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영상

Search Result 2,254,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Qualitative Exploration on Children's Interactions in Telepresence Robot Assisted Language Learning (원격로봇 보조 언어교육의 아동 상호작용 질적 탐색)

  • Shin, Kyoung Wan Cathy;Han, Jeong-Hy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3
    • /
    • pp.177-18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 and robot interaction in distant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using three different video-conferencing technologies-two traditional screen-based videoconference technologies and a telepresence robot. One American and six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our case study. We relied on narratives of one-on-one interviews and observation of nonverbal cues in robot assisted language learning. Our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interactions via a telepresence robot than to two screen-based video-conferencings, with many citing a stronger sense of immediacy during robot-mediated communications.

A Remote Measurement Technique for Rock Discontinuity (암반 불연속면의 원격 영상측량 기법)

  • 황상기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1 no.2
    • /
    • pp.205-214
    • /
    • 2001
  • A simple automated measuring method for planar or linear features on the rock excavation surface is presented. Attitude of the planar and linear feature is calculated from 3D coordinates of points on the structures. Spatial coordinates are calculated from overlapped stereo images. Factors used in the calculation are (1) local coordinat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2) the focal length of cameras, and (3) the distance between two cameras. A simple image capturing device and an image treatment routine coded by Visual Basic and GIS components are constructed for the remote measurements, The methodology shows less than 1 cm error when a point is measured from 179 cm in distance. The methodology is tested at the excavation site in PaiChai University. Remotely measured result matches well with the manual measurement within the reasonable error range.

  • PDF

A Perspective on the Electromagnetic Imaging of Aircrafts (비행체의 전자파 영상화 기술동향)

  • 윤용수;이재천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5 no.3
    • /
    • pp.167-175
    • /
    • 1999
  • So far, the remote sensing technology has widely been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 areas such as military, medical imaging, environment, geology and so forth. The microwave remote sensing uses the wavelengths ranging from around one centimeter up to a few tens of centimeters and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regardless of the weather conditions and the day/night time as compared with the reflective InfraRed (IR) remote sensing or the thermal IR remote sensing. There are three generic modes of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ing systems depending on its application, that is, stripmap mode, spotlight mode, or inverse mode.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he issue of imaging of flying aircrafts for the inverse mode of a ground - based, fixed radar with moving objects. The imaging of flying aircraft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tep for the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systems, and therefore a great deal of efforts have recently been made on the subject. Here we review the three representative methods including the Fourier transform processing, the time - frequency processing, and the reconstruction from the projection. Some relative merits and drawbacks are also discussed.

Precision correction of satellite-based linear pushbroom-type CCD camera images (선형 CCD카메라 영상의 정밀 기하학적 보정)

  • 신동석;이영란;이흥규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4 no.2
    • /
    • pp.137-148
    • /
    • 1998
  • An algorithm developed for the precision correc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is introduced in this paper. In general, the polynomial warping algorithm which derives polynomial equations between GCPs extracted from an image and a base map requires many GCPs well-distributed over the image. The precision correction algorithm described in this paper is based on a sensor-orbit-Earth geometry, and therefore, it is capable of correcting a raw image using only 2-3 GCPs. This algorithm estimates the errors on the orbit determination and the attitude of the satellite by using a Kalman filter. This algorithm was implemented, tested and integrated into the KITSAT-3 image preprocessing software.

Wireless Network Based Remote Controlled Image Stabilization System (무선 네트워크 기반 원격 조정 영상 안정화 시스템)

  • Shim, Yoon-Taek;Park, Sul-Gee;Kim, Jeong-Won;Hwang, Dong-Hwan;Kim, Seong-S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53-2254
    • /
    • 2008
  • 무선 네트워크 기반 원격 조정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주변 상황을 영상을 통하여 인지할 수 있고 원하는 시점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원격 조종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은 윈도우즈 운영체제 기반으로 진행하였으며, 윈도우즈가 제공하는 여러 기능을 활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입체영상과 평면영상의 원격조작성 비교

