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웅진단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웅진단 발굴에 따른 사당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rine plan composition from the Ungjindan excavation works)

  • 김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86-193
    • /
    • 2012
  •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eriodical form of the 4 staged building sites with the size and the site composition of the master plan and floor plan of the Ungjindan (altar) from the Ungjindan excavation works in 2011. In order to project the research results aim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basic study was done with collecting data about shrine architecture for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case studies with ancestral facilities such as the Ak hae dok (national-level ancestral ritual to the big mountain, ocean and river) to understand the exact form of the site plan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elements through the general information and excavation status. In addit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information from the excavation works the planned measurement scale will be calculated in inference for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by stages and speculate the floor plan composition of the shrine architecture.

  • PDF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을 이용한 물/에탄올, 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특성 연구 : 활동도계수모형 및 Generalized Maxwell Stefan 모형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Ethanol and Water/Isopropyl Alcohol Mixtures through Zeolite 4A Membranes: Activity Coefficient Model and Maxwell Stefan Model)

  • 오웅진;정재칠;이정현;여정구;이다훈;박영철;김현욱;이동호;조철희;문종호
    • 청정기술
    • /
    • 제24권3호
    • /
    • pp.239-2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주)파인텍에서 개발한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을 이용하여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단일 성분 및 혼합물의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분리막은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제막하였고, Si/Al 비율이 1인 LTA 구조에 $Na^+$를 이온교환하여 약 $4{\AA}$의 기공크기를 갖고 있으며, 강한 친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SEM, porosimetry, BET, 압축강도계를 이용하였다. 다양한 온도 및 농도 조건 실험을 통해 제올라이트 4A 분리막이 물/에탄올(분리계수 3,000 이상) 및 물/이소프로필알코올(분리계수 1,500 이상) 혼합물로 부터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활동도계수, Generalized Maxwell Stefan 모형 및 Dusty Gas 모형을 이용하여 단일성분 및 혼합물의 투과증발 거동을 모사하였으며,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상수추정을 통하여 분리층의 흡착 및 확산상수를 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