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심탈수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ehavior of Free Water under Centrifugal Fields (원심력장하의 자유수의 거동)

  • 박종수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10 no.2
    • /
    • pp.63-71
    • /
    • 1999
  • 본 연구는 목재중의 수분량이 변화하는 비정상태하에 있어서의 액체투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써 원심법에 의한 액체투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써 원심법에 의한 액체투과성의 평가법을 확립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원심력장에 있어서의 액체투과성과 원심처리부로부터 액체투과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와 미송 (Pseudotsuga menziesii)은 서로 다른 탈수경과를 나타내었다. 삼나무는 미송보다 더 많은 탈수량을 보였고 재내의 태수량의 변이가 심하였다. 한편 변재와 심재의 탈수거동에 있어서 삼나무는 기체투과성에 의해 평가된 값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2200∼3300rpm의 범위에서 편재는 심재보다 탈수량이 적었다.

  • PDF

Thickening and Dewatering of Municipal Wastewater Sludge : Separate and Combined Treat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Sludge (도시하수슬러지의 농축과 탈수 : 1차와 2차슬러지의 분리 및 혼합처리특성비교)

  • Lee, Jin-Woo;Choi, Hoon-Chang;Choi, Jeong-Dong;Jung, Gyung-Yeung;Jun, Seok-Ju;Kwon, Soo-Yul;Ahn, You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
    • /
    • pp.93-100
    • /
    • 2005
  • Comparative thickening and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wastewater sludge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eparated and combined treat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BNR sludge. Also, various conditioning methods such as cation polymer addition, steam and ultrasonication treatment were examined to improve dewaterability of sludge. The dewater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specific resistant test, wedge zone simulator and centrifuge. The result of the sludge thickening test revealed that separated thickening was better in terms of solids recovery and supernatant quality. Particularly, the thickening of primary sludge with high solids (about 3.5% TS) showed very poor solid separation. The addition of cation polymer showed better conditioning characteristic for dewatering and the optimal polymer dosage was 0.26% for primary sludge, 0.43% for secondary sludge and 0.38% for combined sludge. Contrary to the result of the thickening, the dewatering test revealed that dewatering of the combined sludge is better than that of separated sludge, representing better solids separation and filtrate quality. The polymer addition was essential to improve dewaterability in filter (belt) press type dewatering but it was inefficient for the dewatering of secondary sludge only. The centrifuge type dewater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and the dewaterability was slightly improved when the polymer was ad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 sustainable sludge treatment proces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recycle water quality and solids recovery, was proposed.

Analysis of Microorganisms and Water Transport Properties of the Cotton Fabrics through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 during Washing (세탁의 탈수와 건조과정 중 면직물의 수분전달특성 및 미생물 분석)

  • 최해운;박명자;차옥선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0 no.5
    • /
    • pp.578-58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sidual water retention and to determine the number and species of microorganisms from the wet cotton fabrics in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 during washing. The drying rates of terrycloth and interlock knit under the rainy seas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dehydration and hanging methods, layers of fabric and pre-treatment agents.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dried terrycloth by pure culture, and were identified by Biolog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initial water retention of fabrics after dehydration decreased in the order of dripping>centrifuge>squeezing method, which affected the drying rate. The drying rates were faster by increasing surface area of fabr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ing rate among the fabrics pre-treated with detergent, or fabric softener, or cationic surfactants such as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and Benzalkonium chloride(BC). Puedomonas aureginosa was found in the fabrics treated with a powder-type detergent. On the other side, there was no growth of microorganism in the fabrics treated with a liquid-type detergent (containing antibacterial agent), CTAB and BC.