  • 이용범;이남호;박순용;조재완;최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381-38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편광방식 스테레오 모니터링(KAERI-PSM)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6 D.O.F.의 퓨마 로보트를 이용한 원격조작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메라의 관측각도를 달리하는 3가지 원격조작실험은 6명의 실험자가 힘반향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로보트 암을 (1)직접 (2)일반 평면모니터 및 (3)개발된 편광방식 스테레오 영상 모니터를 통하여 보면서 6가지의 조합된 방법으로 총 36번 수행하여 걸린 평균시간과 평균 에러 발생 수를 비교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스테레오 영상 모니터를 사용한 경우 일반 평면모니터를 이용했을 때 보다 훨씬 짧은 시간에 정확히 원격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물체 이동에 대한 카메라의 각도가 실험의 주요한 변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Remote Image Monitoring System with Mobility Using Touchless User Interface (비접촉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이동형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

  • Ju, Donghun;Kang, Dohun;Kim, Kwangsu;Yim, Wontae;Lee, Sukho;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478-481
    • /
    • 2013
  • a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장면을 고해상도로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영상 촬영의 이동성을 주기 위해 다양한 가격과 종류로 출시되어 있는 무선조종자동차에 스마트폰을 탑재시킨다. 무선조종자동차의 원격 제어는 키넥트의 음성 및 제스처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비접촉성 제어입력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손이나 몸짓이 불편한 환자 또는 작업 중인 작업자가 원격지의 영상을 보아야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utomatic Registration of Quickbird Image and Digital Map (수치지도와 Quickbird 영상의 자동 기하보정)

  • Han, Dong-Yeob;Kim, Hye-Ji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09-1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축척 수치지도와 Quickbird 위성영상의 자동 보정을 영상공간에서 수행한다. 알고리즘은 보정변환식의 초기 계수값 결정과 정확한 변환계수 결정과정으로 나뉜다. 초기 계수값 결정은 보정변환식의 상수항을 결정하는 것으로 수치지형도의 지면개체와 영상에서 추출된 에지의 논리곱 연산을 적용하여 최적값을 추정하는 방식을 용한다. 보정 다항식의 정확한 변환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치지형도의 지면 선형개체 점데이터와 영상의 에지개체 점데이터간 ICP 조정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영상공간에서 1.72화소의 RMSE를 나타내었다.

  • PDF

SAR 영상을 이용한 수치표고모형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이창원;문우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85-90
    • /
    • 2000
  • 백두산 지역의 JERS-1 SLC 영상과 볼리비아 지역의 RADARSAT 영상에 대해 각각 interferometry와 radargrammetry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제작하였다. Interferometry 는 coregistration, interferogram 작성, phase unwrapping 과정으로 나눠지는데 temporal decorrelation으로 낮은 coherence, 부정확한 궤도정보가 DEM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Radargrammetry는 photogrammetry와 동일한 처리과정, 즉 GCP를 이용한 stereo model 설정, 영상 matching, 고도추출단계로 이루어지지만 광학영상 과는 다른 SAR 영상의 기하학적, 방사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high speed remote sensing image registration using deep learning-based keypoints filtering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을 이용한 원격 탐사 영상 정합 고속화 연구)

  • Lee, Wooju;Sim, Donggyu;Oh, Se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97-9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원격 탐사 영상에 대한 영상 정합 (Image Registration) 고속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특징 기반 영상 정합 방법의 복잡도는 특징 매칭 (Feature Matching) 단계에서 발생한다. 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징 매칭이 영상의 인공구조물에서 검출된 특징점으로 매칭되는 것을 확인하여 특징점 검출기에서 검출된 특징점 중에서 인공구조물에서 검출된 특징점만 필터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은 영상 정합을 위하여 필수적인 특징점을 잃지 않으면서 그 수를 줄이기 위하여 인공구조물의 경계와 인접한 특징점을 보존하고, 축소한 영상을 사용하며, 영상 분할(Image Segmentation) 방법의 결과에서 생기는 영상 패치 경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 패치를 중복하여 잘라 냄으로써 정합 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영상 정합 고속화 방법을 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리랑 3 호 위성 원격 탐사 영상을 사용하여 기존 특징점 추출 방법과 속도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딥러닝 기반 영상 정합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을 때 특징점의 수를 약 82% 감소시키면서 속도를 약 9.17 배 향상시켰지만 정확도가 0.985 에서 0.855 으로 저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