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

Search Result 37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선박-육상 간 LTE 통신환경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분석 및 고찰

  • 강순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78-180
    • /
    • 2021
  • 자율운항제어를 위하여 선박-육상 간 무선통신망을 통한 원격 모니터링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하며, 무선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 환경 중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 솔루션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Environment in the Mushroom Production House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Lee, Sunghyoun;Yu, Byeongkee;Lee, Cha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1-121
    • /
    • 2017
  •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 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TE, VSAT 환경 선박-육상 간 원격 모니터링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운용 분석 및 고찰

  • 강순근;류승훈;임성희;이동재;김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0-72
    • /
    • 2022
  • 자율운항제어를 위하여 선박-육상 간 무선통신망을 통한 원격 모니터링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하며, LTE 또는 VSAT의 무선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 환경 중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 솔루션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IDC orien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웹 기반 IDC관리형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동주;정상준;권영헌;김재선;김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12-715
    • /
    • 2003
  • 인터넷 데이터 센터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서버 및 통신 장비의 운영, 관리를 대행하는 곳으로 장비 관리를 위한 첨단의 설비와 보안 체계,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곳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IDC 관리형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한다. 웹에서 효과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하여 JAVA 기반의 설계를 하였으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ICMP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지 서버의 상태나 인터넷 서비스의 전반적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웹을 기반으로 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Remote Welding Control System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원격 용접관리 시스템)

  • Kim, Ha-Na;Jung, Chan-Ho;Lee, Jun-Hee;Shin, Dong-Suk;Kang, Sung-In;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71-174
    • /
    • 2008
  • 최근 산업자동화의 발전으로 용접분야에서도 무인화 및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의 인터넷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TCP/IP 통신을 통한 원격관리 시스템도 일반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크 용접 시스템에서 주요한 용접인자인 용접전류, 용접전압 정보를 이용하고 신경회로망을 적용하여 용접현상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분석된 용접현상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TCP/IP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용접 모니터링을 위해 효율적인 신경회로망 모델을 제시하고, 원격 모니터링 및 용접품질관리를 위한 원격관리 시스템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f 3D composited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surface vehicle (무인 원격 이동체를 활용한 3차원 복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 Ho Soo Lee;Chang Hyun Lee;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6-86
    • /
    • 2023
  • 최근에 들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통합물관리에 있어 수리량과 수질을 연계한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수리량과 수질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 분야의 개별적 연구로 인해 수리량과 수질을 통합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술 개발은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수질 측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있는 채수 기준에 따라 채수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채수 지점은 하천의 수심별로 달리하여 정해진다. 수리 측정은 현장계측을 통한 2차원적 계측으로 진행하고 있어 수질 측정 시 채수지점과 수리 측정지점은 일치하지 않는다. 동일 지점에서의 수질과 수리량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지 못한 모니터링은 본류와 지류의 혼합거동이 많은 국내 하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현재의 수질·수리 모니터링은 ADCP나 다항목수질측정기 같은 고가의 장비를 운영하며, 홍수기와 같은 고위험 계측 조건에서 인력을 통해 측정하고 있기에 고비용의 장비운영비와 인명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인 원격 기술을 적용한 하천 모니터링 기술과 수질과 수리량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3차원 모니터링 기술의 확보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무인 원격이동체인 ROV와 무인 원격이동체(USV)를 활용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 특성을 고려한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ROV에 수중 GPS 장비와 수질센서를 부착시켜 수중 내 2차원으로 측정되는 수리량과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수질자료를 계측하여 하천의 연직 분포와 수평적 분포를 통해 화학적 수리적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의 3차원 혼합거동 양상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무인 원격이동체를 통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은 하천의 3차원 분석에서 수질·수리량 보간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전반 및 통합물관리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Lee, Young-D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1
    • /
    • pp.2686-2692
    • /
    • 2013
  • In this paper, various growth environment data collecting and monitoring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greenhous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greenhouse control system is proposed to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in internal environment and greenhouse facilities. The system provides real-time remote greenhouse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which collects greenhous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trols greenhouse facilities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based on the HMI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nsor data were collected by integrated management in real-time.

Implementation of an Agent for Real-Time Medication Status Transmission (실시간 복약상태 전송을 위한 에이전트 개발)

  • Pak, Ju-Geon;Im, Seung-Hyun;Park, Ke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79-182
    • /
    • 2011
  • 복약기는 개인의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한 개인건강기기(Personal Health Device: PHD) 중 하나로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약을 배출하는 기기이다. 복약기를 통해 수집되는 복약자의 복약상태(복약 여부, 복약 횟수 등)는 의료진 및 보호자에게 복약자를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서버에게 실시간 전송하여 의료진 및 보호자가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복약기 내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복약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서버에게 실시간 전송하는 복약상태 전송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복약상태 전송 에이전트는 단말기 관리에 관한 산업계 표준인 Open Mobile Alliance(OMA) Device Management(DM) 프로토콜에 따라 복약 상태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 복약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로는 OMA DM 기반의 상용 서버를 사용하였다. 이는 추후 본 논문의 복약상태 전송 에이전트를 확장하여 복약기 원격 관리 용도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복약상태 전송 에이전트의 구현 결과 및 모니터링 서버와 연동성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검증 결과 제안된 에이전트는 복약기로부터 복약상태를 수집한 후 OMA DM 프로토콜에 따라 복약상태를 정상적으로 전송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논문의 복약상태 전송 에이전트는 복약상태의 원격 전송뿐 만 아니라, OMA DM 을 준수하는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 관리 서버들을 복약상태 모니터링 서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신환경에서의 선박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분석 및 고찰

  • 류승훈;강순근;임성희;이동재;김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91-92
    • /
    • 2023
  • 자율운항제어를 위하여 선박-육상 간 무선통신망을 통한 원격 모니터링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하며, LTE 또는 VSAT의 무선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 환경 중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 솔루션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