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회전속도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ducing Speed Estimation Error of Flying Start in Sensorless PMSM (PMSM의 센서리스 운전시 플라잉스타트 속도 추정 오차 저감 기법)

  • Seo, Jeongjun;Ha, Jung-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242-244
    • /
    • 2020
  • 본 논문은 PMSM 센서리스 운전 중에 적은 속도 오차로 플라잉스타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철도 차량 운전시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인버터의 스위치를 모두 off하고 관성으로만 운전하는 타행운전을 자주 하게 되는데 센서리스 운전시 타행운전 상태에서 회전자의 속도와 위치를 알 수 없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플라잉스타트에서 회전자의 속도와 위치를 빠르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법은 플라잉스타트에서 3번의 영전압 합성을 통해 회전자의 속도와 위치를 추정해 내는 방법인데, 이 때 전류 정보에 오차가 존재할 경우 속도와 위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4번의 영전압 합성을 통해 전류 정보에 오차로 인한 속도와 위치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study of sensor malfunction detection and conversion to Sensorless control when the failure of rotational speed sensor is occurred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센서 고장 검출 및 Sensorless 제어로의 운전 전환 연구)

  • Oh, Joongki;Choi, Wonsik;Park, Kihyun;Park, Hyun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3.1-18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센서의 고장 발생 시 고장을 검출하고 회전속도센서의 사용 없이 Sensorless 제어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를 기술하였다. 최근 풍력발전은 급속한 성장함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대형화 및 해상풍력화 추세에 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은 바람 및 설치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이점에 반해 염해, 습도 및 파도에 의한 진동 발생으로 센서의 고장 발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센서 고장 발생 시 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회전속도센서의 고장이 검출되면 회전속도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제어방식에서 Sensorless 제어로의 전환을 통해 안전하게 풍력발전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된 제어기법은 PSIM을 이용한 시물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processes for Flexible Overhung Rotor (Flexible Overhung Rotor의 제작 및 조립공정 개발)

  • 이영섭;이정훈;김명섭;최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38-38
    • /
    • 2000
  • 최근 개발되고 있는 고속회전기계들은 무게 절감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높은 회전수를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계의 운전속도가 회전체의 1차 굽힘 위험속도(Critical Speed) 이상에서 운전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위험속도를 통과하는 고속회전기계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회전체진동 문제는 정밀 제작 및 조립, 좋은 성능의 댐퍼 설계, 그리고 고속회전체 밸런싱 (High Speed Balancing) 작업등을 통하여 더 이상 회전기계 개발의 장애요인이 아닌 것으로 점차 인식되어 가고 있다.(중략)

  • PDF

계자회로 개방시의 직류기의 이상현상에 관한 소고

  • 권순국
    • 전기의세계
    • /
    • v.11
    • /
    • pp.1-7
    • /
    • 1963
  • 직류분권 전동기에 있어서 정상운전시에 계자회로를 개방하면 회전자의 속도가 매우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이상현상 자체를 수학적으로 해석해서 개방후의 회전자의 속도변화와 전기자전류의 변화를 시간의 함수로써 구하였다. 그리고 회전자의 속도 및 전기자전류, 잔류자기와 회전자 최종속도와의 관계, 부하 torque를 생각했을 경우의 회전자속도강하조건, 및 speed-torque curve도 구해보았다. Speed-torque curve의 경우에는 수학적으로는 복잡함으로 간단히 하기 위하여 과도기간을 편의상 subtransient와 transient의 두가지 period로 나눈 다음 물리적 현상을 고려하여 sub-transient를 무시해서 생각하였다. 본 실험에서 detector로는 Diehl tachometer-generator를, tachometer입력으로는 Hewlett-Packard사제 Model 200CD형 oscillator에 의한 20cps signal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회전 속도와 전기자전류를 Duel Channel Sanborn-150 recorder로 기록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DFIG Reactive Power Using the Rotor Exciting Control (회전자 여자제어를 이용한 풍력발전 DFIG의 무효전력 해석)

  • 이우석;오철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05a
    • /
    • pp.133-138
    • /
    • 1999
  • 바람의 변화가 심한 풍력발전에 응용하기 위한 발전기는 동기속도 이상과 이하에서 발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DFIG(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시스템의 경우 회전자 여자제어를 통한여 운전점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전영역의 확장이 가능하고 동기속도의 이상과 이하의 범위에서 발전이 가능하다.(중략)

  • PDF

회전기계의 진동평가 및 설비법(I)

  • 양보석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6
    • /
    • pp.478-488
    • /
    • 1987
  • 회전기계의 고성능, 고속화에 따라 베어링 유막특성에서 자려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되고 더욱이 고압화에 의해 자동유체로부터 불안정한 힘이 증대하게 되었다. 또한, 고속화에 의해 계의 운전속도가 1차 위험속도 이상으로 되어 시동, 정지시에 위험속도를 통과하여야 하며, 고차 위험속도에서의 공진가능성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실제방법만으로는 회전기계의 진동문제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는 상태이다.

