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자 심리상태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운수업체 경영자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 신용철;안병준;성낙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45-550
    • /
    • 2003
  • 교통사고의 요인은 크게 운전자 요인, 도로환경 요인, 차량 요인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운전자의 안전의식미비, 심리상태, 피로 등 운전자 요인과 차량의 고장, 정비상태 불량 등 차량요인은 운수업체의 경영과 직ㆍ간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사고예방을 위한 경영자의 안전의식이 교통사고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중략)

  • PDF

Analysis of Optimal and Pleasant Driving Cond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생리신호 측정을 통한 심리적 적정 운전상태 분석)

  • 김정룡;황민철;박지수;윤상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3
    • /
    • pp.27-35
    • /
    • 2004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 psychological status of optimal and pleasant driving condition by measuring various physiological signals using SCR(skin conductance response), PPG(peripheral plethysmograph), SKT(skin temperature) and HR(heart r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 was measured during various simulated driving conditions. We developed a hardware and algorithm to measure and analyze the physiological response. The physiological signals has reflected the level of driver's tension or relaxation as well as the heart rate. The emotional responses of drivers were also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 system to enhance the driver's emo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to monitor the driver's safety and health condition.

  • PDF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Car Drivers' Mood State (운전자의 무드(mood) 파악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Kim, Yun-Gyeong;Lee, Gyeong-Sil;Seok,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3-116
    • /
    • 2009
  • 보다 바람직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운전 시의 기분 혹은 감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으로 도로 소통 상황, 계절, 날씨, 운전 시각, 운전 지역을 추출하였으며 운전자 개인의 감정상태를 결정짓는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요인은 배제하였다. 운전 경력 3 년 이상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감성 상태는 긍정/부정, 흥분/안정의 2 가지 축으로 나뉘어 측정하였다. 운전자의 무드는 중립을 기준으로 양 극단보다는 중립에 가까운 상태에 주로 분포하였는데 긍정/부정에는 각각 고루 분포한 반면, 흥분/안정에서는 안정 쪽에 더 많이 분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섯 가지 외부 요인들이 모두 운전자의 무드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로 소통 상황이 긍정/부정과 흥분/안정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감성의 긍정/부정 축에서는 계절, 날씨, 소통 상황, 그리고 운전 지역이 유의미하였으며, 감성의 흥분/안정 축에서는 운전시간과 소통 상황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확장시켜 운전자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전자를 위한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Psychological Study on the Violation of the Traffic Rules -Especially in relating Autodrivers- (교통법규 위반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특히 자동차 운전자와 관련해서-)

  • 윤홍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17-26
    • /
    • 1997
  • 최근에 이르러 자동차의 대수는 급격히 증가해 왔다. 이런 경향성의 결과로 나타난 교통사고의 인적 및 물질적인 손실이 최악의 상태에 이르른 것이 사실상 오늘날 우리들의 불행한 현실이다. 대다수의 교통사고가 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에 기인되고 있다는 전제하 에 본 논문은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그와같은 위반적인 운전자 행동의 이론적 배경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법규 위반적 행동에 대해 취할 수 있는 기본적이 대책을 마련 하는데 있어 특별히 기여할 수 있을 "인간-환경-경험" 모델을 구축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자 노력하고 있다.

  • PDF

Fuzzy 추론을 이용한 운전자 심리 분석에 관한 연구

  • 김명순;손병성;진상화
    • KSCI Review
    • /
    • v.2 no.2
    • /
    • pp.51-56
    • /
    • 1996
  • Fuzzy 이론은 인간의 행동, 인식등에 관한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정보를 분석하고, 의사 결정을 행하는 이론으로서, 최근에는 일상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는 이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Fuzzy 이론중 Fuzzy 추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심리 상태를 Fuzzy 합성을 통하여, Mamdai의 Min-Max 중심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Safety for Driving within the Platoons of Trucks by Drivers Driving Performance (화물차 군집주행 간격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수행능력별 심리상태 및 주행안전성 비교 연구)

  • Park, Hyun jin;Park, Jae beom;Lee, Ki young;Song, Chang 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6
    • /
    • pp.147-16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safety of drivers driving around the truck platoon driving. Using the driving simulator,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constructed with the situation of changing lanes to the platoon and driving within the platoon. We tried to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driver's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safety through simulation driving experiments.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older driver group,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judged themselves to be driving safely, even though they were driving dangerously in the actual lane change to the platoon or driving within the platoon. In particular, this group showed that the narrower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the greater the mis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riving the optimum interval when the interval between platooning of trucks needs to be temporarily extended.

