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전 오염수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원자력 발전 정책

  • 김세종
    • 전기의세계
    • /
    • v.39 no.11
    • /
    • pp.15-20
    • /
    • 1990
  • '90년대는 페르시아만사태 등으로 인한 고유가시대의 도래, 대기오염 규제기준의 강화등 화석연료의 사용제한과 국민소득의 향상에 따른 전력소비의 급증으로 원전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은 불가피한 실정이나 지자제의 실시, 반핵전쳉 ㅣ 활동 등으로 원전사업 여건이 결코 순탄하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안정공합측면에서 원전사업을 지속해야하며 기술자립의 촉진, 핵주기의 확립,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등 원전사업을 둘러싼 정책과제들을 하나씩 해결하여 더욱 안전하고 경제적인 전력을 공합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신뢰감을 쌓아가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90년대는 그 어느때보다도 원자력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뜻을 모아 각자 맡은바 역활에 충실해야겠고, 아울러 보다많은 대화와 설득으로 온 국민의 이해와 협조를 구함으로써 2000년댈르 향한 재도약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A Study on the Some Considerations of Coverage of Losses caused by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the Marine Insurance (해상보험에 있어서 방사능오염손해에 대한 보상 문제)

  • Hong, Sung-Hwa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5
    • /
    • pp.455-462
    • /
    • 2011
  • The accident in the Fukushima nuclear plant caused by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n March 11, 2011 is raising voices concerning over radioactive contamination losses. In particular, radioactive contamination losses threaten the safe navigation of vessels, and may impair seafarers' safety and impede the healthy growth of world economy through marine transportation. In case vessels or cargos suffer radioactive contamination losses, it will take a high cost to remove the radioactive contaminants, and in worse cases the contaminated vessels or cargos may have to be abandoned. Furthermore, if seamen are exposed to radioactivity, their treatment can be raised as a crucial issue.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reviewed clearly by what method and on what ground such losses should be covered in case radioactive contamination losses take place. Thus, this study purposed to review coverage for radioactive contamination losses in marine insurance as an ex post preparation for damages caused by radioactive contamination.

A Study on Awarenes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원자력발전과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인식 연구)

  • Yeon-Hee Kang;Sung Hee Yang;Yong In Cho;Jung-Ho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8 no.2
    • /
    • pp.109-117
    • /
    • 2024
  •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living in the Busan area and analyzed a total of 201 questionnaire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women had a more negative percep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than men. In terms of age, it was found that people in their 40s and older had a high level of negative perception. In terms of political inclination, progressive respondents showed a higher negative perception toward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Second, information on nuclear energy was most often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broadcasting, and SNS. Third, the higher the negative percep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the more negative the results were in terms of issues of concern following the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at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Nuclear power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ccurate information and a knowledge delivery system are needed to ensure correct awarenes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ssessment of the Radiological Inventory for the Reactor at Kori NPP Using In-Situ Measurement Technology (In-Situ 측정법을 이용한 고리 원자로 방사선원항 평가)

  • Jeong, Hyun Chul;Jeong, Sung Yeop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2 no.2
    • /
    • pp.171-178
    • /
    • 2014
  • After the expiration of operating license of a plant, all infrastructures within the plant must be safely dismantled to the point that it no longer requires measures for radiation protection. Despite the fact that Kori 1 and Wolsong 1 are close to the expiration of their operating license, sufficient technologies for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 decontamination and dismantling is still und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e of methods for radiological inventory assessment on measuring object by using direct measure of large component with In-Situ measurement technique. Radiological inventory was assessed by analyzing nuclide using portable gamma spectroscopy without dismantling reactor head, and the result of direct measurement was supplemented by performing indirect measurement. Radio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surface contamination samples as well. During the study, radiological inventory of reactor vessel calculated expanding the result. Based on the result and the radioactivity variation of each radionuclides time frame for decommissioning can be decided. Thus, it is expected that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pl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to workers.

Effect of experiment process on corrosion damage of metallic material for nuclear energy instrument with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화학제염 시 시험공정이 원전기기용 금속 재료의 부식손상에 미치는 영향)

