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조건의 영향

Search Result 67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s of Fatigue Induced Both by Sleep Deprivation and Time-On-Task on Driving Performance (수면박탈과 운전 지속시간에 의한 피로가 운전 수행에 미치는 효과)

  • Jaesik Le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2 no.3
    • /
    • pp.69-83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driving simulation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tigue induced both by sleep deprivation and time-on-task on driver's driving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although the drivers in almost every experimental conditions showed faster driving speed than that was required, the drivers in the sleep-deprivation and over 1-hour time-on-task condition drove slower than the target speed. Second, the drivers in the sleep-deprivation and over 1-hour time-on-task condition crossed the lane less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other conditions, they weaved more in the lane. Third, as the drivers became more fatigued both by sleep deprivation and continuous driving, they reported higher fatigue scores in the subjective fatigue rating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the drivers might adapt a compensative driving strategies when they were fatigued, their driving performances were indeed impaired, in general.

Effects of Music Tempo on Young Drivers' Driving Speed (청소년 운전자의 운전중 음악청취가 운전속도에 미치는 영향)

  • Juseok Oh;Yongkyun Shin;Soonchul Le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2 no.1
    • /
    • pp.35-54
    • /
    • 2006
  •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young drivers' driving speed. 23 male college students under age 26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music conditions as follows; No Music, Slow Music and Fast Music. Every subject's travel time(sec) and driving speed(Km/h) was recorded while they were driving a computer-based driving simulator.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1) the fast music group's mean of travel time was the shortest and also, 2) their mean of driving speed was the fastest.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driving speed can be explained as a biological mechanism, same as the effect on our heart-beat rate or intensity of physical exercising. This result shows us that listening musics while driving can affect the driving speed instead of the driver's physical condition.

상수처리에서 유기,무기물이 한외 여과막 오염에 미치는 영향

  • 오중교;이태진;이용택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62-63
    • /
    • 1996
  • 상수처리 시스템엣의 분리막의 적용시 효과적인 공정운영을 위해 여러가지 운전조건이 있으나 막내에 축적되는 막오염이 주요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막오염은 막 표면이나 세공에서 물질의 흡착, 부착 및 축적등과 같은 일련의 메카니즘에 의해 물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분리막 공정에서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으므로 막오염을 조절할수 있는 인자들의 제어는 실플랜트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분리막을 이용한 상수처리 시스템에서의 운전 조건들은 온도, 압력, 선속도, pH등이 있으며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투과 flux를 위해서는 실험실적 규모를 통해 최적 조건을 선정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막오염을 제어하고 최적 운전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상수원수로 호소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리라 생각되는 humic acid와 무리물질인 kaolin을 모사용액으로 제조하여 막오염과 운전조건과의 상호작용을 cake 저항, 비저항 값으로 측정하여 장기간의 field test에 필요한 최적 운전조건을 선정해 주었다.

  • PDF

가압기 밀림배관 열성층 영향 평가

  • 이성호;정백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483-488
    • /
    • 1997
  • 원자력발전소 가압기 밀립배관은 원자로냉각재계통 압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가압기와 원자로냉각재계통을 연결하는 ASME 1등급 기기로서 건전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운전중인 국내ㆍ외 원전의 가압기 밀림배관은 설계시 열성층화(Thermal Stratification) 현상발생 뿐만 아니라 동 현상이 배관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운전중인 원전 가압기 밀림배관에서 발생하는 열성층화 정도를 확인하고. ASME 코드에 입각한 평가방법론을 정립 설계조건과 운전조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므로써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Performance change of Polymer electrode Membrane operating temperature (PEMFC 고분자 전해질막의 운전온도에 따른 성능변화)

  • Lee, Ho;Shin, Kang-Sup;Park, Kwon-Pi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80-182
    • /
    • 2007
  • PEMFC의 상용화 진입에 있어서 걸림돌 중의 하나가 열화(degradation)에 의한 성능감소이다. PEMFC 고분자 막의 열화가 PEMFC 성능 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고분자 막의 성능 감소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무가습/OCV조건에서 성능 감소가 잘 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OCV/무가습 조건에서 과산화수소나 라디칼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과, OCV조건에서 사용되지 못하는 수소와 산소의 gas-crossover 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무가습 조건에서 수소와 산소의 분압이 높아 gas-crossover 가 유리하고 악의 건조에 따른 물리적인 영향 등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조건에서 Cell 운전온도가 막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OCV 여려 조건 에서 단위전지 실험을 한 후 I-V, 수소 투과도, 임피던스, FER(fluoride emission rate)등을 측정해 그 결과를 검토 분석하였다. OCV/Anode 무가습 조건이 알려진 대로 막열화 가속조건 이었음을 확인하였고, 실험 결과 Cell 운전온도가 $10^{\circ}C$증가 할 때마다 FER(fluroide emission rate)이 즉 막 열화속도가 약 2배정도 증가함을 보였다.

