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판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국가 브랜드 사업으로서 템플스테이 고부가가치 전략을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콘텐츠 개발 - 불전사물 중 운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 Design Contents for High Value Added Strategy of Temple Stay as National Brand Project - Based on cloud-shaped gong among the Bulgeonsamul -)

  • 김선영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30-43
    • /
    • 2013
  •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of cultural product design contents by using the cloud-shaped gong in traditional temple culture in order to find a high value-added approach. The research herein is part of cultural design contents projects embedded with the spiritual value and symbolic connotation of temple culture. This would be meaningful to enhance its degree of utilization. This can also be a way to find a strategic alternative to a high value addition of temple stay and dissemination of temple culture.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was reviewed over temple stay and Bulgeonsamul. For motive desig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both Adobe Illustrator CS3 and Adobe Photoshop CS3 were used as computer design program. The template image of cloud-shaped gong for basic motive design was selected from those available at the domestic temples for accurate depiction of its head and body. Finally, samples were adopted from those temples of Gounsa, Songgwangsa, Guinsa, Hwaeomsa, and Naesosa. For each motive, different colors were applied and ten basic motives were practiced in total. By repeating the process for these motives, three types of textile design were prepared. T-shirt designs used a round neckline as basic form, and it was designed for sleeved and sleeveless styles. Apron designs stressed V-neckline and two types were processed: one for the back seam line and the other for side seam line. Pendants were designed with modern and luxurious image so that so that it could be used in various types of accessories. Designs for the bedding applied pattern design of the motives and this was done in a way that gave the images a sense of stability and splendor.

월정사 탑돌이의 전형과 공연문화 (Paragon of people circling the pagoda of Woljeongsa Temple and performance of its cultural inheritance)

  • 이창식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751-781
    • /
    • 2018
  • 월정사 탑돌이는 광복 이후 재현된 첫 번째 불교민속놀이로 불교문화로서의 대표성과 역사성을 지닌 주요 무형문화재이다. 월정사 탑돌이는 한국 고유의 전통성과 강원도의 정체성이 내재된 불교민속유산이라는 점에서 지정 가치가 크다. 전국 사찰에서 탑돌이가 시연되고 있지만 무형문화재 지정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월정사 탑돌이가 유일하다. 월정사 탑돌이의 문화재 내재적 가치에 주목해야 할 이유이다. 탑돌이는 부처님, 탑에 대한 예경방식의 총체적 표현물이다. 월정사 탑돌이의 원형은 추정하기 어려우나, 월정사의 역사성으로 보아 고구려 계통의 놀이와 신라 복회(福會)에 닿아 있다. 고구려벽화의 달, 오대산 화엄사상경 배경과 팔각구층탑의 본질의 측면에서 우요삼잡의 예법에 부합한다. 탑돌이 때 처음에는 범종, 고(鼓), 운판, 목어의 사법악기(四法樂器)만 쓰이다가 후에 삼현육각(三弦六角)이 합쳐지고, "보렴"과 "백팔정진가"을 부른 것을 보면 처음에는 순수한 불교의식이던 것이 차츰 민속화해서 민중 속에 전파된 것을 알 수 있다. 월정사 탑돌이의 전형은 회향의례의 환희심을 체험하는 우요삼잡의 풀이와 관련된다. 절에서 대재(大齎)가 있으면 신도들은 공양을 올린다. 이때에 염불, 범음(梵音), 범패(梵唄)가 따르며, 재가 끝나면 신도는 승려와 함께 불탑을 돌면서 부처님의 공덕을 빌고, 또 저마다의 기원을 빈다. 일신의 왕생극락은 물론 국태민안을 빌어 태평성대를 누리고자 하였다. 큰 재일수록 많은 신도들이 모이며 따라서 탑돌이도 성황을 이루었다. 법음(法音)에 맞춰 제각기 소원을 외면서 탑을 도는 모습은 엄숙하였다. 월정사 탑돌이의 변형과 융합에 대한 발상은 전형 곧 문화재 지정의 취지 유지와 정체성 차원을 살리되 전승의 공연화를 위한 계승적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탑돌이는 4월 초팔일과 중추절인 한가위 날에는 탑돌이가 있었다. 탑돌이의 공연성은 스님이 염주를 들고 탑을 돌면서 부처의 큰 뜻과 공덕을 노래하면 사찰 신도들이 그 뒤를 따라 등을 밝혀 들고 탑을 돌면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회향형(回向型) 불교민속놀이에 있다. 공연성 활성화는 신행 보유자 전승교육, 전문가 자문의 다차원 접근, 원형 재현의 담론 등을 단계적으로 보강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