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형 복원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Proposition on Landscape Restoration of Joseon Dynasty's Palace Gardens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 Ahn, Gye-Bog;Lee,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3
    • /
    • pp.10-2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riteria for landscape restoration of palace gardens. The case study on Gyeongbokgung and Changdeokgung was used not only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criteria, but also to propose solutions to issues of current restoration process of both palace gardens. Following three pairs of different concepts were chosen as criteria to determine on the original form: Diachrony vs. Synchrony, Originality vs.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and Invariance vs. Deformability. Gyeongbokgung has been restored based on its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Year 1888 and the main focus is on its architectural features rather than both architecture and landscape. However, in-depth complementary work on landscape restoration is necessary to restore its originality in Year 1395 such as analyzing photos of Gyeongbokgung taken in modern era. In case of Changdeokgung, we analyzed separately by region or landmark such as Jondeok-Pavilion(尊德亭), Yeonkyung-Hall(演慶堂), and Okryu-Stream(玉流川). Original form of Jondeok-Pavilion Area was changed in 1884. Since diachronic invariance that lasted for 240 years is more important criterion than its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restored as how it was painted in Donggwoldo(東闕圖). In Yeonkyung-Hall Area, both original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Hyomyung Crown Prince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Emperor Kojong Era appear. Therefore, different solution is required for such area to be restored appropriately. Starting from era of King Injo(1636), diachrony and invariance of Okryu-Stream Area were continued throughout the era of King Sukjong and King Jeongjo(1800). It is more than 250 years before Okryu-Stream Area was altered under the rule of Emperor Kojong in 1884. In fact, alterations made to Okryu-Stream Area after 1884 doesn't hold much significance. Therefore, water landscape of Okryu-Stream Area, which was altered in the era of Emperor Kojong, needs to be restored based on Donggwoldo.

Development of Environment Education Software for the Ruins Original Form Restoration Technique (유적원형 복원 기법을 이용한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 Lee, Min-G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6-568
    • /
    • 2010
  • 본 논문은 유적 원형 복원기법을 이용하여 문화재를 복원하여 표현하고, 아날로그 복원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서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고 활용하는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 PDF

Error Correction in Korean Morpheme Recovery using Deep Learning (딥 러닝을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의 원형 복원 오류 수정)

  • Hwang, Hyunsun;Lee, Changki
    • Journal of KIISE
    • /
    • v.42 no.11
    • /
    • pp.1452-1458
    • /
    • 2015
  •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is a difficult process. Because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in Morphological Analysis is Morpheme Recovery. There are some methods using Heuristic rules and Pre-Analyzed Partial Words that were examined for this process. These methods have performance limits as a result of not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built a Korean morpheme recovery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this system used word embedding for the utiliza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들/VV' and '듣/VV' morpheme recovery, the system showed 97.97% accuracy, a better performance than with SVM(Support Vector Machine) which showed 96.22% accuracy.

Research on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e Archetype (문화원형의 디지털복원)

  • Lee, Chang-So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1
    • /
    • pp.25-36
    • /
    • 2010
  • Recently, digitizing technologie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angibl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coming into spotlight. Because cultural properties are easy to be lost and damaged over the years, After construction of cultural assets database we can reconstruct the cultural asset making use of the reverse engineering when needed, and implement digital contents such as computer graphics, 3D virtural realization, hologram, etc. So in this paper, we scrutinize visual and technical factors occurring in different types of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s, and try to research technological prowess and visual mechanism.