  • PDF

Quality Changes in Fresh Wild Garlic Leaves Treated with Different Washing Solutions and Packaging Films during Storage (세척수 및 소포장 필름에 따른 산마늘의 저장 중 품질변화)

  • Choi, Ji-Weon;Lee, Ji Hyun;Shin, Il Sheob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112-112
    • /
    • 2018
  • 산마늘은 마늘과 같이 독특한 향이 있어 입맛을 돋우며 웰빙식품으로 3월 중순에서 5월초에 채취하여 생채로 쌍을 먹거나 김치, 절임으로 생산되어 판매된다. 산마늘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하여 살균소독 세척과 소포장용 필름포장방법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마늘을 살균소독 세척수(수돗물, 0.2% 구연산 침지 후 50% 에탄올 분무처리)로 2분 세척하고 원심탈수 후, 포장필름은 $30{\mu}m$ oriented polypropylene (OPP), $30{\mu}m$ OPP 필름을 기본재료로 산소투과율 $5,000cc/m^2{\cdot}day{\cdot}atm$ (OPP_5)로 조정한 필름, $30{\mu}m$ micro perforated polypropylene (MPP) 필름에 밀봉하고, $30{\mu}m$ OPP필름에 개봉 포장하여 $4^{\circ}C$에서 42일 저장하였다. 산마늘은 구연산 침지 후 에탄올 분무세척 후 세척 전 보다 일반세균수가 1.5 log CFU/g 감소되었으며 수돗물 세척 후는 0.1 log CFU/g 정도 감소하여 수돗물 보다 구연산 침지 후 에탄올 분무에 의해 균수 감소효과가 보다 컸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그러한 경향은 유지되었다. 저장 35일 후 세척수에 관계없이 OPP 개봉과 MPP 밀봉 포장에서 의해 산마늘의 황화율과 부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OPP 밀봉에서 이취 발생 지수가 OPP_5 밀봉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척 및 포장처리에 의한 종합선도의 제한요인은 황화, 이취 및 부패취 발생 지수로 이를 종합하였을 때 산마늘의 상품성 향상을 위하여 소포장 하는 경우 구연산 침지 후 에탄올 분무 방법으로 세척한 다음 원심탈수하여 OPP_5필름으로 포장하는 것이 품질 향상에 적합하였으며 40일 이상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nufacturing System of Centrifugal Cast Metal Bearing by Dehydrogenation (탈수소 열처리 공정에 의한 원심주조 메탈베어링의 제조 시스템)

  • Kim, Jeung-Hun;Kim, Chung-Gu;Byen, Jea-Young;Lee, Eun-Suk;Yang, Ji-Yung;Choi,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9 no.5
    • /
    • pp.111-117
    • /
    • 2020
  • Centrifugal casting is suitable for producing hollow-products using centrifugal force. Bush type metal bearings are the key parts that facilitate the rotational movement of various machinery. Metal bearings produced by conventional centrifugal casting machines show rotational imbalance. Therefore, after injecting a large amount of material, the product's precision is secured in the secondary processing. Rotational imbalance is caused by the force acting on the rotary disc plate. In order to minimize rotational imbalance, NASTRAN was used for the optimal design and structura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rotating plate of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casting machine should be prevented from tilting. For this purpose, the location & thickness of the stiffeners were obtained through the optimum design. In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casting machine, both ends of the product are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enter part, so internal stress occurs. This solves this problem by inserting a heating coil into the rotating plate.

A Comparative Study of Dewatering Aid for Digested Sludge by using A Starfish and A Shell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개량제로 이용한 소화슬러지의 탈수 증진 비교)

  • Lee, Jae-Kwang;Yoo, Dae-Hyun;Lee, Myeon-Ju;Kang, Ho
    • Resources Recycling
    • /
    • v.13 no.3
    • /
    • pp.12-18
    • /
    • 2004
  •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dewaterability of sewage sludge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sea waste materials as a dewatering aid. It was made from a starfish and a shell by heating at $105∼700 ^{\circ}C$ and centrifuge and belt press were used as a mechanical dewatering process. The moisture content of sludge cake was reduced by 15∼22% (w/w) after addition of the dewatering aid at the dose of 1∼8 g/100mL of digested sludge. CST (capillary suction tim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ewatering aid on sludge dewatering properties. CST was reduced after addition of a shell while increased after addition of a starfish. Enhancement of dewaterability after addition of a shell was better than that of a starfish. The heating temperature effect of the dewatering aid on dewaterability was not clear.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Food-Waste Leachate into 3 Phases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삼상분리)

