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적외선 방출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식품보관용기 개발 (Development of Far-IR Emitting Package)

  • 김봉규;한현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57-259
    • /
    • 2002
  • 원적외선은 파장이 매우 긴 빛으로 우리 생활에 가장 유익한 빛이다. 이는 인체에 전혀 해가 없이 생체 활동을 촉진하는 광선으로 숙성, 온열, 자정, 건조, 연수 등 다양한 작용을 하는 불가사의한 빛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원적외선을 활용한 분야는 건설, 주택, 가전제품, 의류, 화장품, 농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그 과는 이미 많은 부분에서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이 향상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기능성 포장재에서 딸기의 이차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나아가 신선도를 향상시키는 식품 포장재를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음식물 쓰레기 발효를 위한 원적외선 가열기의 모형 제작 및 방출 성능 분석 (Modeling and Analysis of the FIR Heater for Food Waste Fermentation)

  • 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4-196
    • /
    • 2002
  • 지하수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음식물의 매립은 법적 제재를 받게 되었고, 따라서 음식물을 퇴비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힘입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원적외선 가열기를 법랑 및 전열선을 사용하여 설계(특허출원 출원번호 : 10-2002-0017492)하였고, 가열의 효과를 돕기 위한 원적외선 발열 교반기도 설계하였다. (실용신안 출원 출원번호 : 20-2002-0009572). 또한 간이 원적외선 발열기를 통한 색상차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효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Spitzer (IRAC & MIPS)+AKARI (FIS) data를 이용한 원시항성의 물리적 성질 연구

  • 하지성;이정은;정웅섭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66.2-66.2
    • /
    • 2010
  • 별 탄생 초기 진화 단계에 있는 원시항성들은 별 주변 물질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낮은 온도로 인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원적외선 영역에서 방출한다. 그러므로, 원시항성 진화 연구에서 진화단계와 물리적 특성을 바르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원적외선 관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원적외선 자료의 중요성을 정량적으로 보이기 위하여 이미 c2d 스피처 레거시 팀에서 동정한 원시성 중, IRAS Point Source Catalog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AKARI FIS Catalog에는 존재하는 원시성들을 뽑아내어 AKARI 원적외선 플럭스의 유무에 따른 Bolometric Luminosity와 Bolometric Temperature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뿐만 아니라 AKARI 원적외선 플럭스의 유무에 따라 연속복사전달 모델로부터 얻어지는 물리량, 특히 성간복사장의 세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 PDF

반려견의 원적외선 에너지 방출 황토원단 방석에 대한 반응의 탐색 (Exploration of Response to Dog's Far-Infrared Energy Release Loess Fabric Cushion)

  • 이구연;이형환;함석찬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36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반려견의 건강과 인간에게 돌아오는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인간에게 좋은 원적외선 방출 황토섬유로 반려견 방석을 제조하여 반려견에게 적용하여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바디유 원적외선방출 황토방석과 보통의 황색방석을 놓고 소형 반려견 12마리를 대상으로 선호성을 관찰하였다. 결과: 반려견들이 황토방석과 일반방석의 선호도에서는 83.3%가 황토방석에 주로 앉거나 수면을 취하였다. 물어뜯기 성격은 83.3%가 개선되었다. 황토방석을 이용 후에는 4 마리에서는 눈병, 1 마리에서는 습진 및 2 마리가 알레르기 등이 개선되었고, 나머지 개는 변화가 없었다. 활동 상태는 체험 후에는 50%가 조용해지었다. 성격 변화는 87.5%가 순해지었다. 결론: 황토방석이 반려견들의 취향과 성격에 많은 변화를 주고, 피부병이 완화되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새로운 황토방석을 반려견이 스스로 선택하는 선호성에 대한 탐색연구로서 이 분야의 기초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황토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수지 물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Polymer Composite Properties Using a Red Clay)

