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항자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GUI-based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small sized fuel cell ship (소형 연료전지 선박을 위한 GUI 기반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Lee, Hunseok;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2
    • /
    • pp.2235-2242
    • /
    • 2016
  • The electric power system based on fuel cell is applied in various forms to the ship and offshore plants. In particular, a research on the hybrid power system of the fuel cell combined with battery in connection topology has been researched actively. Fuel cell-based hybrid ship has not been carried out research, it is not carried out research in th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for the hybrid fuel-cell ship operator. Research into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based on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user convenience and ship operations, and developed communication and hardwired signal with the main equipment of the ship, to see in realtime state of the ship. The collected ship operation data is stored and it can be seen after the ship operating.

Development of a Real-time Ship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Model (선박운항데이터 기반 실시간 선박운항효율 분석 모델 개발)

  • Taemin Hwang;Hyoseon Hwang;Ik-Hyun Yo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1
    • /
    • pp.60-66
    • /
    • 2023
  • Currently, the maritime industry is focusing on developing technologies that promote autonomy and intelligence, such as smart ships, autonomous ships, and eco-friendly technologies, to enhance ship operational efficiency. Many countries are conducting research on different methods to ensure ship safety while increasing operational efficienc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al-time ship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model using data analysis methods to address the current limitations of the present technologies in the real-time evaluation of operational efficiency. The model selected ship operational efficiency factors and ship operational condition factors to compar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ship with present and classified factors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t ship operational efficiency is appropriate. The study involved selecting a target ship, collecting data, preprocessing data, and developing classific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obtained by determining the improved ship operational efficiency based on the ship operational condition factors to support ship operators.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사용자 UI 개발

  • Choe, Beom-Gyu;Kim, Tae-Jong;Gang, Gu-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42-43
    • /
    • 2017
  •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는 원격지 해역을 항행하고 있는 선박의 주요정보(화재, 경사, 탱크레벨, 기관 및 항해장비 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행/화재/내항성 등의 선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선박 운항자에게 서비스하는 시비스로서 선박 사용자와 육상의 이네비 센터 운용자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UI를 개발하고 있다.

  • PDF

선박의 속도 저하를 고려한 운항효율제고에 관한 연구

  • Gong, Gil-Yeong;Lee, Bo-Gyeo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98-200
    • /
    • 2013
  •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MEPC)는 선박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CO2의 양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신조선 설계 건조시 에너지효율지수(EEDI :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for new ships), 에너지 효율지표(EEOI : Energy Efficiency Operational Indicator), 그리고 에너지 효율관리 계획(SEEMP :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지수들을 이용하여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방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규제 강화와 발맞추어 세계 각국은 지속적인 Green-ship의 개발과 저탄소 고효율 선박의 운항을 위해 연구와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이 움직이는데 있어 동력이 시작되는 부분과 그 힘이 전달되어 운항자의 의식이 반영되어 선체의 이동으로 이어지기까지 흐름에 대해 도식 및 수식으로 정리하였다. 그리하여 해상의 상태와 이에 따른 운항결정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이 부분에서 운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또한 엔진의 상태에 따른 연료 절감율에 대해 살펴보고 보다 경제적 운항을 위한 적정 RPM과 속도 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이 같은 정리를 통해 앞으로의 Echo-ship, Green-ship의 연구방향에 대한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onsiderations of Ship Evacuation Route for Goldentime - Based on Ship Operators Perspective -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선박 대피항로 선정 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선박운항자 관점에서 -)

  • Park, Sang-Won;Park, Young-Soo;Lee, Myou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6
    • /
    • pp.620-627
    • /
    • 2017
  • The importance of "Golden time", the early hours for saving lives in case of an accident, is being increasingly recognized day by day. Especially for marine accidents, it may take several hours for a rescue team to arrive, depending on location. Therefore, captains should always be prepared to handle situations independently. In this paper, in order to make better use of Golden Time in an emergency, we determined what the first consideration should be when selecting a ship evacuation route from perspective of the ship operator. To achieve this, we used maritime accident judgments and ship emergency response manual to identify ship evacuation priorities. AHP analysis (decision-making hierarchy analysis) was conducted for ship operators to determine consideration priorit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hip operator consider the safety of people about 6 ti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actual ship. In order to select an evacuation route, the location of coast guard ships, port of refuge, emergency anchorage, surrounding vessels, drifting and beaching factor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using these priority considerations,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ship operators in emergency situations can be improved.

