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인생물

Search Result 8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한림 심포지움 - 생물다양성정보화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0
    • /
    • pp.108-125
    • /
    • 2002
  • 한림 심포지움의 개최 목적은 국내의 일차 유전자원인 자연상태의 동물, 식물, 미생물의 현지내외 보전과 이차 유전자원인 수정란, 인위적 변이종, knockout mutant, 형질전환 생물 등의 보전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이며, 장기적으로 관장하기 위하여 관련 DB를 정보화, 네트워크화함으로써 생물자원의 산업적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국내 생물자원의 발굴, 보존, 분양, 연구, 산업적 이용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생물다양성DB 및 네트워크 구축, 부처간 역할 분담과 협력체계 수립, 국가차원의 관련 정보의관리 및 이용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중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전략을 확립하기 위함이었다.

  • PDF

Taxonomical Studies on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I. Genus Prorocentrum Ehrenberg (마산만 일대 와편모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I. Prorocentrum 속에 대하여)

  • 유광일;이준백
    • 한국해양학회지
    • /
    • v.21 no.1
    • /
    • pp.46-55
    • /
    • 1986
  • The causative organism of red tied occurred mainly in embayments along southern coast of Korea mostly composes of dinoflagellate species. Among them Genus Prorocentrum is predominant in Masan Bay and it has already reported eight Prorocentrum species from this area. The authors have identified five species of Genus Prorocentrum during the year of 1982 in the surveyed area and each species was described by means of the observation with light microscope as well a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 additional species, p.dentatum is new to Korean waters.

  • PDF

병해충 방제 - 소나무류 잎의 병해: 잎떨림병, 잎녹병

  • Lee, Seung-Gyu
    • Landscaping Tree
    • /
    • s.127
    • /
    • pp.37-40
    • /
    • 2012
  • 지난 호의 소나무류 가지마름성 병해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소나무류 잎마름성 병해를 소개한다. 소나무의 잎에서 나타나는 잎마름성 병해는 증상과 원인이 다양하여 정확한 원인을 밝히기가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수목의 이상 증상은 기본적으로 1) 비기생성(생리적, 비점염성) 원인, 2) 기생성(생물적, 전염성)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진단 결과에 따라 수목의 재배환경을 점검하고 개선하여야 할 문제인가(비기생성 원인), 또는 약제를 사용하여야 할 것인가(기생성 원인)를 먼저 결정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피해 원인이 물, 온도, 제초제 등 비기생성 원인에 의한 것이라면 재배환경의 개선 또는 원인 제거만으로도 충분히 나무를 회복시킬 수 있고, 병원균에 의한 것이라면 정확한 병명 진단 후에 적용 약제를 적절한 시기에 살포하여 불필요한 농약의 사용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목의 잎에서 흔히 나타나는 이상 증상은 다음과 같이 비기생성 원인과 기생성 원인을 포함하여 크게 세 가지로 구별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진단 요령과 원인은 다음과 같다.

  • PDF

슬관절의 퇴행성관절염 발생과 보행역학의 관계

  • Gu, Seung-Beom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2
    • /
    • pp.47-50
    • /
    • 2010
  • 퇴행성관절염은 많은 인구가 앓고 있는 노인성 질병 중의 하나로 기계적인 원인과 생물학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진행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슬관절은 보행 중에 많은 하중을 받고, 퇴행성관절염이 가장 흔한 관절이다. 이 글에서는 이전 보고들과 현재 인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보행역학과 퇴행성관절염에 대해 알아본다.

  • PDF

Germinability of Resting Cyst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Species (유독 와편모조류 Alexandrium속의 출현에 미치는 휴면포자의 발아율)

  • KIM Chang-Hoon
    • Journal of Aquaculture
    • /
    • v.7 no.4
    • /
    • pp.251-264
    • /
    • 1994
  • To study the causes of occurring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wn species, an experiment was undertaken in Jinhae Bay shellfish harvesting areas. The water and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to record the abundance of Alexandriwn species, and to study the distribution and the germinability of those benthic cysts from September 1993 to July 1994. Alexandrium species were began to appear at all the sample stations after January, and reached maximum concentration (530 cells/l) at Taekok station (Chilcheon-do) in March 1994. Alexandrium cysts were also found at every station surveyed, of which several sites showed the higher concentration of 700-800 $cysts/cm^3$ at the upper sediment profile (0-4cm), but the concentrations were wide range of 100-800 $cysts/cm^3$. The results of each sampling season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the cyst germination experiments, were potentially high in cold season; $72.5\%$ (Jan.), $68\%$ (Apr.),$44\%$(Jul.), and $9\%$ (O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ermination of Alexandrium resting cysts in 15 m depth of coastal waters in Jinhae Bay would be controlled by a seasonal endogenous clock instead of the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like tempera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Alexandrium species could be abundant by the germination of resting cysts in cold season, and contribute to the regional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tox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