  • 서경원;지현주;팽매매;이주보;장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32-335
    • /
    • 2011
  •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과 항균, 탈취, 난연등의 효과를 가지는 황토를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복합소재를 연구하여 환경 친화적인 특징과 원적외선, 음이온의 방출을 이룰 수 있는 복합소재 조성을 연구하였다. PP는 MI가 2~60이고, TPE로 Ethylene계을 사용하였으며, 황토와 PP의 혼련을 도와주기 위하여 MA-g-PP를 첨가하였고, 활제, 분산제 및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compounding 하였다. 또한 황토의 종류에따라 적황토, 호황토, 홍토, 백토, 흑토등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황토 마다 다양한 종류의 입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환경 친화적이며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으로 compounding 하였다, 황토의 종류에 따른 복합재료의 물성으로부터 기계적 특성치, 원적외선 방사율, 난연성등을 확인하고, 친환경 난연 복합소재 기술을 연구하였다. 적황토의 경우 황토의 함량이 많을수록 인장강도는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입도가 작을수록 인장강도가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파단신율의 경우 적황토(#2000)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굴곡강도, 충격강도의 경우 적황토(#5000)에서 MI 의 경우 적황토(#325)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 PDF

게르마늄 함유 감성의류용 직물의 원적외선 방출 특성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Germanium Included Fabrics for Emotional Garment)

  • 김현아;김승진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687-6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방출 직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나노사이즈 게르마늄 업자와 PET chip을 마스터 배치 칩으로 제조하고 이를 PET와 용융 방사하여 sheath-core conjugate 복합사를 제조하여 이들의 물성과 이들 복합사로 제조한 직물의 원적외선 방출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게르마늄을 함유한 필라멘트와 직물의 물성을 측정하고 이들 물성이 사가공 공정의 중요공정 인자인 벨트각과 사속비 등의 공정인자와 직물 설계에서의 경사와 위사의 밀도에 관계하는 직물 밀도 계수 등의 설계 조건에 의해 직물 역학 특성과 직물 촉감등의 물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져 오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최적 방사조건에 의한 core부에 게르마늄이 함유된 sheath-core형 PET복합사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절단강신도 모두 일반 PET계(系)의 물성치를 보였으며 DTY는 제직성에 문제가 없는 강신도를 보였고 습건열 수축률은 일반 PET사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게르마늄 함유 직물의 원적외선 방사강도는 $5{\sim}20{\mu}m$ 파장 영역에서 $3.53{\times}10^2W/m^2$을 보였으며 방사율은 0.874를 보였다. 그리고 최적 사가공 공정 조건 설정과 최적 직물밀도 설계로 직물의 역학 특성치와 촉감 특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닥나무 목질부로 제조된 파티클보드의 원적외선, 폼알데하이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및 탈취율 (Emission Characteristics of Far-infrared Ray,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Deodorization Rate of Particleboard Prepared from Xylem Par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3-230
    • /
    • 2014
  • 본 연구는 한지 제조과정에서 특별한 용도가 없어서 버려지는 닥나무 목질부로 밀도 및 수지첨가량별로 파티클보드를 제조하고, 이를 건축마감재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탈취효과, 원적외선 방사 및 실내 공기오염물질 방사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측정 결과 보드의 밀도 및 수지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탈취율은 증가하였다. 탈취율은 80~90%, 원적외선 방사율은 0.892~0.899로 비교적 높았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수지첨가율 13%, 밀도 $0.6g/cm^3$인 보드가 $0.074mg/m^2{\cdot}h$로 가장 적게 방출되었고, 폼알데하이드는 보드 제조 조건별로 $0.004{\sim}0.006mg/m^2{\cdot}h$로 미세한 방출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보드 제조 조건을 다양하게 하여 용도에 맞는 보드제조가 가능하다면, 닥나무 목질부로 제조된 보드는 건축마감재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토를 부착한 이불 면 원단의 원적외선 방출량 및 생균의 분리 동정 연구 (A Study on Far-infrared Radiation and Proliferation of Ocherous Cotton Quilt Fabrics)