Research on the ways to resolve Conflicts among Crew members for Flight safety management (항공안전관리를 위한 운항승무원 갈등해소 방안 연구)

  • Kim, Gwan-Ho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138-143
    • /
    • 2015
  • 운항승무원 갈등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기장과 부기장 간 갈등이 주요원인이 되어 항공기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갈등관련 기장 및 부기장 인터뷰 결과, 기장 승급 기준 불투명, 무리한 비행스케줄에 따른 불만, 대립적인 노사문제, 기장의 권위주의, 군 경력자와 민간비행훈련원 출신 간에 갈등, 격무와 스트레스 등이 주요 갈등원인 이었다. 항공안전관리를 위해서는 갈등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부정적인 갈등이 표출되기 전에 해소시켜야 한다. 또한 건전한 조직문화를 위해서 상호신뢰와 CRM을 바탕으로 한 안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갈등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해소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갈등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와 운항승무원 갈등원인을 시스템적, 조직 문화적, CRM 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각 분야별로 갈등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에이전트 기반의 해상교통분석을 위한 선박운항자의 충돌회피 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ong-Tae;An, Yeong-Jung;Yang, Yeong-Hun;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79-180
    • /
    • 2020
  • 해상교통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주요 요소인 선박운항자의 인적요인에 대한 모델링 필요하며, 현실감 있는 해상교통 상황의 재현 및 예측을 위해 선박운항자 행동양식, 항해전문성, 항해오류 등을 모델링하여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에이전트 기반의 해상교통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선박운항자의 충동회피를 위한 행동 분석를 수행했으며, 기초 데이터의 확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상황에서 선박운항자의 행동과 유사한 에이전트 기반의 항해행동 모델 개발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ort Safety Operations Management Solution with Metaspace and Water Drone (메타공간과 수상드론을 통한 항만 안전운항관리 솔루션)

  • Hwang, Tae-Uk;Lim, Su-Jin;Lee, Jae-Hwi;Heo, Byeong-Gyu;Park, Sang-Eun;Kim,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65-1067
    • /
    • 2022
  • 울산항에서 일어나는 선박사고를 줄이고자 실제 산업환경정보를 수집하여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수상드론과 소형선박 운항자들을 대상으로 제작된 메타환경에서의 모의 운항을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안전한 산업환경을 만들기 위해 복합적인 항만 안전운항관리 솔루션을 구축하고자 한다.

선박 원격제어 데이터 처리시스템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김홍진;박득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74-175
    • /
    • 2021
  • 선박 원격제어를 위해서는 원격 제어자가 선박의 운항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연구 목적은 선박 원격제어를 위해 교환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선박 운항상태 파악과 제어 명령 전달에 필요한 시스템을 분야별로 구성하고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여 선박을 운항하면서 단위시스템별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박 운항 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실제 선박을 대체하여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육상제어시스템-선박 간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환되는 데이터의 통신방식은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충실해져야 할 사고조사체계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69
    • /
    • pp.52-55
    • /
    • 1999
  • 미국에서의 항공기 운항업계에 대한 규제완화 여파로 우리나라 등 각국에도 규제 완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항공기 제조업계는 기업의 통합과 구조 조정이 급진전하여 소수 정예의 과점 상황으로 나아가는가 하면 운항업계에서는 대규모 회사에 의한 독과점 체제가 무너지고 있다. 이런 배경 아래 항공기 사고에 대해서도 사고 조사가 제3자에 의하여 공정히 행해질 것을 바라는 소리가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