재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1-353
    • /
    • 2001
  • 북태평양은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이고 그 특성이 다양한 바다이다 북태평양경제의 해양에 대한 사회경제적 의존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북태평양은 자원, 경제적 기회, 부의 원천으로 여겨져 왔다. 우리의 호기심과 개발의욕을 불러 일으키는 북태평양의 광대함은 그 이용과 관리에 대한 어떤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이용이 어려운 국면에 놓이게 되었다. 바다에 관한 우리의 더 많은 이해는 이런 인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중략)

  • PDF

초점 -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국민 안전 관리 로드맵' 제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6 no.5
    • /
    • pp.5-19
    • /
    • 2016
  •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26일 행정절차법 제46조에 따라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안)"(이하 '기본계획(안)')을 행정 예고했다. 이번 기본계획(안)은 미래 세대를 위해 고준위 방폐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식과 절차를 담은 사실상 최초의 '중장기 안전 관리 로드맵'으로서,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고준위 방폐물의 안전 관리의 세부 절차와 틀을 제시한 "권고안"을 바탕으로 정부 차원의 기본 계획을 만든 것이다. 산업부는 이번 기본계획(안)에 대해 6월 중순경 공청회 등 의견 수렴을 거쳐, 7월경 총리주재 원자력진흥위원회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기본계획(안)은 현재에서 최선의 관리 방식을 선택하면서 현실적 대안도 감안한 것으로, 향후 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5년 단위로 보완할 예정이며, 과학 조사, 부지 선정 등 투명한 절차를 담은 (가칭)"고준위방폐물 관리절차에 관한 법률"을 금년중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기본계획(안)은 미래 세대를 위해 고준위 방폐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식과 절차를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PDF

A Study Seek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Yellow Sea Large Marine Ecosystem Project (황해광역해양생태계 프로젝트의 실효성 확보에 관한 연구)

  • Kim, Jin-kyung;Kown, Suk-jae;Lee, Sa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7
    • /
    • pp.987-994
    • /
    • 2021
  • The Yellow sea, as described in article 123 of UNCLOS, is semi-enclosed sea surrounded by the Republic of Kore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North Korea. In addition, the Yellow Sea is one of the 66 large marine ecosystems as it contains large amounts of marine resources. According to article 194 of UNCLOS, states should be aware of rights and duties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to be engaged with countries directly as regional entity or indirectly. Therefore, the legal blank is urgent in terms of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ant issues. The UNDP has conducted a project called Yellow Sea Large Marine Ecosystem (YSLME) which has reached the 2nd phase. The project has some notable achievements, namely performing joint activities on analysis of diagnostic trans-boundary issues in collaboration with China and South Korea, developing a strategic action plan based on TDA, and establishing regional strategic action pla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 could not reflect the full participation of North Korea as a state party. As a result, the project has a limitation o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SAP.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uggestion of a legally-binding trilateral treaty as a blue print for the next, 3rd phase of the project. By analyzing the best practice of the Wadden Sea Trilateral Treaty case, the study verifies the validity of legislative measures on establishing and managing a legally-binding trilateral YSLME Commission. By suggesting a three phase treaty, incorporating a joint declaration by establishing the commission, the signing of the treaty, and formulating an umbrella convention and implementation arrangement, the study expects to guarantee the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of the trilateral treaty regardless of political issues pertaining to North Korea.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ngelica gigas Nakai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s (재배지별 참당귀의 생육특성)