  • 이구연;이형환;함석찬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1-77
    • /
    • 2019
  • 목적: 특허 받은 황토 면 원단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면 원단을 20회까지 세탁을 하였을 때에 어떠한 미생물이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여 분리 동정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원적외선 방사능 측정기와 미생물을 영양배지에 배양하여 증식하는 단일 콜로니를 이용하여 16S rRNA법으로 동정하였다. 결과: 황토이불 면의 원적외선의 방사율은 40℃에서 5~20 ㎛에서 0.902(90.2%)이었고, 방사에너지는 3.63 × 102 w/m2로 높게 나타났다. 황토 이불 면 원단에서 2.0 × 102 cells/ml의 생균수가 존재하였고, 그리고 일반 면 원단에서는 생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단일 콜로니로 분리된 B-2 균주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은 1,419 bases이었고, A-4균주의 염기서열은 1,284 bases이었다. 이 두 균주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은 Bacillus 속 세균들과 높은 상동성을 보이었다. B-2 균주는 B. aryabhattai EF114313의 16S rRNA 염기서열과 99.0% 그리고 A-4균주는 B. bingmayongensis AKCS01000011의 16S rRNA 염기서열과 99.0%의 높은 상동성이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들을 활용하여 16S rRNA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하여 콜로니 균주 B-2를 B. aryabhattai BJ-2 균주로, A-4를 B. bingmayongensis BJ-4 균주로 최종 동정하였다. 결론: 황토 이불 면 원단에서 두 종류의 간균을 발견하였고, 이불 면 원단이 높은 량의 원적외선 및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발산하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본다.

Smith-Purcell 효과를 이용한 원적외선 광원에서 전자빔 군집의 효과 (Electron Beam Bunching Effect in Smith-Purcell Radiation as a FIR Light Source)

  • 임영경;이희제;김선국;이병철;정영욱;조성오;차병헌;이종민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51
    • /
    • 2000
  • 가속된 전자빔을 금속회절격자의 위로 통과시킬 때 결맞은 복사광(coherent radiation)이 발생하는데 이를 Smith- Purcell 효과라고 한다. 이때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은 회절격자의 주기, 전자빔의 속도 및 복사광의 방출각도에 관계된다$^{(1)}$ . 그리고 방출된 복사광의 출력세기는 전자빔의 군집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회절이론(diffraction theory)에 의해 얻을 수 있는데, 그 세기는 입사시킨 전자빔의 전류세기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2)}$ . (중략)

  • PDF

탄화지르코늄 함유 감성의류용 축열/발열 편물의 원적외선 방출특성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ZrC Imbedded Heat Storage Knitted Fabrics for Emotional Garment)

  • 김현아
    • 감성과학
    • /
    • 제18권1호
    • /
    • pp.49-58
    • /
    • 2015
  • 본 연구는 감성의류용 탄화지르코늄 함유 축열 니트의 원적외선 특성을 연구하였다. 탄화지르코늄 함유 축열 PET 원사가 이성분 방사법에 의해 방사되었다. 이 원사의 core부에는 고점도 PET와 탄화지르코늄을 혼합한 용액을, sheath부에는 저점도 PET 용액을 사용하여 콘쥬게이트 방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방사된 원사의 원소분석과 원적외선 특성 분석이 EDS와 FT-IR 계측기기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두 가지 조직의 니트 소재를 편직하여 이들의 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EDS 분석에서 Zr 피크를 확인하였으며 원사내에 Zr 원소가 19.29%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적외선 분석에서 $5{\sim}20{\mu}m$ 파장 영역에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3.65{\times}10^2W/m^2$, 방사율이 0.906 임을 확인하였다. KES-F7 측정기 분석에서 ZrC 함유 편성물의 Qmax 값이 일반 PET 편성물의 값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보온율 값은 ZrC 함유 편성물이 일반 PET보다 더 높은 값을 보이므로서 ZrC의 축열성을 확인하였다. 열전도도는 Zr의 높은 열전도도 때문에 일반 PET 편물보다 더 높은 값을 보였다. ZrC의 함유가 편물의 촉감에 미치는 영향을 없었으며 편성 조직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