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반하중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하중운반체계의 동역학적 연구

  • 서국웅;이창민;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17-123
    • /
    • 1998
  • 본 연구는 하중운반 보행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하중운반체계의 효과에 관한 생체역 학적 연구로써 지면반력기, EMG system등을 이용하여 동역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피실험자는 2명이며, 무부하시와 하중운반시 지면반력의 동역학적인 변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0kgw, 30kgw의 하중운반 체계에서 비효율적인 보행동작으로 나타났으며, 30kgw의 운반체계는 지면에 큰 충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비복근, 전경골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활동전위는 부하의 증가에 따라 크게 나타았으며, 전경골근의 경우는 20kgw의 등 뒤쪽 부하시 활동전위가 감소되었다.

  • PDF

다양한 중량물 운반(carrying) 유형에서의 최대허용 하중에 대한 비교평가

  • 이관석;박희석;서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813-82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육체적 방법(Psychophysical method)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량물운반 유형에서의 최대허용하중을 구하는 것이며 이의 타당성을 생리학적 방법(physiological method)을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또한, 인체측정과 근력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각 운반유형에서의 최대허용 하중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운반유형(Front carrying, One-hand side carrying, Two-hands side carrying 그리고 Back carrying)과 두가지의 보행 속도 (50.0 그리고 79.2 m/min)를 주요변수로 8가지의 작업에 대해 무작위로 선택하여 각 작업에 대한 최대허용 하중을 시간과 경비의 감소측면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심리육체적 방법으로 구하였다. 피실험자는 운반작업의 경력이 있는 실제 작업자군(n=7)과 그렇지 않은 학생군(n=10)으로 구분하여 건강한 남성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실험전에 인체측정과 근력측정을 실시하였다. 이후에 심리육체적 방법과 생리학적 방법을 실시간(on-line)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생군과 작업자군간의 신체조건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력은 작업자가 우월하였다. 심리육체적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된 최대허용 하중은 학생군, 작업자군 모두 운반유형의 변화에 따라 유의함을 보였다.(학생군:p=.0001 작업자군:p=.0001). 반면에 속도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학생군:p=.7954 작업자군:p=.9231). 또한 학생군과 작업자군 모두 Back carrying에서 가증 큰 하중을 운반하였다(학생군:8.16kg 작업자군:12.9kg). 심박수를 이용한 생리학적 연구에서는 평균 심박수가 거의 100 이하를 유지하므로써 피실험자들이 8시간 작업기준으로 보아 무리가 없는 최대허용 하중을 결정하였음을 보였다. 또한 각 운반작업에 대한 최대허용 하중을 예측하는 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Data Analysis of International Joint Road and Sea Transportation Tests Under Normal Conditions of Transport (국제공동 육해상 정상운반시험의 데이터 분석)

  • Lim, JaeHoon;Cho, Sang Soon;Choi, Woo-seok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8 no.2_spc
    • /
    • pp.275-289
    • /
    • 2020
  • In 2017, multimodal transportation tests for evaluating road, sea, and rail transport were performed by research institutes in the US, Spain,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this study, acceleration and strain data determined through road and sea tests were analyze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load generated for each transport mode was amplified or attenuated according to the load transfer path.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the transportation mode and loading path. The effects of strain determined through each test o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spent nuclear fuel were also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strain had a negligible effect o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spent nuclear fuel, considering its fatigue strength. The results for the acceleration and strain data analyse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scheduled domestic transportation tests under normal transport conditions.

The Development of Fixing Equipment of the Unit Module Us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ransporting Load (운반하중의 확률분포를 활용한 유닛모듈 운반용 고정장치 개발)

  • Park, Nam-Cheon;Kim, Seok;Kim, Kyoon-Ta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4267-4275
    • /
    • 2015
  • Prefabricated houses are fabricated at the factory for approximately 60 to 80% of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and assembled in the fiel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lifting, internal and external finishes of the unit module are concerned about da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ixing equipment by analyzing load behavior. The improved fixing equipment would minimize the deform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finishes. In order to develop the improved fixing equipment, transporting load on the fixing equipment is analyz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and structural performance is verified by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shows load distribution of unit module is similar with extreme value distribu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Monte Carlo simulation, the maximum transporting load is 28.9kN and 95% confidence interval of transporting load is -1.22kN to 9.5kN. The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shows improved fixing equipment is not destructed to the limit load of 35.3kN and withstands the load-bearing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ransporting load.

Analysis of Structural Safety for Arch typed Plastic House While working the Carrier of hanged monorail by FEM (유한요소법(FEM)에 의한 하우스용 운반장치 작업시 아치형 플라스틱하우스의 구조 안전성 분석)

  • 전종길;윤진하;김경원;이인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179-184
    • /
    • 2003
  •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란 일반적으로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중앙 상부 도리 재에 이송레일을 설치하고, 운반장치 상단에 부착된 두 개의 롤러를 이송레일에 걸어 수확된 농산물이나 농자재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운반기구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닐하우스내의 작업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운반장치를 아치형 단동하우스에 설치할 경우에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운반장치 사용 시 하우스의 구조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농가 현지 실측 및 해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농가 현지조사를 통해서는 운반장치의 적재량에 따른 하우스의 골조 처짐량을 측정하였으며, 운반장치에 구조물의 안전성 분석을 위해서는 운반장치에 최대하중 작용시, 적설하중, 풍하 중 작용시의 구조적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의 사용이나 장치의 설계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 on the Load of Transport of the Unit Module (유닛모듈 운반하중에 관한 확률분포 모델 추정)

  • Park, Nam cheon;Kim, kyoon Tai;Kim,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20-221
    • /
    • 2014
  • Recently It has been required the research for the load of transport of the unit modu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transport locking devic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load of transport of unit modular when transporting unit modular by vehicle.

