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자력 사고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국가 방사능방재 대응능력 향상방안

  • 강영철
    • Nuclear industry
    • /
    • v.15 no.4 s.146
    • /
    • pp.76-82
    • /
    • 1995
  • 원자력발전소는 설계$\cdot$제작$\cdot$건설$\cdot$운전 등 전 단계에 걸쳐 철저한 안전성 확인과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인식하는 원자력안전문화의 확산 등을 통하여 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비록 발생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사고의 잠재성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사능방지대책을 미리 강구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고 총체적인 대응능력을 발휘하여 인근주민과 환경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 PDF

흑연의 연소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9 s.55
    • /
    • pp.57-65
    • /
    • 1987
  • 소련의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지도 거의 1년반이 되고 있다. 이 사고에서는 중성자감속재로 사용되고 있던 흑연블록의 연소가 피해를 크게 했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흑연의 연소, 즉 가스화반응을 총괄하였다.

  • PDF

위험도 정보 활용을 위한 화재사건 분석 방법론 개선 연구 현황

  • 이윤환;양준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80-87
    • /
    • 2003
  •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건은 원자로 정지를 유발함과 동시에 안전정지 또는 사고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손상시킬 수 있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원자력발전소에서 화재사고의 중요성은 실제 경험뿐만 아니라 국내외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화재사건 분석을 통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화재사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며, 각 발전소에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보다 강화된 화재방호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Safety seven years on (월드 리포트 - 안전을 위한 7년)

  • Prozesky, Peter
    • Nuclear industry
    • /
    • v.38 no.5
    • /
    • pp.17-20
    • /
    • 2018
  • 2011년 3월에 있었던 후쿠시마 다이치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7년이 지났다. 이 사고는 원자력산업계에 종사하는 모든 인원에게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교훈을 다시 한 번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WANO가 세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 신뢰성을 확대하기 위해 취했던 핵심 프로젝트를 돌아보고자 한다. WANO는 지난 7년 간 어떤 일을 해 왔으며, 안전 기준을 강화하기 위해서 어떠한 역무를 수행해야 하는가?

  • PDF

소련 체르노빌원전의 근황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4 s.62
    • /
    • pp.17-22
    • /
    • 1988
  •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력발전사상 최악의 사고가 발생한지 만 2년이 경과하였다. 체르노빌사고후의 복구작업은 소련사회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강점을 잘 보여 주었으며, 엄청난 문제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노력을 거국적으로 경주하였다. 다음은 James Varley씨가 1987년 12월 9일에 체르노빌을 방문한 후 NE지 3월호에 발표한 보고서이다.

  • PDF

TMI와 체르노빌이 주는 안전성 교훈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11 s.69
    • /
    • pp.18-25
    • /
    • 1988
  • `79년도 TMI사고와 `86년도 체르노빌사고는 전인류에게 많은 충격을 주었으며,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강조했던 모든 원전보유국은 입을 다물 수 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Harold R. Denton씨가 그동안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서 규제업무를 맡고 있던 경험에서 얻은 귀중한 교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PDF

일본에서의 최근의 원자력안전성 논점 - 원자력 기본정책, 원전 인가절차 및 TMI사고후 대책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6 no.11 s.45
    • /
    • pp.113-121
    • /
    • 1986
  • 일본에서의 최근의 원자력안전성에 관한 논점에 대해서 일본 원자력의 기본정책, 원자력발전소의 인가절차 및 TMI-2 사고이후 일본에서 논의되어온 중요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포함해서 개술소개코자 한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을 위해서는 높은 기술수준으로 플랜트를 설계$\cdot$제작$\cdot$건설하여야 되며, 주의깊게 운전하여야 된다. 또한 이상사태의 파급에 의한 영향을 체감시킴으로서 이상사태 발생방지에 최대한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원자력안전연구를 열류체변동에 초점을 맞추었을 경우 1963년 이후 국가프로젝트로 진행된 것중 몇가지는 국제협력으로 되어 있는데 Source term, 중대사고, 안전목표 및 입지평가와 서로 관련시켜서 생각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