  • Hong Woo Park;Hyun-Jun Kim;Ki Yoon Kim;Dae Hui Jeong;Chung Ryul Jung;Yurry Um;Kwon 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9-99
    • /
    • 2020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중국의 동북부지역, 일본 및 한반도 전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보혈, 활혈지통, 윤장등의 효능으로 심신혈허, 월경불순, 통경경폐 등의 병증에 주로 사용되었고, 8월부터 뿌리가 급격히 비대하여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수확을 한다. 본 연구는 참당귀의 주산지인 봉화, 평창을 비롯한 영양, 인제 등 4지역을 선정하여 미세기상장비를 설치 및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을 통해 지역별 생육환경을 측정하였고, 또한 참당귀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5월에서 10월까지 평균 대기온도와 일사량은 인제지역에서 다른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토양온도는 5월에서 8월까지는 영양지역이, 9월과 10월은 봉화지역이 다른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 토양 성분의 이화학적 특성은 봉화지역이 유기물(5.17%), 전질소(0.19%), 유효인산(2187.76mg/kg), 칼륨(1.53cmol+/kg)의 함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경향으로 확인되었고, 인제지역이 칼슘(12.63 cmol+/kg), 마그네슘(3.7cmol+/kg)등 미량원소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H는 지역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영양지역의 토성이 사질식양토로 배수성의 차이는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참당귀의 생육특성은 초장과 줄기직경은 영양지역에서 각각 70.95cm와 35.72m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잎 길이및 너비는 평창지역에서 각각 42.84cm, 52.39c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뿌리직경은 영양에서 50.49mm, 뿌리길이는 봉화에서 38.05cm, 생중량은 평창에서 328.23g으로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를 바탕 재배환경과 생장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 중 대기 및 토양온도, 대기 습도는 실험이 수행되어진 전 지역에서 이상고온이나 저온과 같은 특이점 없이 비슷한 양상으로 측정되었고, 이에 따라 참당귀생장에 대해 유의한 상관관계가 분석되지 않았다. 토양습도는 지상부(초장, 줄기직경, 잎길이, 잎너비)의 생육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사료되나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 PDF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PM10 & PM2.5 in Korea by Panel Quantile-Regression (패널 분위회귀분석을 통한 한국의 미세먼지 국내외 영향요인 분석)

  • Kim, Haedong;Kim, Jaehyeok;Jo, Hahy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1 no.1
    • /
    • pp.85-112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domestic and Chinese factors on fine dust(PM10 & PM2.5) in Korea by using the panel quantile regression. Daily analysis was conducted for 11 regions in Korea. For domestic factors, electricity demand and traffic volume, and for Chinese factors, interaction term of Chinese three cities' fine dust and the domestic west wind are used.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domestic factors was different when the domestic fine dust concentration was high and low.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as low, electricity demand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PM2.5, and didn't affect PM10 in the national analysis. In regional analysis, the amount of electricity dem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only in the capital area and Chungcheong. Electricity demand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both PM2.5 and PM10 when it was high.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 factor always had a significant effect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addition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reduction of PM2.5 generated by domestic thermal power generation should also be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present.

A New Cultivar Cymbidium 'White Princess' with White Color and Vigorous Growth (생육이 강한 대형 백색계 심비디움 'White Princess' 육성)

  • Kim, Mi-Seon;Cho, Hae-Ryong;Lee, Hye-Kyung;Lim, Jin-Hee;Choi, Sung-Yul;Kim, Young-Ji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4
    • /
    • pp.295-298
    • /
    • 2008
  • A new Cymbidium cultivar 'White Princess' was released by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2005. A cross was made in 1995 between 'Cymbidium 2113', light purple colored petal and medium plant sized variety, and 'Lucky Rainbow Randevous', a dark purple petal with red lip and large type variety. The ninety progenies were obtained after planting and acclimatization in green house. In 2000, a line (9526747) was selected and multipliticed after test of its flower color, leaf shape, flower stalk, and vigorous growing habit. After evaluation trial for two growing seasons, the selected line was named as 'White Princess'. The 'White Princess' has white petals (WN 155A) with red lip (RP59D) color and large sized leaves, and flowers (leaf length is about 88 cm and flower diameter is about 8 cm) with semi-erect flower stalks. Blooming started from December to January in optimal culture conditions. High temperature (more than $30^{\circ}C$) and low light intensity(less than 10,000Lux) should be avoided for the appropriate growth.