Development of Virtual 3D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Culture Archetype of BanChaDo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 개발)

  • Kim, Hye-Weon;Kim, Eun-Ji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7-3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료 검증을 바탕으로 반차도의 문화원형(文和元型, Culture Archetype) 가상복원을 통한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반차도란 의궤에 담긴, 조선 시대 왕실의 행차를 그린 그림을 의미한다. 조선의 왕실문화를 활용한 궁궐콘텐츠는 한국 고유의 것이며,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반차도를 활용한다면 국민의 전통문화 향유를 증대시킬 수 있다. 현대에서는 재현행사를 통해 왕실의 행차를 재현하고 있지만, 실내에서는 재현하기 어려워 왕실 행차에 대한 문화유산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닷컴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반차도 관련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반차도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심도 있는 반차도 학습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료 고증 메타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문화원형 가상복원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문화원형 가상복원을 위한 3D 증강현실 콘텐츠의 활용 가능 모습을 살펴보고, 기록유산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제안하다.

  • PDF

3D Digital Restoration of Five-Storeyed Stone Pagoda on Jeonglim Temple Site (정림사지오층석탑 3차원 디지털복원)

  • 박찬석;전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9-552
    • /
    • 2004
  • It restores digitally the five-storeyed stone pagoda on Jeonglim temple site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cultural assets of Baekje dynasty with the necessity of virtual heritage. We ensure d the exact data by actual measuremen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digital restoration and restored original features 1500 years ago. The restoration result presents the process of change by animation methods from the manufacture time past to flow.

  • PDF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Old Jeon-Nam-Do-Kyoung: An Byeongha's Spirit of Loving People (옛 전라남도경찰국의 복원과 활용: 안병하의 위민정신)

  • Jeong, by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41-142
    • /
    • 2019
  • 옛 전남도청과 전남도경찰국이 1980년 5.18 당시 모습으로 복원될 예정이다. 옛 전남도경찰국을 원형복원하여 민주주의의 산 역사 현장으로 전시와 교육,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옛 전남도경찰국의 원형복원은 5.18 당시 시민군이 옛 전남도 경찰국에서 했던 일과 흔적을 정리해 원형복원해야 할 것이다. 5.18 당시 안병하 도경국장은 근무지 이탈 없이 최선을 다하여 수습을 위해 노력했고, 상부의 강경진압을 거부하고 시민의 안전을 강조하는 소신을 유지해 초기에 광주시내 무기를 소산시켜 탈취방지 뿐만 아니라 경찰무장으로 인한 더 큰 비극을 막았다. 옛 전남도경찰국의 복원공간은 5.18정신을 기리는 시민교육장으로 또 안병하 도경국장의 민주경찰정신과 위민정신을 기리는 공간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Comparison of Calculation Methods for Probabilistic Korean Morpheme Recovery Model (한국어 형태소 복원 확률 모델의 계산 방법 비교)

  • Lee, Daniel;Kim, Bogyum;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130-132
    • /
    • 2011
  • 형태소 복원은 형태소 분석의 한 단계로 문장에 나타난 형태소의 변형 현상을 분석하여 규칙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형태소 원형을 복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품사 부착 말뭉치로부터 다양한 형태소 변화 규칙을 학습하여 효과적으로 형태소 원형을 복원하기 위한 계산 방법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계산 모델, 한글 코드, 학습 자료를 다르게 하여 학습하고 그에 따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PDF

Development of Environment Education Software for the Ruins Original Form Restoration Technique (유적원형 복원 기법을 이용한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 Jin, Byung-Wook;Lee, Keun-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0-72
    • /
    • 2009
  • 본 논문은 유적 원형 복원기법을 이용하여 문화재를 복원하여 표현하고, 아날로그 복원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서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고 활용하는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 PDF

Language Model Smoothing for Korean Morpheme Recovery (한국어 형태소 복원을 위한 언어모델의 평탄화(smoothing))

  • Lee, Daniel;Kim, Bo-Gyum;Lee,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09-311
    • /
    • 2012
  • 형태소 복원은 형태소 분석의 한 단계로 문장에 나타난 형태소의 변형 현상을 분석하여 규칙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형태소 원형을 복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품사 부착 말뭉치로부터 다양한 형태소 변화 규칙을 학습하여 효과적으로 형태소 원형을 복원하기 위한 계산 방법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계산 모델, 한글 코드, 학습 자료를 다르게 하여 학습하고 그에 따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