  • Jeong, Gwang-Hu;Yang, Ye-Jin;Park, Il-Cho;Lee, Jeong-Hyeong;Han, Min-S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6-136
    • /
    • 2017
  • 화학제염 기술은 산화제, 환원제, 금속이온, 무기산등이 혼합되어 있는 화학용액을 사용하여 원전기기 계통 내부에 생성된 고방사능 준위의 산화막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원전의 해체 및 유지보수에 있어 방사능 피복저감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현재 원전 해체 산업은 잠재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원전 보유국의 경우, 기존 상용 제염기술과는 차별성 있는 제염기술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기존의 공정과 비교하여 공정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화학용액에 의한 원전 계통 금속 부품의 부식 및 손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금속 부품이 화학약품에 의한 부식손상을 받는다면 금속 부품의 수명 및 재활용 가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화학제염 기술 적용에 있어 용액에 대한 재료의 건전성 평가가 사전에 필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전 냉각재 펌프용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Stainless 304강을 시험편으로 선정하여, 화학제염 시험공정 3가지에 대한 부식손상 특성을 규명하였다. 산화공정은 과망간산($HMnO_4$) 용액을 공통으로 사용하였으며, 산화공정 종료 후 환원공정은 각 시험공정에 따라 시험공정 1은 옥살산($H_2C_2O_4$) 2000ppm, 시험공정 2는 옥살산($H_2C_2O_4$)1500ppm + 시트르산($H_8C_6O_7$)500ppm, 그리고 시험공정 3은 옥살산($H_2C_2O_4$) 3000ppm 용액을 각각 투입하여 수행하였다. 산화, 환원공정을 1Cycle로 하여, 각 시험공정 별로 총 5Cycle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공정 Cycle종료 후 시험편을 취외하여 무게감량측정,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3D현미경분석 그리고 타펠분극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Stainless 304강에 대한 화학제염 시 모델별 시험공정에 따른 부식특성을 규명하였다.

  • PDF

고온 물에서 304 와 600 합금의 입계응력부식균열(IGSCC)의 상이성과 유사성

  • 권혁상;김수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5a
    • /
    • pp.22-22
    • /
    • 1998
  • 304 는 BWR(boiling water reactor)의 reactor 구조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고, 합금 600 은 PWR(pressurized water reator) 의 증기 발생기 세관으로 쓰이고 있으며 모두 약 $280{\;}^{\circ}C$ 이상 의 원자로 냉각수에 노출되어 있다. 원자로 냉각수 분위기에서 두 합금의 공통적인 특정은 입계응력부식균열(IGSCC)에 민감한것과 IGSCC가 예민화(sensitization)와 관련이 있는 것이 다. 두 합금에서 일어나는 IGSCC는 원자력발전소의 부식피해중 가장 빈도가 높고 발생시 방사능 누출로 인하여 원전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가동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초 래하여 지난 20 년 동안 가장 심도있게 연구된 주제다. 304 은 크롬 탄화물의 업계 석출로 언하여 예민화된경우 IGSCC 에 민감한 반면 600 은 예민화된 경우 뿐만 아니라 용체화처리된 상태에서도 IGSCC에 민감하다. 오히려 600은 용 체화처리 후 700 C에서 15~20시간 시효처리를 하여 크롬탄화물을 업계에 석출 시커었을 때 IGSCC 저항성이 향상된다. 두 합금의 IGSCC 특정 중 큰 차이는 304는 임계균열전위 ( (critical cracking potential) 이 존재하여 부식전위(corrosion potential) 가 엄계균열전위보다 낮 은 경우 IGSCC 가 일어나지 않지만 그 반대인 경우 IGSCC 에 민감하게된다. 반면에 600 은 뚜렷한 임계균열전위가 존재하지 않고 양극 분극(anodic polarization) 뿐만 아니라 음극분극 시에도 IGSCC 가 일어난다. 이련 이유로 600의 IGSCC 가구로 피막파괴-양극용해(film rupture-anodic dissolution)외에 수소취성(hydrogen embrittlement)기구도 제안되고 었다. 원전의 냉각수는 고 순도의 물이지만 수 처리 과정과 웅축기 배관의 누수로 인한 산소, $Cu^{2+},{\;}S_xO_6{\;}^{2-}(x=3~6)$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는데 이려한 오염물질들이 수 ppm정도 소량 포함된 경우 응 력부식민감도는 상당히 증가된다. 산성분위기 흑은 산소, $Cu^{2+}$, 등이 소량 포합된 산화성 분위기 그리고 sufur oxyanion 에 오염된 고온의 물에서 600 의 IGSCC 민감도는 예민화도가 증가할 수록 민감하여 304 의 IGSCC 와 매우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 본 강연에서는 304 와 600 의 고온 물에서 일어나는 IGSCC 민감도에 미치는 환경, 예민화처리, 합금원소의 영향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과 방식 방법을 다룬다.

