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워게임 상호운용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한미 워게임모형 상호운용성의 현실태 및 향후 비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Vision of ROK-US Wargame Model Interoperability)

  • 권오정;이종호;이상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3-32
    • /
    • 2008
  • 본 논문에서 한미 워게임 모델 상호운용성의 현 실태와 향후 비전에 대해 연구하고 미래의 페더레이션 구조를 제안한다. 한국군과 미군은 1999년부터 작전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한미 워게임 모델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현 상태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아직도 수행해야 할 과정이 더 남아 있지만 최종목표에 어느 정도 근접한 상태이다. 한미 워게임 체계의 기술적인 장점과 시스템 가용도를 고려한 향후 한미 워게임 체계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 구조를 제시한다. 이러한 새로운 체계는 한국군이 주도하는 향후 한미 연합연습과 한국군 자체 합동연습시 운용될 시뮬레이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 PDF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 재사용하기 위한 변환방법 연구 : 창조21모델과 비전21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for Converting the Unit Database from Training-model into Analysis-model : Focused on the 'Chang-Jo21' and 'Vision21' model)

  • 이용복;박민형;김익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7
    • /
    • 2019
  • 국방 M&S(Modeling&Simulation)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투 환경을 동시에 모의하기 위해 다수의 워게임 모델을 연동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추진하여 성과를 달성하고 있으나,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기 위한 부대 DB(DataBase)는 동일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속성(메타데이터)에 대한 표현 방법이 달라서 상호참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로 인해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는 기관에서 같은 부대 DB를 각각 구축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의 중복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도와 모의 논리는 유사하지만 도메인이 다른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서 재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제 분야에 적용했다. 이를 위해 군단 및 사단 전투지휘훈련용 모델인 '창조21 모델'과 군단 및 사단 작전계획 모의분석용 모델인 '비전21 모델'의 부대 DB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대 DB를 전환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부대 DB의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을 위해 이질적인 메타데이터를 의미상으로 통합하여 매핑을 시도한 최초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패러다임 전환과, 부대 DB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미래전 분석을 위한 간이모형 개발

  • 문형곤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98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2
    • /
    • 1998
  • 과거의 전쟁은 재래식 무기에 의존한 화력전이었지만, 미래의 전쟁은 C4I와 전략무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정보전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활용중인 대부분의 워게임 모형들은 대형전산기 위주로 개발되었으므로, 정보전 개념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논리구조 개선과 영상전시기능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워게임 모형 개선은 최신개발 모형과의 상호 호환성 및 재사용성 측면에서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국방모의체계(DM&S)의 발전을 위한 자체적인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미래전장에서 적용될 첨단무기체계 효과 분석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은 미래전쟁 양상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PC에서 운용이 가능한 간이분석모형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전 분석을 위한 간이모형 개발에 적용된 방법론과 운용논리, 모형검증 기법 등을 소개하고 향후 개발모형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