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조작 장치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Modeling of User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Control Elements in the Car (자동차 실내에서 운전자 행동 및 조작요소와의 인터렉션 정보 모델링)

  • Park, Jeo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33-736
    • /
    • 2003
  • 자동차는 이제 단순한 운송 수단이 아닌 생활의 한 공간으로써 인식되어야 하며, 자동차 내부의 각종 편의장치 또한 사용자 중심적 견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자동차 내부에는 운전에 관계된 조작장치 이외에도 오디오, 공기조절기와 같은 각종 편의장치들이 존재하며, 일반적 상황이 아닌 운전 작업 줌에 조작이 행해진다는 정에서 특히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실내를 대상으로 하여 그 사용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사용환경내 오브젝트와의 인터랙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구조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 정보모텔을 작성하는데 있다.

  • PDF

MR Haptic Device for Integrated Control of Vehicle Comfort Systems (차량 편의장치 통합 조작을 위한 MR 햅틱 장치)

  • Han, Young-Min;Jang, Kuk-C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2
    • /
    • pp.291-298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of secondary controls within vehicles requires a mechanism to integrate various controls into a single device. This paper presents control performance of an integrated magnetorheological (MR) haptic device which can adjust various in-vehicle comfort instruments. As a first step, the MR fluid-based haptic device capable of both rotary and push motions within a single device is devised as an integrated multi-functional instrument control device. Under consideration of the torque and force model of the proposed device, a magnetic circuit is designed. The proposed MR haptic device is then manufactured and its field-dependent torque and force are experimentally evaluated. Furthermore, an inverse model compensator is synthesized under basis of the Bingham model of the MR fluid and torque/force model of the device. Subsequently, haptic force-feedback maps considering in-vehicle comfort functions are constructed and interacts with the compensator to achieve a desired force-feedback. Control performances such as reflection force are experimentally evaluated for two specific comfort functions.

A study of safety guideline and customer needs on agricultural machinery (농업기계 안전지침 및 농업기계 사용자 요구사항의 분석)

  • Park, Dong-Hyun;Yun, Myung-Hwan;Ji, Yong-Gu;Choi, Young-June;Lee, Joo-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68-671
    • /
    • 2004
  • 일반적으로 재해는 물적인 원인이나, 인적인 원인 또는 두 원인이 함께 작용하여 발생한다. 농업기계관련 재해의 원인은 기계의 성능뿐만 아니라 그 기계가 얼마만큼 인간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운전조작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도 직접적인 원인이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농업기계로 인한 재해실태 조사와 외국선진사례의 분석을 통해 농업기계 작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간공학 측면에서 농작업 및 농업기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농업기계에 의한 재해현황, 농업기계작업에 대한 안전지침, 설계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지침 및 농업기계 재해예방을 위한 정책적 개선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작업자의 기술 및 상황판단, 시계성, 차체진동 및 의자진동, 의자설계, 캐핀 배치 및 설계, 안전장치 및 보호 장치, 작업환경 등을 농업기계 제조회사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계의 인간공학적 개선을 통해 안전한 운전조작을 가능케 하여 농업관련재해의 감소와 재해의 사전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sability in Information Transfer of a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적응순항제어시스템 정보 전달의 효용성)

  • Kim, Young-Suk;Park, Joo-Ho;Lee, Woon-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228-1233
    • /
    • 2006
  •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은 선행차량과의 거리와 속도를 자동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하여 운전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작동 상태 및 주변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해 주기 위한 시각 및 음성정보 전달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시각정보 전달장치를 통해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 속도, 가감속 상태 등을 운전자에게 전달하였고, 음성정보 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선행차량과의 근접거리 경보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운전자가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을 사용하여 운전하는 경우, 시각 및 음성정보 전달장치의 유무에 따른 차량 조작과 차량 운전 성향 및 특성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보전달장치를 통한 안전성 향상에 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운전자에게 정보 전달장치를 통해 정보가 제공되었을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운전 및 적응순항제어시스템 사용에 있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었고,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를 보다 넓게 설정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보전달장치를 통한 정보 수집이 차량 운행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전달장치를 통한 정보전달은 운전자에게 적응순항제어시스템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 안전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Introduction of mechanical and environmental tests (high & low temperature tests) for the reliability of GIS Mechanism (GIS 조작부 신뢰성 확보를 위한 고, 저온 동작특성시험 도입)