  • PDF

Analysis on the Oceanic Circulation and Pollutant Transport near a Wolsung Nuclear Power Plant (월성원전주변의 해수유동 및 오염물 이동해석)

  • Park, Geon-Hyeong;Kim, Ki-Chul;Lee, Jung-Lyul;Suh, K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0-250
    • /
    • 2011
  • 지정학적으로 3면이 바다로 접하고 있는 우리나라 해안가 주변의 원자력발전소는 관류형 냉각 방식(Once-through cooling System)을 채택하고 있기에, 이 계통을 통과한 냉각수는 주변해역으로 흘러들어가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동해 주변 인접국들의 활발한 원자력 이용과 방사능 물질의 수송 등으로 인해 방사능 사고 위험이 증대됨에 따라 동해 원전 주변의 해양방사성물질 거동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해의 해양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해역에서의 오염 물질의 거동 파악이 중요하고, 산업시설 주변 연안의 오염물 이동 및 해석을 위해 오염물의 시 공간적으로 농도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직 수평적으로 2차원 및 3차원화가 용이한 EFDC 모델을 사용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간하는 DC103의 수치해도를 이용하여 모델영역은 동서방향으로 171km, 남북방향으로 235km로 설정하고, 격자간격은 $1km{\times}1km$의 정방향 격자를 사용하여 동해 월성 주변의 조위 시계열 검증 및 조화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관측한 결과와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년별 수온, 염분 자료 등의 해양환경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염 물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사고시 피해를 줄이고자 한다.

  • PDF

Study on Development of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nsor System (해양환경 모니터링 센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un,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11-212
    • /
    • 2019
  • Sinc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has occurred in Fukushima, marine pollution problem has been a hot issue due to discharging of contaminated water This paper de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nsor system. In this paper, we study on sensor and communication system to observe the various source of maritime pollution in realtime and transmit the measured date to observation center.

  • PDF

Characterization on corrosion damage of nickel alloy for nuclear energy instrument by chemical decontamination solution (원전기기용 니켈합금강의 화학제염용액에 따른 부식손상 특성 규명)

  • Park, Il-Cho;Yang, Ye-Jin;Jeong, Gwang-Hu;Lee, Jeong-Hyeong;Han, Min-S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5-135
    • /
    • 2017
  • 제염기술은 원자력발전소의 순환계통장치 및 기기류의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 원전의 설계 수명 및 유지보수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작업 전 작업자의 방사선 피사량을 극소화하기 위한 제염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염 방법에는 크게 기계적 제염과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화학제염이 있다. 그 중 화학제염은 복잡한 구조의 제염 대상물에 대한 큰 효과 및 간단한 공정 때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제염 시 방사성 산화물과 오염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강산 또는 강알칼리의 화학용액이 사용된다. 강한 화학약품을 사용함으로써 큰 제염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금속 재료의 부식에 대한 구동력도 커지게 된다. 금속 재료의 경우, 강한 부식성 환경에서 공식(pitting corrosion) 및 입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형태의 손상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제염공정 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에 대한 재료의 건전성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전기기용 재료인 니켈합금강 Inconel600의 화학제염 시 시험공정 3가지에 대한 부식손상 특성을 규명하였다. 산화공정은 $HMnO_4$ 실험용액을 공통으로 사용하였으며, 산화공정 종료 후 환원공정은 각 시험공정에 따라 환원공정 1은 2000ppm $H_2C_2O_4$, 환원공정 2는 1500ppm $H_2C_2O_4$ + 500ppm $H_8C_6O_7$, 그리고 환원공정 3은 3000ppm $H_2C_2O_4$ 실험용액을 각각 투입하여 수행하였다. 산화, 환원공정을 1Cycle로 하여 온도 $75^{\circ}C$로 유지된 용액에 각 2시간씩 침적하였다. 각 시험공정 별로 총 5Cycle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공정 Cycle종료 후 시험편을 취외하여 무게감량측정,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분석, 3D현미경분석 그리고 타펠분극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니켈합금 Inconel600에 대한 화학제염 시 시험공정에 따른 부식특성을 규명하였다.

  • PD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using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A Case Study of Chernobyl (공간정보 모델링을 이용한 원전 사고의 환경 영향 평가: 체르노빌 사례연구)

  • Lee, Sang-Won;Song, Ah-Ram;Park, No-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1
    • /
    • pp.129-143
    • /
    • 2012
  • This paper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advanced spatial modeling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impact assessment through a case study of Chernobyl nuclear accident occurred in 1986. Land-cover types changed after the accident are analysed by a post 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using bi-temporal Landsat TM data acquired in 1986 and 1992 near the accident site. Spatial modeling including various kriging algorithms are also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es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thyroid cancer incidence rates in Belarus, which was greatly damaged by the accident. The change detection results clearly showed the decrease of croplands and the increase of abandoned lands, and concrete structures were newly built around the nuclear plant to prevent the spread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Belarus, high Cesium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southern areas with high thyroid cancer risk estimated by Poisson krig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hich could account for geographic variations of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Cesium concentrations and distances from the Chernobyl nuclear power plant, was applied to ex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thyroid cancer risk. The estimated risk values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of 0.98 with respect to the thyroid cancer risk values, which implied that the thyroid cancer risk in Belarus was affected by the accident.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advanced spatial modeling techniques appli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ublic health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