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주 탐사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5초

KARI Planetary Data System for Science Research Support in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Program

  • 김주현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55.3-55.3
    • /
    • 2019
  •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 프로그램인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는 1년의 임무기간동안 달과 달 주변의 우주환경에 대한 과학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서 1개에 기술 검증장비와 고해상도 카메라를 포함한 5개의 과학장비를 탑재할 예정이다. 이 중 고해상도 카메라인 LUTI(LUnar Terrain Imager)와 국내에서 개발한 3개의 과학탑재체(KGRS;감마선분광기, KMAG;자기장측정기, PolCam;광시야 편광카메라)가 획득한 과학자료는 일정기간(통상 1년)동안 비공개로 검보정이 이루어진 후 일반에게 공개(Public release)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학자료의 공개와 관리를 위해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KPLO 심우주 지상시스템 내에 과학자료의 공개 및 관리를 위한 KARI Planetary Data System(KPDS)을 개발하고 있다. KPDS는 미국 NASA의 PDS에서 개발하여 유럽, 일본 등에서 이미 행성탐사 과학자료의 표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PDS4 표준을 준수하는 과학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표를 통해서 KPDS의 운영개념과 과학자료 관리계획, 그리고 KPDS의 개발현황을 천문학계와 공유하여 KPLO에 의해서 획득된 과학자료가 많은 과학자들이 활용하여 높은 과학적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Demonstration of the KPLO operation visualization using Cosmographia

  • Kim, Joo Hyeon;Yim, Jo Ryeong;Kim, Young-Rok;Kim, Dong-Gyu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46.1-46.1
    • /
    • 2019
  •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 사업인 달 탐사선(KPLO) 개발 사업에는 국내에서 개발하는 과학 탑재체 3기, 기술 검증탑재체 1기, 고해상도 카메라 1기, 국제협력의 일환으로 NASA의 과학 탑재체 1기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KPLO와 이들 탑재체의 운영을 수행하게 될 KPLO 심우주 지상시스템은 달 탐사선 운영에 필요한 궤도, 임무계획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KPLO의 기동명령과 상태정보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주요 임무로 수행한다. 또한 이들 정보를 기반으로 궤도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KPLO의 임무운영 상태를 시각화하여 운영자로 하여금 KPLO 운영을 용이하게 하고, 공공에게 이를 제공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KPLO 심우주 지상시스템은 AGI사의 STK와 NASA/JPL에서 개발한 Cosmographia를 활용하여 각각 특성에 맞는 KPLO 운영 시각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Cosmographia의 작동 및 활용 개념을 설명하고, KPLO의 가상 임무를 적용한 SPICE Kernels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카메라인 LUTI의 지향, 달 중심 표준좌표를 적용한 KPLO의 궤도 등을 시각화 시연을 한다. 또한 고해상도 달 표면 영상 적용, 심우주 네트워크 안테나의 위치 정보표출 등 Cosmographia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던 시각화 정보를 개선한 내용에 대해서도 함께 시연한다.

  • PDF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달천이(TLI) 및 달포획(LOI) 기동의 달탐사 최적 궤적 설계

  • 우진;송영주;박상영;최규홍;김해동;심은섭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40.2-40.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달천이(TLI: Trans Lunar Injection) 및 달포획(LOI: Lunar Orbit Injection) 기동 시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최적의 임무를 설계하였다. TL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 주차궤도에서 지구-달 천이궤적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며, LO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달 천이궤적에서 달의 중력권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다.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의 확보는 실제적인 미래 한국의 달 탐사를 대비하였을 때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연료로 지구 주차궤도에서 달 임무궤도 진입까지의 모든 단계에 대해 임무설계를 실시하였다. TLI 및 LOI 기동 시 추력은 순간 추력(Impulsive thrust)로 가정하였으며, KSLV-II 발사체의 성능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임무 설계 시 태양, 지구, 달의 섭동력을 고려한 N체 운동 방정식을 탐사선에 적용하였으며, 지구의 비대칭 중력장, 태양 복사압, 달의 J2 섭동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였다. JPL의 정밀 천체력인 DE405를 사용하였고, 상용 소프트웨어인 SNOPT(Spares Nonlinear OPTimizer)를 이용하여 비행 궤적의 최적해를 도출하였다. 임무 설계 결과를 통해,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TLI 및 LOI 기동의 크기에 의한 임무설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적화된 달 탐사 임무의 단계별 기동의 크기와 지구-달 천이 궤적의 형상 및 다양한 임무 요소들의 해석을 도출하였다.

  • PDF

가변 저추력을 이용한 달탐사 임무궤도 설계 (Mission Trajectory Design for Lunar Explorer using Variable Low Thrust)

  • 이승현;박종오;심은섭;송영주;박상영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1호
    • /
    • pp.91-98
    • /
    • 2008
  • 제 2의 우주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은 달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달에 영구기지를 2020년까지 건설하겠다는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 일본, 중국은 달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였으며 인도는 발사를 준비 중이다. 이와 같은 국제적인 분위기 속에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달에 탐사선을 보낼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저추력을 이용한 달탐사 위성 설계에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달탐사 임무궤도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SMART-1과 비슷한 제원을 갖는 가상의 달탐사 임무를 설정하여 비행궤적을 산출하였다.