  • PDF

Voltage & power of condenser by series connection of condenser-reactor under the voltage unbalance (회전속도 변화에 따른 유도기 무효전력 계산)

  • Kim, Jong-Gyeum;Park, Young-Jeen;Kim, Il-Jung;Kim, Sung-Hun;Kim, Young-G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874-875
    • /
    • 2011
  • 3상 유도기는 동기속도 이하에서 운전할 경우 전동기로 동작하지만, 동기속도 이상의 운전할 경우 발전기 동작이 가능하여 소수력과 같이 소용량의 설비에 종종 적용하고 있다. 전동기로 사용할 경우 대부분 부하가 일정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발전기로 사용할 경우 부하 변동에 따라 회전수가 달라져 발생전압의 변화가 높은 편이고, 회전자계를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무효전력도 전동기와 발전기로 사용할 경우 공급 포인트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기를 전동기로 사용하는 경우와 발전기로 사용하는 경우 회전속도 변화에 따라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필요한 자화전류와 무효전력을 일반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범위에 들어가는지를 계산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turbocharged diesel engine under operation conditions of rapid acceleration (터보과급기 부착 디젤기관의 급가속 운전시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최낙정;전봉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9 no.3
    • /
    • pp.33-41
    • /
    • 1995
  • 본 연구는 터보 과급기 부착 디젤 기관의 급가속 운전시 기관과 과급기의 과도 응답 성능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과도 응답 성능 구명은 일정한 회전 속도로 정상 운전중인 기관의 연료 펌프 랙을 10%에서 40%까지 일정 시간동안 급가속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때의 과급기 응답 지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실험은 급가속과 동시에 압축기 출구의 흡기메니폴드 내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추가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공기 분사 압력, 공기분사 기간, 가속률, 가속 시간 등이 압축기 출구의 압력과 온도, 터빈 입구의 압력과 온도, 실린더 압력, 기관과 과급기 회전 속도 등의 응답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가속전 정상 상태의 기관 회전 속도와 적용부하의 변화에 따라 시간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고속 회전축-베어링계의 스퀴즈-필름 댐퍼에 관한 연구

  • 한동철;윤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06b
    • /
    • pp.48-59
    • /
    • 1989
  • 최근 터어보 샤프트, 터어보 팬, 터어보 쳇트 엔진, 가스 터어빈, 공작기계의 주축, 그리고 섬유기계 섬유봉등의 회전기계류 설계에서 단위 무게당 출력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 회전속도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축계의 진동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감쇠특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베어링의 외부에 스퀴즈-필름 댐퍼 (Squeeze-film Damper)를 부가하고 회전축계를 유연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진동문제를 간단히 해결하며 회전속도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적합하게 설계된 스퀴즈-필름 댐퍼의 잇점은 다음과 같다. (a) 회전축의 위험속도를 작은 공진쪽으로서 통과하는 것이 가능. (b) 베어링과 지지구조물에 전달되는 하중이 감소 (c) 장기간 사용중, 마모 및 브레이드 파손에 의해 진폭이 증가된 불평형 강제진동에서도 안정된 운전이 가능 (d) 미끄럼 저어널 베어링에 지지된 회전축계의 고속회전에서 불안정한 자려진동이 나타나는 안정 한계속도를 높히는 것이 가능

  • PDF

고속 터보 로터 시스템의 자유진동 특성 분석

  • 전원석;최문창;유계형;권대규;이성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5-185
    • /
    • 2004
  • 최근 고속 회전기계에 사용되고 있는 공기호일 베어링은 동압형 기체 베어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보통의 저널 베어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높은 안정성 및 축 자체에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극저온 기계 및 고속 회전기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회전기계는 축의 기동 및 정지 시, 위험속도를 안전하게 통과하기 위해 위험속도에서의 진동을 억제하여야 하고, 운전 가능한 회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로터 시스템의 동적 해석이 필요하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