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점도

Search Result 43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 of Thinning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Wild Mushroom Fruting in Quercus mongolica Forest (신갈나무림에서 솎아베기가 임내환경과 자연버섯 발생에 미치는 영향)

  • Park, Yong Woo;Koo, Chang Duck;Choi, Hyun Bin;Kim, Jin Gun;Lee, Hee Su;Lee, Hwa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7 no.1
    • /
    • pp.1-15
    • /
    • 2018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inning on mushroom fruiting, microclimate and air temperature in Quercus mongolica forests,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crown density, soil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throughfall in the natural Q. mongolica forest which was thinned by approximately 45% four years ago. The results showed that crown density was smaller than control by 6% from April to October, The soil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in the thinned stan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y $1{\sim}2^{\circ}C$ until August and differences in air and soil temperature.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was higher than control by $0.2{\sim}0.7^{\circ}C$ until October. Throughfall from July to September in the thinned was approximately 135 mm higher than in the control. The maximum difference in throughfall per unit time was 3.5 mm/h. Soil moisture in the thinned site increased by approximately 5%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reduced to the normal moisture after 4 days in both sites. 55 mushroom species were found in the thinned area between July and September. The thinned site contained 10 mycorrhizal mushrooms more than the control and 1 saprophytic mushroom species more than the control. Shannon-Wiener Index was 3.2, approximately 0.5 higher than the control. Tylopilus neofelleus, etc., occurred in the thinned site more quickly, but Aaricus subrutilescens, Clitocybe sp, occurred later. In the thinned site, the dominance of Tylopilus neofellelus and Armillaria sp. increased approximately 6% and 30% and yield about 1.5 times and 20 tim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nning in the Q. mongolica forest increased the soil and air temperature, soil moisture, throughfall and the diversity of mushroom species, and advanced the period of occurrence, and increased dominance and yield of some mycorrhizal mushrooms and Amillaria sp.

Changes in Weed Occurrence and Dominance Influenced by Seeding Dates in Water Seeded Rice Paddy under No-tillage Condition (벼 무경운(無耕耘) 담수표면산파재배시(湛水表面散播栽培時)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잡초(雜草) 발생양상(發生樣相) 및 우점도(優點度) 변이(變異))

  • Kwon, O.D.;Guh, J.O.;Shin, H.R.;Park, T.D.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18 no.3
    • /
    • pp.179-18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weed occurrence and dominance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in water seeded rice paddy under field following two years of no-tillage condition. The pre-emergence weeds in no-tillage paddy were controlled by glyphosate application at 7 days before seeding. The rice seeds were seeded on April 20, May 10 and May 30, respectively with 40kg/ha of seeding rate. The weed species in the paddy occurred included three species (Echinochloa cursgalli, Aneilma keisak, Ottelia alismoides) of annual weed, one species (Alopecurus aequalis) of biennial weed and five species (Eleocharis kuroguwai, Leersia japonica, Sagittaria pygmaea, Sagittaria trifolia, Potamogeton distinctus) of perennial weed respectively. Aneilma keisak was found to be dorminant on April 20 and May 10 but Eleocharis kuroguwai on May 30 based on number of weeds.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weeds occurred were higher on May 10 as compared to in other seeding dates, while proportion of perennial weeds in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In particular, weed dorminance varied marketly with seeding date. The Simpson's indices were 0.736 on April 20, 0.261 on May 10 and 0.281 on May 30, respectively.

  • PD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 일대 식생구조 연구)

  • Kim, Hyoun-Sook;Lee, Sang-Myong;Song, Ho-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6
    • /
    • pp.708-722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using the gradient analysis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variabill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nd Taxus cuspidata community.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layer structure, vegetation ratio, and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trees by DBH(diameter at breast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mmunities.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of the forest community with DBH 2cm above plants was Q. mongolica(81.2), F. mandshurica, Q. serrata, P.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Q. variabill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 controversa, T. cuspidata. Distribution of DBH of Q. mongolica and Q. serrata had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F. mandshurica appeared limited to the valley of the sheet an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the development of a climax forest terrain. P. densiflora and T. cuspidata had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maintain. Q. variabilis and C. controvers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DCCA ordination. The Q. mongolica community and T. cuspidat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highest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few moisture, Ca and in the low pH. The Q. serrata community mainly occurred in the low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moisture. P. densiflor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middle elevation and south-facing slope habitats which had few moisture, Ca and in the low pH. F. mandshuric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low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moisture, Ca and pH.