  • Kim, Sangguk;Jeong, Minji;Kwon, Hyol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97-197
    • /
    • 2010
  • 음식물쓰레기의 삼성분은 수분, 휘발분, 회분이며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계절, 지역별로 다소 상이하지만 수분 약 80%, 회분3%, 휘발분 17%이다. 음식물쓰레기 전처리과정으로 이물질제거, 탈수공정이 있으며 탈수공정에서 다량의 탈리액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탈리액을 데칸타를 이용하여 1차로 원심분리하여 고.액 분리한 액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대상 탈리액의 물성은 BOD 78,800[mg/l], COD 41,000[mg/l], 부유물질 25,900[mg/l], 총질소 928[mg/l]이었다. 탈리액에는 기름성분(육류, 식용유등), 입자상물질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난분해성 유기물질로, 이를 제거하는데 기존의 처리방법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주요한 수질오염 발생원이 되고 있다. 예를들면 하수처리장 폭기조 수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산소공급을 방해함으로 미생물번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수분, 고형분, 유분으로의 삼상분리에 관한 것이다. 유분은 에멀젼형태로 안정되게 수층에 분산되어 존재한다. 미세기포를 이용한 부상법의 경우 미세기포 표면과 유분의 화학적친화력이 낮아 기포표면에 유분이 잘 부착되지 않으며, 원심분리 방법만으로는 유분 분리효율이 낮고, 추출에 의한 분리시 추출액이 다량 소요되고 처리시간이 길며 추출액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탈리액을 유분, 슬러지, 수분으로 분리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요성분을 신재생에너지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유분의 주성분이 동식물성 유지이므로 전처리시 산촉매를 이용 수분과 유리지방산을 제거하고 염기성촉매를 이용하여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거치면 바이오디젤인 FAME과 글리세롤으로 변환하므로 글리세롤을 분리하면 바이오디젤을 얻을 수 있다. 슬러지는 입자상 물질로 착화가 잘 되고 건조하면 발열량이 높으며 중금속등에 오염되지 않아 청정연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실험실에서의 탈리액 삼상분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탈리액 30ml당 추출액으로 노말헥산을 1ml를 가한 다음 플라스크에서 $80^{\circ}C$로 가열 후 방냉한다. 가열중 노말헥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발가스를 콘덴서에서 응축하여 플라스크로 재순환한다. 탈리액을 플라스크에서 꺼내어 원심분리기 rack에 300-400g씩 병에 각각 넣고 4,000rpm으로 30분간 운전한다. 탈리액은 상부로부터 유분층, 미세입자층, 수층, 슬러지층으로 분리된다. 각 층의 계면에서 2종의 성분이 약간 섞일 수 있다. 유분을 분리한 후 유분층 잔존물과 미세입자층, 수층 상층부의 혼합물을 취하여 50g씩 병에 넣고 3,500rpm으로 10분간 운전한 후 유분을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미세입자층만을 3,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유분을 따로 분리한다. 얻어진 유분은 rotary evaporator에서 $120^{\circ}C$로 가열하여 유분과 노말헥산을 분리하며 분리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감압하에서 운전한다. 분리된 유분의 고위발열량이 9,450[Kcal/kg]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 탄소 74.7%, 수소 12.55%, 질소 0.08%, 유황분 0.0003%이었다. 분리된 유분의 양은 계절별로 시료별로 다르며 가을철에는 1.6-1.9%, 여름철은 1.0-1.3%이었다. 분리된 슬러지로부터 Hg, As, Cr, Cd, Pb 중금속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수분 2.8%, 휘발분 76.85%, 회분 7.52%, 고정탄소 12.83%이었고 원소분석결과 탄소 45.25%, 수소 7.46%, 질소 5.05%, 산소 34.39%, 유황분 0.33%이었으며 저위발열량은 4,480[Kcal/kg]이었다. 분리된 슬러지 양은 11-19%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