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워드임베딩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Korean Phoneme Sequence based Word Embedding (한국어 음소열 기반 워드 임베딩 기술)

  • Chung, Euisok;Jeon, Hwa Jeon;Lee, Sung Joo;Park, Jeon-Gu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25-227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서브워드 기반 워드 임베딩 기술을 다룬다. 미등록어 문제를 가진 기존 워드 임베딩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워드 임베딩 기술을 한국어에 적용하기 위해, 음소열 기반 서브워드 자질 검증을 진행한다. 기존 서브워드 자질은 문자 n-gram을 사용한다. 한국어의 경우 특정 단음절 발음은 단어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음소열 n-gram은 특정 서브워드 자질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서브워드 임베딩 기술을 재구현하여, 영어 환경에서 기존 워드 임베딩 사례와 비교하여 성능 우위를 확보한다. 또한, 한국어 음소열 자질을 활용한 실험 결과에서 의미적으로 보다 유사한 어휘를 벡터 공간상에 근접시키는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Korean Phoneme Sequence based Word Embedding (한국어 음소열 기반 워드 임베딩 기술)

  • Chung, Euisok;Jeon, Hwa Jeon;Lee, Sung Joo;Park, Jeon-Gue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25-227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서브워드 기반 워드 임베딩 기술을 다룬다. 미등록어 문제를 가진 기존 워드 임베딩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워드 임베딩 기술을 한국어에 적용하기 위해, 음소열 기반 서브워드 자질 검증을 진행한다. 기존 서브워드 자질은 문자 n-gram을 사용한다. 한국어의 경우 특정 단음절 발음은 단어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음소열 n-gram은 특정 서브워드 자질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서브워드 임베딩 기술을 재구현하여, 영어 환경에서 기존 워드 임베딩 사례와 비교하여 성능 우위를 확보한다. 또한, 한국어 음소열 자질을 활용한 실험 결과에서 의미적으로 보다 유사한 어휘를 벡터 공간상에 근접시키는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KAISER: Named Entity Recognizer using Word Embedding-based Self-learning of Gazettes (KAISER: 워드 임베딩 기반 개체명 어휘 자가 학습 방법을 적용한 개체명 인식기)

  • Hahm, Younggyun;Choi, Dongho;Choi, Key-Su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337-33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워드 임베딩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워드 임베딩이란 문장의 단어의 공기정보를 바탕으로 그 단어의 의미를 벡터로 표현하는 분산표현이다. 이러한 분산 표현은 단어 간의 유의미한 정도를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워드 임베딩을 통하여 단어 벡터들의 코사인 유사도를 통한 개체명 사전 자가 학습 및 매칭 방법을 적용하고, 그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 PDF

Distributed Representation of Words with Semantic Hierarchical Information (의미적 계층정보를 반영한 단어의 분산 표현)

  • Kim, Minho;Choi, Sungki;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41-944
    • /
    • 2017
  • 심층 학습에 기반을 둔 통계적 언어모형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은 단어의 분산 표현(Distributed Representation)이다. 단어의 분산 표현은 단어 자체가 가지는 의미를 다차원 공간에서 벡터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이라고도 한다. 워드 임베딩을 이용한 심층 학습 기반 통계적 언어모형은 전통적인 통계적 언어모형과 비교하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워드 임베딩 역시 자료 부족분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특히 학습데이터에 나타나지 않은 단어(unknown word)를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 한국어 워드 임베딩을 위하여 단어의 의미적 계층정보를 이용한 워드 임베딩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연구에서 제안한 워드 임베딩 방법을 그대로 활용하되, 학습 단계에서 목적함수가 입력 단어의 하위어, 동의어를 반영하여 계산될 수 있도록 수정함으로써 단어의 의미적 계층청보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워드 임베딩 방법을 통해 생성된 단어 벡터의 유추검사(analog reasoning) 결과, 기존 방법보다 5%가 증가한 47.90%를 달성할 수 있었다.

Bilingual Word Embedding using Subtitle Parallel Corpus (자막 병렬 코퍼스를 이용한 이중 언어 워드 임베딩)

  • Lee, Seolhwa;Lee, Chanhee;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57-160
    • /
    • 2017
  • 최근 자연 언어 처리 분야에서는 단어를 실수벡터로 임베딩하는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두 언어를 이용한 이중 언어 위드 임베딩(Bilingual word embedding)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중 언어 워드 임베딩에서 임베딩 절과의 질은 학습하는 코퍼스의 정렬방식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자막 병렬 코퍼스를 이용하여 밑바탕 어휘집(Seed lexicon)을 구축하여 번역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고, 이중 언어 워드 임베딩의 사천(Vocabulary) 확장을 위한 언어별 연결 함수(Language-specific mapping function)을 학습하는 새로운 방식의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기존 모델과의 성능비교에서 비교할만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