Influences of Addition of Jellyfish Powder to Bed Soil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Bed Soil (해파리 분말의 상토 첨가물로서의 효과 및 상토의 미생물 군집 변화에 대한 연구)

  • Beck, Bo-Ram;Choi, Jae-Ho;Kim, Young-Rok;Cha, Ha-Eun;Do, Hyung-Ki;Hwang, Cher-W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2
    • /
    • pp.227-234
    • /
    • 2012
  • Recently, the population of toxic and/or unusable jellyfish is increasing during summer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causing massive economical and ecological damage to fisheries, nuclear power plant and marine environment.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jellyfish as a potential soil additive for horticulture. The jellyfish was solidified and homogenized, then mixed with a commercial bed soil. Allium tuberosum ROTH was planted to control bed soil (BS) and jellyfish powder mixed bed soil groups (Mixed bed soil, MBS), and following parameters were measured during five weeks: water cont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growth of leave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s of each pot were analyzed by DGGE. The relative water adsorption of jellyfish powder was about 2.5 times greater compared to its dry weight. The water content of MB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S group 6.5 to 14.2%,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MBS group was measured around 2.8 dS/m where BS group was resulted average of 1.8 dS/m. However, the leaves of BS group were grown 30% longer compared to MBS group. DGGE analysis of MBS group was shown in high number of phylum Bacteroidetes and increased diversity of Sphingobacteriia compared to BS group. Jellyfish powder as a soil additive surely will be a good candidate as humectant and microbiota stimulator, although there are several obstacles such 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residual alum salt which used for solidification of jellyfish.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of Maesa japonica Seedlings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 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

  • Min-Ji Park;Ju-Eun Yang;Chae-bin Lee;Yeon-Ok Seo;Byoung-Ki Choi;Eun-Young Im;Hyung-Soon Cho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0-30
    • /
    • 2021
  • 빌레나무는 국내에서 제주도 서부 곶자왈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개체수가 희소한 종이다. 본 연구는 광 환경이 빌레나무 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서귀포시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내 양묘장에 차광막을 이용하여 35%, 55%, 75% 차광 처리구를 설치하였고 노지에 비차광 처리구를 비교구로 설정하였다. 2019년 7월에 삽목 증식시킨 빌레나무를 2020년 5월에 각 처리구에 이식하였다. 2021년 3월에 각 차광 처리구의 모든 묘목의 묘고, 잎의 수, 줄기 수를 측정하고 생육이 건전하고 평균적인 묘목을 각 9본씩 굴취하여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35%, 55%, 75% 차광 처리구별 평균 묘고(cm)는 각각 53.2, 51.3, 41.4, 평균 잎의 수(개)는 41.3, 42.1, 24.4, 평균 줄기 수(개)는 3.1, 2.7, 2.2로 나타났다. 평균 묘고, 잎의 수, 줄기 수는 35% 차광 처리구와 55% 차광 처리구에서 75% 차광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건중량 분석 결과, 35%, 55%, 75% 차광 처리구별로 평균 잎 건중량(g)은 각각 11.3, 9.5, 5.5, 평균 줄기 건중량(g)은 5.6, 5.3, 2.6, 평균 뿌리 건중량(g)은 4.5, 3.6, 2.6으로 차광률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모든 부위별 건중량은 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지상부 대비 지하부 비율은 75% 차광 처리구에서 0.35로 가장 높았으며 35%, 55% 차광 처리구에서 0.27, 0.26로 나타났다. 한편, 비차광처리구의 모든 묘목들은 2021년 1~2월경 지상부가 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빌레나무 묘목은 노지에서 생존률이 불량하고, 차광 처리 시 차광률 증가에 따라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빌레나무의 건전한 생육 및 유무성증식을 통한 보급 증대에 기여하기 위하여 향후 온도, 수분 등 여러 환경 인자를 조절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