  • PDF

International Research Status on Spent Nuclear Fuel Structural Integrity Tests Considering Vibration and Shock Loads Under Normal Conditions of Transport (정상운반조건의 진동 및 충격하중을 고려한 사용후핵연료의 구조적 건전성 시험평가 해외연구현황)

  • Lim, JaeHoon;Cho, Sang Soon;Choi, Woo-seok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7 no.2
    • /
    • pp.167-181
    • /
    • 2019
  • Currently,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ology for vibration and shock load characteristics and spent nuclear fuel structural integrity under normal conditions of transport is being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is is the first such research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us, previous international studies need to be investigated and will be referred to in the ongoing project. Before 2000, several studies related to measurement of vibration and shock loads on spent nuclear fuel were conducted in the US. US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conducted uniaxial fuel assembly shaker tests, concrete block tests, and multi-axis fuel assembly tests between 2009 and 2016. In 2017, multi-modal transportation tests including road, sea, and rail transport were also performed by research institutes from the US, Spain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test preparation procedures, acceleration and strain measurement results, and finite-element and multi-body dynamics analysi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measured strain data, the preliminary conclusion was obtained that the measured strain was too small to cause damage to spent nuclear fuel rods. However, this conclusion is a preliminary conclusion that only reviews part of the results; a detailed review is being conducted in the US. The investig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on spent nuclear fuel structural integrity tests considering vibration and shock loads under normal conditions of transport in the US will be useful data for the project being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alytics Study on safety and stability of 50m class Portable Prestressing Bed (50m급 이동식 긴장대의 안전성 및 안정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Kim, Jong Suk;Yoon, Ki Yong;Kim, Yong Hyeo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2-182
    • /
    • 2011
  • 현재 국내에서 PSC 거더의 제작은 주로 포스트텐션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포스트텐션방식은 콘크리트 양생 후 긴장력을 도입하여 제작회전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나 쉬스, 그라우팅, 정착장치 등이 요구되어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높다. 교량에 적용되는 PSC 거더를 포스트텐션방식 대신에 프리텐션방식으로 제작한다면 제작단가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나, 교량용 PSC 거더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30~50m이므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것은 운반비용의 상승 및 운반 가능한 크기의 제한을 받게 된다. 운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PSC 거더를 제작하여야 하는데 현장에 긴장대를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것은 제작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식 긴장대를 제작한다면 경제성을 갖춘 프리텐션방식의 PSC 거더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50m급 이동식 긴장대에는 약 10MN에 이르는 매우 큰 긴장력이 가해져 이동식 긴장대가 콘크리트 양생전까지 이 긴장력을 저항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50m급 PSC 거더를 생산할 수 있는 이동식 긴장대를 모델링하여 약 10MN에 이르는 긴장력이 가해질 때에 이동식 긴장대의 각 구성요소의 거동특성 및 하중에 대한 안전성 및 좌굴에 대한 안정성 확보 여부를 해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동식 긴장대는 구성요소인 정착블럭(긴장BOX)과 중간연결블럭으로 나누어 모델링하였다. 정착블럭(긴장BOX)은 다수의 강판을 4절점 쉘요소(S4R)를 사용하여 직육면체의 BOX 형상에 내부를 보강한 단면으로 구성하였고, 중간연결블럭은 H형강 2개를 일체화한 긴장대 거더와 콘크리트 바닥판 블록이 볼트로 합성된 구조이며, H형강은 4절점 쉘요소(S4R), 바닥판블럭은 8절점솔리드요소(C3D8R)를 사용하였다. 긴장대거더와 바닥판블럭은 합성거동을 하도록 weld option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결합하였다. 정적해석결과 이동식 긴장대에 발생하는 응력은 도로교 설계기준에 SS400 강재의 허용응력 140MPa 보다 작으며 선형탄성좌굴 해석결과 가력하중의 2.22배 약 21MN의 하중이 가력되어야 전체좌굴이 발생하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해석결과를 보아 50m급 PSC 거더를 생산할 수 있는 이동식 긴장대는 하중에 대한 안전성 및 좌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oad analysis for transporting unit module (유닛모듈 운반시 작용하중 분석)

  • Kim, Kyoon-tai;Jun,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00-201
    • /
    • 2015
  • The unit modular method is one in which unit modules are prefabricated at a factory and then constructed at a construction site. That is why an important process, transporting unit module, is added in this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load for transporting unit modu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riving experimental runs revealed that a maximum load of 15 kN was applied on adapter block type A and a maximum load of 25 kN on adapter block type B. These loads were recorded at the points in the road test when the low-bed trailer was driving through unstable sections of the test such as stopping, restarting, passing over a speed bump or taking a left turn at speed.

  • PDF

지중배전 및 송전케이블공사 감리실무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31 no.11
    • /
    • pp.18-24
    • /
    • 2001
  • 맨홀, 전력구내에 케이블 및 접속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앵글형 지지대 또는 강관형 지지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케이블 지지대는 맨홀 및 전력구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및 접속함 자중에 의한 수직하중과 케이블 포설시가해지는 수평하중에 견디어야 하므로 시공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특히 맨홀 및 전력구내부에는 습기가 많아 방식용 도금이 벗겨지지 않도록 운반 및 시공시 주의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