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자력 발전

Search Result 1,69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개발도상국에서의 원자력발전계획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12 s.70
    • /
    • pp.4-7
    • /
    • 1988
  • 에너지, 특히 전기에너지는 선진공업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에 있어서도 경제성장과 사회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필수요소중의 하나이다. 다음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K. F. Schenk씨가 개발도상국에서 에너지$\cdot$전력의 안정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원자력발전을 도입할 경우 원자력발전의 이용확대를 목표로 수행되는 IAEA의 지원활동을 소개한 내용이다.

  • PDF

원전의 지진위험도 평가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8 s.66
    • /
    • pp.79-97
    • /
    • 1988
  • 일본원자력연구소에서는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확율논적 안전성평가방법을 개발$\cdot$작성하고 있다. 이 평가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지진에 의한 리스크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ulcorner}$지진위험도평가${\lrcorner}$도 지진리스크 평가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ulcorner}$지진위험도${\lrcorner}$란 용어의 정의가 확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고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사이트에 어느 정도 레벨의 지진이 어느정도 빈도로 발생하는지로 정의한다.

  • PDF

원자력발전산업의 민영화정책

  • 박정택
    • Nuclear industry
    • /
    • v.15 no.12 s.154
    • /
    • pp.59-68
    • /
    • 1995
  • 영국정부는 최근 국영기업의 민영화정책의 일환으로 원자력발전산업의 민영화방침을 최종 결정, 발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영국의 2대 국영 원자력발전회사인 NE사와 SNL사가 보유중인 8기의 원전을 1개의 통합회사로 설립하여 이를 민영화하고, Magnox 발전소 9기도 별도의 단일회사로 설립한 후 BNFL사에 합병시킨 뒤 장기적으로는 BNFL사의 민영화도 적극 검토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화석연료사용부담금의 폐지, 새로운 상용원전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중단, 원자력안전규제의 엄정집행 등이 영국 원전사업 민영화정책의 골자이다. 영국의 원자력발전산업에 대한 민영화정책 결정의 배경과 주요내용, 추진현황 및 교훈과 시사점 등을 살펴본다.

  • PDF

국제회의 참관기 - PNC 총회/JAIF 연차대회/동아시아원자력발전포럼

  • Jang, Ho-Hyeon
    • Nuclear industry
    • /
    • v.33 no.3
    • /
    • pp.88-91
    • /
    • 2013
  • 일본원자력산업협회(JAIF)가 주최하는 JAIF 연차대회와 연계하여 태평양원자력협의회(Pacific Nuclear Council : PNC) 상반기 총회와 동아시아원자력발전포럼이 지난 4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었다. PNC 총회, JAIF 연차대회, 동아시아원자력발전포럼에서 발표되고 협의된 사항을 기술한다.

  • PDF

Comparison of Cost-Efficiency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Reducing CO2 Emissions in Korea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CO2 감축 비용 효율성 비교)

  • Lee, Yongsung;Kim, Hyun Se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4
    • /
    • pp.607-625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2 emissions and both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compare the cost efficiencies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reducing CO2 emission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hould be increased by 1.344% and 7.874% to reduce CO2 emissions by 1%, respectively. Using the estimated coefficients and the levelized costs of electricity by source including the external costs, if the current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ion is one megawatt-hour, the range of generation cost of nuclear power generation to reduce 1% CO2 emissions is $0.72~$1.49 depending on the level of external costs. In the case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he generation cost to reduce 1% CO2 emissions is $6.49. That is, to mitigate 1% of CO2 emissions at the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of 353 million MWh in 2020 in Korea, the total generation costs range for nuclear power is $254 million~$526 million for the nuclear power, and the cost for renewable energy is $2.289 billion for renewable energy. Hence, we can conclude that, in Korea, nuclear power generation is more cost-efficient tha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mitigating CO2 emissions, even with the external cost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System Dynamics를 사용한 원자력발전산업 기술개발정책 지원모텔 개발

  • 이용석;정장현;곽상만;김도형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249-269
    • /
    • 2004
  • 현재 국내 원자력 발전산업은 상당한 기술자립을 이루었고, 외국으로의 기술 수출을 시도하고 있을 정도로 상당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제 한국전력, 원자력 연구소 등에서는 원자력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기술의 해외 수출이나 연구개발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가 원자력 발전산업의 기술수준 또는 기술경쟁력이다. 또한 국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발전원별 경쟁체재 도입으로 인해 원자력 발전의 경쟁력 평가는 원자력의 타 발전원 대비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산업의 효율적인 기술개발 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모델을 System Dynamics 방법론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원자력 발전산업의 기술경쟁력 평가를 위한 변수 및 평가범위를 선정하고, 선정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정성적으로 평가할수 있도록 인과지도(Casual Loop Diagram)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흐름도(Stock Flow Diagram)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총 연구비 등의 정책관련 변수들을 변화시키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해보았다. 본 연구의 한 결과로서 기준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 결과 2004년 이후의 원자력발전산업 순편익 누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편익 누적(억원) : 2015(년도) 19,169, 2025(년도) 61,396, 2035(년도) 106,598, 2045(년도) 143,813, 발전 비용 감소분 누적(억원) : 2015(년도) 9,370, 2025(년도) 39,182, 2035(년도) 73,409, 2045(년도) 103,212, 국산화율 증가로 인한 수입액 감소분 누적(억원) : 2015(년도) 6,388, 2025(년도) 13,367, 2035(년도) 18,756, 2045(년도) 22,595, 시장점유율 증가로 인한 수출액 증가분 누적(억원) : 2015(년도) 3,411, 2025(년도) 8,847, 2035(년도) 14,433, 2045(년도) 18,005 또한 시나리오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정의한 순편익 누적(Cumulative Net Profit) 변수를 적용하면 현재 연구비 추세 대비 $30\%$ 까지 연구비를 증가 시키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2006 원자력 기술분석

  • Lee, Ik-Hwan
    • Nuclear industry
    • /
    • v.26 no.9 s.283
    • /
    • pp.70-78
    • /
    • 2006
  • 이 보고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회원국의 요청에 의해 매2년마다 발간되는 “원자력 기술 분석(Nuclear Technology Review)을 요약한 것이며, 2005년 말을 기준으로 발간된 것이다. 원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원자력 발전, 핵융합, 핵연료, 방사성 동위원소 및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등에 대한 오늘과 향후 발전상을 검토한 것이나 여기서는 원자력 발전을 중심으로 요약했다. 보다 궁금한 사항은 IAEA 연례보고서인 2006년 Annual Report에서도 볼 수 있으며 홈페이지인 WWW.iaea.org을 방문하여 영어로 된 보고서를 접할 수 있다. 이 보고서를 요약한 것은 IAEA에서 보는 각국 및 세계 원자력의 현황과 전망을 소개함으로써 국내의 많은 원자력 가족 및 원자력산업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데 있다.

  • PDF

해외 동향 - 중국 원자력의 성장

  • Hore-Lacy, Ian;Tarlton, Stephen
    • Nuclear industry
    • /
    • v.34 no.3
    • /
    • pp.83-88
    • /
    • 2014
  • 중국에서는 향후 2년 내에 많은 신규 원자력발전소가 가동을 시작하여 현재 원자력 발전량의 2배를 기록할 것이다. 중국의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대규모로 유지되고 있지만, 원자력 발전 용량의 증가는 2020년대에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원자력발전소의 장수명화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5 s.51
    • /
    • pp.88-90
    • /
    • 1987
  • 장수명화가 자본비를 상당히 낮추는데 연결이 되면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향상의 하나의 방향이 되는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