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가족 부모의 양육태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중년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친밀감과의 관계에서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 김희정;김용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6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tial intimacy and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help to improve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who have difficulty in marital relationship.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married women aged 40-59.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communication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three - 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communic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communic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두 여성 학교상담사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Exploring the Narrative of Child Care Experience of Two Female School Counselors)

  • 최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97-2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사의 삶 속에서 자녀양육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자녀양육 경험의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8년 이상의 경력이 있고 학교상담사로 근무하며 자녀를 청소년 시기에 양육한 경험이 있는 두 명의 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인터뷰를 거쳐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이라고 지칭되는 시간성 사회성 장소에 집중하여 학교상담사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구성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상담사들은 원가족에게 양육 받은 경험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통찰" 하였다. 상담공부 후 훈육과 강압적인 태도로 양육한 것에 대해 "반성과 사과"의 과정을 거쳐, 자녀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충분히 좋은 양육자 되어가기"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체험적 통찰을 통해 "진정한 상담사로 거듭나기"로 변모해 가고 있었으며, 이는 "온전히 기능하는 나"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