  • PDF

질량 분석기의 원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type Mass Spectrometer)

  • 이진근;이남석;강성원;김선태;장규하;이유;홍익선;최정림;민경욱;정종일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1호
    • /
    • pp.86-99
    • /
    • 2023
  • 질량분석기는 태양계와 생명의 기원을 밝히기 위한 필수 과학 장비로서, 달/행성/소행성/혜성 등의 대기 및 지표에 존재하는 중성 원소와 이온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1970년대 초반부터 우주 탐사에 활용되어 왔다.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23-2027)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2년에 달 착륙을 2045년에는 화성 착륙을 성공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고 무인 탐사를 위한 능력을 확보하는 데 기술개발의 역점을 두기로 하였다. 따라서 우주 탐사의 과학적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장비이지만 국내 우주탐사에서 한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질량분석기의 국내 개발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사중극자 질량분석기의 원리와 원형 모델 및 성능에 대해 소개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은하계를 넘어갈 미래기술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제49권
    • /
    • pp.48-51
    • /
    • 1997
  • 지구 주위에 인공위성을 띄어 그것을 이용하는 상업적 길이 열린지 오래고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런 우주기술을 바탕으로 화성탐사계획이 진행중인 가운데 이미 목성과 수성의 사진 촬영에 성공하여 그 두 별에 사람이 보내질 날도 그리 멀지 않은 것 같다.

  • PDF

일본 우주로봇 전문가 오다 미쓰시게 박사 - "우주에 태양광발전 위성 개발해 쏜다"

  • 박방주
    • 과학과기술
    • /
    • 통권507호
    • /
    • pp.9-11
    • /
    • 2011
  • "우주 공간에 거대한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할 때 내가 개발한 우주로봇이 핵심 역할을 하게 하고 싶다. 로봇 아닌 사람의 노동력으로는 건설하기 힘들다." JAXA(일본 우주 탐사국)의 우주로봇 전문가 오다 미쓰시게 박사의 말이다. 전남대 로봇연구소가 주최한 로봇 심포지엄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한 그를 만나 우주 로봇에 대해 들어봤다.

  • PDF

업계기고 - 화성탐사선의 카메라 렌즈 설계

  • 김지형
    • 광학세계
    • /
    • 통권142호
    • /
    • pp.27-35
    • /
    • 2012
  • 17세기부터 시작된 인류의 화성탐사 역사는 광학 망원경의 발달과 함께 점점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21세기에 이르러 마침내 화성에 무인 탐사선을 보내게 된다. 본고는 2012년 8월 성공적으로 화성에 착륙한 화성 탐사로봇 'Curiosity(큐리오시티)'에 탑재된 17개 카메라에 대한 설명과, 2004년 화성 탐사로봇에 탑재되었던 'Opportunity(오퍼튜니티)', 'Spirit(스피릿)'의 카메라 렌즈 설계에 대한 것으로 2006년 SPIE 출판사에서 출간한 'Camera Lenses FromBox Camera to Digital'의 발췌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이들 카메라의 렌즈 설계를 위해 ZEMAX 광학설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했으며, 국내에서도 많은 광학 설계 엔지니어들이 ZEMAX를 사용하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대한민국의 광학설계 기술이 우주탐사 역사에 한획을 그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PDF

다목적실용위성 영상처리 및 분석 (KOMPSAT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 이광재;오관영;채성호;이선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3호
    • /
    • pp.1671-1678
    • /
    • 2023
  • 다중 센서로 구성된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는 1999년 1호 발사 후 현재까지 국토 및 환경 모니터링, 재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각종 정보처리기술(고속 컴퓨팅 기술, 컴퓨터 비전, 인공지능 등)들이 원격탐사 분야에서도 활용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위성영상 처리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특별호에서는 최근 연구된 다목적실용위성 영상 활용 관련 기술과 2023 위성정보활용 경진대회에 참여한 연구주제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우주발사체 개발의 국내외 동향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s)

  • 공현철;이준호;오범석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2호
    • /
    • pp.109-115
    • /
    • 2008
  •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2009년 상반기에 대한민국이 그렇게도 고대하던 위성자력발사의 쾌거가 발생하게 된다. 소형위성 발사체(KSLV-I)는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과학로켓 시리즈의 개발을 통해서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우주발사체 개발로서 승화한 작품으로써 질량 100kg의 과학 위성2호를 싣고 발사하여 온 국민에게 희망과 꿈을 선사하게 될 것이다. 국제적으로는 미국 및 러시아의 우주개발 활동에 이어 일본의 가구야 달 탐사선, 중국의 창어 달 탐사선 및 우주유영 그리고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의 발사 등 제2의 우주개발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외의 우주발사체 개발 동향을 정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