Effects of Driver's State Driving Anger on Collision Avoidance and Situation Awareness: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Affect (운전자의 상태운전분노가 추돌회피와 상황인식에 미치는 효과: 부정정서의 조절효과)

  • Yo-Han Kim;Jaesik Le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0 no.4
    • /
    • pp.391-414
    • /
    • 2014
  • This driving simulation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river's state driving anger(SDA) on collision avoidance(CA) and situation awareness(SA),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driver'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PA and N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r's SDA and SA.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high SDA group collided with the leading vehicle more frequently than low SDA group. Second, neither the driver's trait driving anger(TDA) nor PA/NA yielded significant changes in SA after SDA was induced. Third, high SDA tended to lower SA but this tendency was observed only when the driver's NA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DA than TDA is a significant deteriorating factor of the driver's SA, and more importantly, SDA should be considered with other affect-relating variable such as NA in explaining the effect of SDA on driver's SA and CA.

  • PDF

A theoretical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Patterns of Marking on the Road-Surface and Driving-Behavior (Aiming at developing a suitable Model related) (노면표지 자극양상과 운전행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관련된 적정 모델 개발을 목표로))

  • 윤홍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101-110
    • /
    • 2000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들의 현실적 노면표지 형태가 그 강도, 종류 및 출현빈도 측면에서 드러내는 지속적 증대 내지 강화 경향성을 문제점으로 제기하면서, 이런 노면표지 형태와 운전행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심리학적 제반 이론들을 고찰해보고 아울러 여기서 상호 연관적 특성을 밝혀주는 하나의 적절한 모델을 개발해보고자 하는 데에 두었다 이 모델에서는 운전자의 사고예방이나 안전운행이 곡 필요한 수준의 노면표지 자극화(stimulation)를 통해 조성된 쾌적한 교통환경에서 보다 용이하게 가능하다는 점이 전제되고 있다. 우리가 인간행동을 총체적으로나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는 일반심리적이거나 행동주의적 제반 이론 관점이 다소 미흡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반면에 보다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통찰에 중점을 두고있는 형태주의 심리학이나 장 이론적 시각은 행동분석 시에 비교적 결실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노면표지 자극의 양상여하가 운전자에게 스트레스, 정보과부담, 과도한 심리적 각성상태 등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는 이런 문제점이 환경심리학적 고찰측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면표지 조성화 양 관점 모델\"에서 시사되고 는 터이지만. 이 모델에서의 노면표지 형태가 이론적인 면에서 \"정서-인지적\" 인간관에 근거를 두고있어 궁극적으로 이것이 옳다면, 그것은 곡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에 머물러야 한다는 것이다. 올바른 운전행동, 다시 말해 교통법규 준수 행동은 노면표지 양상 측면의 각종 자극적 강화대책보다도 오히려 실효성 있는 교통교육, 확실한 적발 단속과 엄중한 처벌대책에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큰 비중을 두고있는, 바로 그런 운전자의 의식개혁을 통해 비로소 제대로 정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델의 타당성 여부는 후속적 실증연구를 통해 해명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BRT System to Analyze Driving Skill (운전 숙련도 분석을 위한 BRT 시스템에 대한 연구)

  • Jeon, Jong-Oh;Park, Seong-Mo;Won, Yong-Gw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8 no.1
    • /
    • pp.65-71
    • /
    • 2011
  • In modem society, car are the most important transportation. Thereby, car accident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The driver is the biggest factor of car accident. Therefor, various studies about driver (reaction time, mentality, physiological signal, age, pattern of drive) are underway. In this paper, we design a embedded system for measuring the reaction time by driving skill.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d of measuring brake module, OBD-2 scanner and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Also, we implement GUI program to analyze experiment result and database to store results. Though our proposed system, we can analyze driving sk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