  • PDF

심전도를 통한 졸음운전 예측 타당성 검증

  • Hwang, Gyeong-In;Choe, Eun-Ju;Kim, Seul;Kim, Hyeon-Jeong;Eom, Ji-Eun;Lee, Jae-Hui;Lee, Gye-Hun;Mun, Gwang-Su;O, Se-Ji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561-567
    • /
    • 2013
  • 본 연구는 졸음운전의 지표로 예상되는 심전도의 LF/HF 비율이 효과적으로 졸음운전을 예측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31명이 참가하였으며, 가상 운전 시뮬레이션 과제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수면박탈이 운전 중 LF/HF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한 조건과 수면이 박탈된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충분한 수면을 취한 조건에서 참가자는 전날 6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한 후 30분동안 진행되는 가상 운전과제를 수행하였다. 수면이 박탈된 조건에서는 실험에 참여하기 전날에 참가자가 5시간 이하의 수면을 취하도록 유도한 후 60분 동안 진행되는 가상 운전 과제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참가자는 두 조건 모두에서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한 상태로 가상 운전 과제를 수행하였다. LF/HF 비율과 지각된 졸음운전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참가자가 가상 운전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10분간격으로 주관적 졸림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충분한 수면을 취한 조건보다 수면박탈 조건에서 참가자의 LF/HF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동일하게 주관적 졸림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주관적 졸림정도가 LF/HF비율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F/HF 비율을 통한 졸음 운전 예측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operating telematics device in vehicle on driver behaviors (운전중 텔레매틱스 장치 사용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Sihn, Yong-Kyun;Ryu, Jun-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6
    • /
    • pp.39-47
    • /
    • 2008
  • With dramatic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start of DMB service, installing the DMB equipment in a vehicle for watching TV programs and literal or pictorial traffic information are increasing. Watching the DMB during driving the vehicle could cause visual and cognitive distraction to drivers as much as eating food, operating radio and using mobile phone. However, there is not much empirical research for this topic and no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watching the DMB on driving behaviors in Korea. S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tching the DMB on the driving behaviors with car simulator experiment. Within subject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That is, all subjects drove the vehicle both in the watching DMB condition and the non-watching DMB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s in the watching DMB condition took longer time to arrive at the destination and operated accelerator and brake pedal rapidly than subjects in the non-watching DMB condition. That is, their overall driving stability was lower than non-watching subj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among the DMB control conditions (i.e., keypad condition, touch-pad condition and remote controller condition) in the driving behaviors.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동기기 2대를 1대로 치환함으로써 제3기의 과도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 조건찬
    • 전기의세계
    • /
    • v.9
    • /
    • pp.28-35
    • /
    • 1962
  • 많은 수의 동기기를 포함한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각각의 동기기를 독립적으로 취급하는 것은 실제상 불가능하며, 따라서 몇 대의 동기기를 1대의 동기기로 치환하여 계통을 간략하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렇게 함으로써 피시험동기기의 안정도에 주는 영향은 상금도 문제로 되어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그 영향을 여러가지 운전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여 정당한 등치법을 찾는 데 있다.

  • PDF

The effects of cellular-phone use on driving performance under various driving speed conditions (주행속도를 달리했을 때 운전 중 휴대 전화 사용이 운전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최시환;이재식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6 no.3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driving simulation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ular-phone use on driving performance when required driving speeds were systematically varied(60, 80, 100, or 120km/h) while either using cellular-phones(experimental condition; Hands-Free or Hands-Held) or not(control condition). Driving performance was measured both by longitudinal vehicle control(i.e., variabilities in driving speed and headway) and lateral vehicle control(variabilities in lane posi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ving speed variation between the two cellular-phone usage conditions was found only at relatively higher driving speed conditions(i.e., over 80km/h). (2) Only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where cellular-phone was required to be used while driving, the magnitudes of variation in driving speed, headway and lane position were gradually increased as the required driving speeds were increased(this tendency was not found in control condition). And. (3) the dependent measures of this study appeared to suggest that cellular-phone usage itself (rather than the types of cellular-phone) had significant impact on driving performance. Finally, implication and issu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Study of Fuel Cell System for Aerial Vehicles (항공기 동력원으로 연료전지시스템 적용시 고려사항 고찰)

  • Goo, Young-Mo;Kim, Myong-Hwan;Yoo, Seung-E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683-684
    • /
    • 2011
  • 연료전지시스템을 항공기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출력에 필요한 스택성능과 한정된 부피 내 연료전지시스템을 탑재하기 위한 운전장치 구성, 그리고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한 부품 및 재료 선정이 필요하다. 스택의 기본성능은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기체확산층 구조, 분리판 디자인 및 운전조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스택의 기본성능은 연료전지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전장치 구성 및 성능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어떠한 운전장치를 어떠한 구성으로 설계하는가에 따라서 성능이 변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시스템을 항공기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할 스택과 운전장치의 구성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운전환경(스택 경사, 고도)이 연료전지 스택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