  • PDF

KAISER: Named Entity Recognizer using Word Embedding-based Self-learning of Gazettes (KAISER: 워드 임베딩 기반 개체명 어휘 자가 학습 방법을 적용한 개체명 인식기)

  • Hahm, Younggyun;Choi, Dongho;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37-33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워드 임베딩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워드 임베딩이란 문장의 단어의 공기정보를 바탕으로 그 단어의 의미를 벡터로 표현하는 분산표현이다. 이러한 분산 표현은 단어 간의 유의미한 정도를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워드 임베딩을 통하여 단어 벡터들의 코사인 유사도를 통한 개체명 사전 자가 학습 및 매칭 방법을 적용하고, 그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 PDF

Utilizing Local Bilingual Embeddings on Korean-English Law Data (한국어-영어 법률 말뭉치의 로컬 이중 언어 임베딩)

  • Choi, Soon-Young;Matteson, Andrew Stuart;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0
    • /
    • pp.45-53
    • /
    • 2018
  • Recently, studies about bilingual word embedding have been gaining much attention. However, bilingual word embedding with Korean is not actively pursued due to the difficulty in obtaining a sizable, high quality corpus. Local embeddings that can be applied to specific domains are relatively rare. Additionally, multi-word vocabulary is problematic due to the lack of one-to-one word-level correspondence in translation pairs. In this paper, we crawl 868,163 paragraphs from a Korean-English law corpus and propose three mapping strategies for word embedding. These strategies address the aforementioned issues including multi-word translation and improve translation pair quality on paragraph-aligned data. We demonstrate a twofold increase in translation pair quality compared to the global bilingual word embedding baseline.

A Similarity-based Dialogue Modeling with Case Frame and Word Embedding (격틀과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

  • Lee, Hokyung;Bae, Kyoungma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20-2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격틀과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을 제안한다. 기존의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 방법은 형태소, 형태소 표지, 개체명, 토픽 자질, 핵심단어 등을 대화 말뭉치에서 추출하여 BOW(Bag Of Words) 자질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입력된 사용자 발화에 포함된 단어들의 주어, 목적어와 같은 문장성분들의 위치적 역할을 반영할 수 가 없다. 또한, 의미적으로 유사하지만 다른 형태소를 가지는 문장 성분들의 경우 유사도 계산에 반영되지 않는 형태소 불일치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위치적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문장성분 기반의 격틀과 형태소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워드임베딩을 활용하여 개선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을 제안한다. 개선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은 MRR 성능 약 92%의 성능을 나타낸다.

  • PDF

A Similarity-based Dialogue Modeling with Case Frame and Word Embedding (격틀과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

  • Lee, Hokyung;Bae, Kyoungman;Ko, Youngjoo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20-2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격틀과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을 제안한다. 기존의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 방법은 형태소, 형태소 표지, 개체명, 토픽 자질, 핵심단어 등을 대화 말뭉치에서 추출하여 BOW(Bag Of Words) 자질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입력된 사용자 발화에 포함된 단어들의 주어, 목적어와 같은 문장성분들의 위치적 역할을 반영할 수 가 없다. 또한, 의미적으로 유사하지만 다른 형태소를 가지는 문장 성분들의 경우 유사도 계산에 반영되지 않는 형태소 불일치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위치적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문장성분 기반의 격틀과 형태소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워드 임베딩을 활용하여 개선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을 제안한다. 개선된 유사도 기반 대화 모델링은 MRR 성능 약 92%의 성능을 나타낸다.

  • PDF

Korean Hedge Detection Using Word Usage Information and Neural Networks (단어 쓰임새 정보와 신경망을 활용한 한국어 Hedge 인식)

  • Ren, Mei-Ying;Kang, Sin-ja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9
    • /
    • pp.317-325
    • /
    • 2017
  • In this paper, we try to classify Korean hedge sentences, which are regarded as not important since they express uncertainties or personal assumptions. Through previous researches to English language, we found dependency information of words has been one of important features in hedge classification, but not used in Korean researches. Additionally, we found that word embedding vectors include the word usage information. We assume that the word usage information could somehow represent the dependency information. Therefore, we utilized word embedding and neural networks in hedge sentence classification. We used more than one and half million sentences as word embedding dataset and also manually constructed 12,517-sentence hedge classification dataset obtained from online news. We used SVM and CRF as our baseline systems and the proposed system outperformed SVM by 7.2%p and also CRF by 1.2%p. This indicates that word usage inform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Korean hedge class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