  • Lee, Kyu-Chul;Kim, Seong-Arm;Kim, Ho-Keun;Kim, Min-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311_312
    • /
    • 2009
  • 개폐장치중 GIS는 전력기술발전과 함께 국토가 좁고 도심이 갑작스럽게 팽창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빠르게 보급되어 운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GIS의 도입은 1970년대말 유럽으로부터 Maintenance Free 목적으로 도입되었고 800kV급까지 국산화에 성공하여 국내 및 세계전력시장에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GIS Trouble도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한국전력에서 조사한 2000년이후 MV급(25.8kV) GIS Trouble 이력을 조사한 결과 조작기구부와 조작회로의 Trouble이 크게 차지하고 있으며 조작기구부와 조작회로를 구성하는 주요부품의 Trouble에서 기인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도입될 예정인 MV급 친환경절연 개폐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작회로는 전력IT의 산물인 IED를 도입하였고 조작기구부는 사용환경 상태보다 약간 상회하는 온도와 습도변화를 통하여 구성하는 유기물 부품에 대한 가속열화를 촉진시켜 동작시간과 Stroke의 동작변화 추이를 확인하는 고, 저온 동작특성시험을 도입하게 되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Control System for Car Navigation (자동차 내비게이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hin, Yejin;Seol, Soon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7
    • /
    • pp.1695-1703
    • /
    • 2014
  • Manipulating a car navigation system while driving can lead to car accident due to loss of concentration. This will be more serious for elders or beginner drivers. Recently, a new Road Traffic Law in Korea prohibits drivers from watching or operating any video displaying devices. So the car navigation system came hard to use. In order to solve the issue we design and implement a novel system where a remote person can control the car navigation system on behalf of the driver. In the proposed system, we suggest to utilize the driver's smartphone for allowing sharing the Internet connection of the phone with the navigation system. The required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server will als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ffect of operating telematics device in vehicle on driver behaviors (운전중 텔레매틱스 장치 사용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Sihn, Yong-Kyun;Ryu, Jun-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6
    • /
    • pp.39-47
    • /
    • 2008
  • With dramatic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start of DMB service, installing the DMB equipment in a vehicle for watching TV programs and literal or pictorial traffic information are increasing. Watching the DMB during driving the vehicle could cause visual and cognitive distraction to drivers as much as eating food, operating radio and using mobile phone. However, there is not much empirical research for this topic and no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watching the DMB on driving behaviors in Korea. S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tching the DMB on the driving behaviors with car simulator experiment. Within subject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That is, all subjects drove the vehicle both in the watching DMB condition and the non-watching DMB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s in the watching DMB condition took longer time to arrive at the destination and operated accelerator and brake pedal rapidly than subjects in the non-watching DMB condition. That is, their overall driving stability was lower than non-watching subj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among the DMB control conditions (i.e., keypad condition, touch-pad condition and remote controller condition) in the driving behaviors.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 Study on Development of Test Equipment for Voltage Variable (전압가변 시험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응상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2
    • /
    • pp.130-137
    • /
    • 2000
  • 신에너지 전원의 배전 계통과의 실제 연계 운전상에서 순간정전, 순간전압상승, 및 강하등의 전압가변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향에 따른 문제점을 검증하여 사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전력품질의 변화를 임의로 발생시키고 특정시간후에 다시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전원의 전압가변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험장치는 개폐스위치, 바이패스 스위치, 가변 변압부, 전압·전류 검출부 직류전원공급기, 제어·구동부 , 표시·조작부 등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개발한 시험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에 의한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배전 계통에 적용하여 순간정전, 순간전압상승 및 강하시험을 실시하며 전압·전류 파형을 측정·분석하여 시험장치의 신뢰성과 ,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ynamics of Police Motorcycle Simulator (경찰 오토바이 시뮬레이터의 동역학에 관한 연구)

  • Ahn, Dong-Hyuk;Cho, Sung-Hyun;Kim, Hee-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533-542
    • /
    • 2020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C - based motorcycle simulator based on the development technology of the virtual patrol motorcycle training system. In order to get the impression that the motorcycle simulator is operating in a realistic way, it is important to have a reliable signal transmission and operation feeling between the driver and the simulator. In order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 system that can apply the sub-systems of the actual vehicle to the motorcycle simulator in order to generate the same operation feeling as the actual vehicle.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developed a method for generating a feedback queue. Vehicle dynamics simulates real-time vehicle motion by receiving input from a steering wheel, accelerating / decelerating pedal, etc. operated by a driver on a vehicle simulator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a visual and acoustic system, It is the central element of the simulator to generate. I want to summarize the main requirements of simulation dynamics.

Application of Fuzzy Modelins Scheme to Optimal Parameter Tuning of Filter Test Equipment (필터자동검사장치의 최적 운전 파라미터 동조를 위한 퍼지 모델링 기법의 적용)

  • 한윤종;육의수;김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409-412
    • /
    • 2004
  • 일반적으로 반도체 생산 라인으로부터 생산되는 제품의 수율은 반도체의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고수율의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반도체 생산라인 내부의 공기를 청정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고성능의 필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의 재료는 초극세 섬유로 작업자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 필터 표면에 핀홀(pinhole)둥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핀홀은 육안으로 관측이 힘들뿐만 아니라 필터의 여과 성능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필터 생산업체에서는 이의 검출 및 보수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터 표면에 발생된 핀홀을 검출할 수 있는 자동 테스트 장치를 제안함과 동시에 제안된 테스트 장치의 효율적 운영을 가능케 하는 최적 운전 파라미터를 퍼지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튜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