Analyses of Macrozoobenthic Communities at the Inter - and Subtidal Zones of Tokdong , Charando and Isudo Islands along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안 덕동 및 이수도와 자란도 지역의 조간대 및 아조대 저서동물군집 분석)

  • 최병래;박중기;이종락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35-50
    • /
    • 1995
  • 저자들은 1994년 7월부터 1995년 2월까지 남해안 마산만의 덕동 지역과 대주군인 자란도 및 이수도에서 오염원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 종을 선별하기 위하여 조간대 및 아조대의 저서동물 군집을 채집하고 정성,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덕동 지역 군집은 대조군인 자란도나 이수도에 비하여 구성 종 수가 현저히 적었고 다양도지수 및 균등도가 낮았으며 그 다음은 자란도와 이수도순이었다. 우점도는 덕동이 가장 높았고 자란도, 이수도순이었다. 또한 조사지역 내에서 연체류중 패각만 채집된 종수가 덕동에서 19종, 자란도 3종, 이수도 4종으로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총 25종이 되며 이들 또한 오염과 관계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Friction Reduction in Journal Bearings (저어널 베어링에서의 마찰감소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득우;김경웅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3
    • /
    • pp.298-304
    • /
    • 1986
  • The friction reduction by dilute polymer solutions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journal bearings. Flow pattern visualization and torqu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a concentric case (.epsilon.=0). The effects of polymer concentration, bearing clearance, and polymer molecular weight on friction reduction were examined. The frictional torque and the intensity of vortices of the case of polymer solution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base oil only.

Mo-DTP와 Zn-DTP를 혼합 첨가한 엔진 오일의 마찰 마모특성에 관한 연구

  • 김종호;강석춘;정근우;조원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0.11a
    • /
    • pp.1-15
    • /
    • 1990
  • 엔진 성능의 향상에 맞추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써 엔진 오일의 마찰 마모 특성등 오일의 성능을 높이려는 노력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특히 마찰력 손실을 감소기키기 위해서 낮은 마찰특성을 갖도록 몰리브데늄(Mo)을 유용성인 금속 착화합물로 만든 Mo-DTP를 제조하여 현재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Zn-DTP와 대체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하고 최근엠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또 일부 윤활유 제조 회사에서는 몰리브레늄을 첨가 시키는 등 제품 기술을 향상시켜 오일 교환의 기간이나 자동차 주행 거리를 대폭적으로 늘려줄 수 있는 상품도 생산되고 있다. 윤활 첨가제로써 Mo-DTP를 Zn-DTP와 대체시켜 기유에 혼합한 경우에는 마찰 감소 기능이 매우 향상 되었고 내 마모성도 비교적 좋으나 산화 억제 능력이 부족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른 점도 지수의 증가도 비교적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음이 발표된바 있다. 따라서 Mo-DTP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연구가 필요되고 그의 한 방법으로써 현재 첨가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Zn-DTP와 혼합하여 첨가 하였을 경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때 기본 윤활유에 Mo-DTP와 Zn-DTP를 적당한 혼합 비율로 첨가하고 하중, 온도를 변화 시키면서 마찰, 마모등의 성질고 산화 안정성 및 마모 입자 분석 등 전반적인 윤활유로써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 PDF

LPG방출 실험

  • 이창수;이장우;박찬옥;김선혁;임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45-50
    • /
    • 1997
  • 가스사고 중 단순 누설, 누설에 의한 폭발 및 화재사고가 ‘77년부터 ‘95년까지 전체사고의 97,2%를 차지하고 있고, ‘95년 한해동안에는 90%를 초과하여 발생하였으나, 사고의 원인은 명백하게 규명하면서도 폭발 또는 화재발생에 따른 가스의 누출량을 입증하기 위한 자료나 실험자료가 없어 사고조사에 곤란을 격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가스의 누출량을 추정할 때 조정기의 용량이나 일반적인 누출량 계산식에 근거하여 가스의 누출량을 추산하여 폭발 및 화재발생의 원인을 추정하고 있는 등 사고발생과정을 설명하는데 미진한 부분이 많아 실제로 LPG의 누출량을 측정하여 그 기록을 사고조사시 활용하고 사고 발생과정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데 다소 보탬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번 실험을 실시하게 되었고 본 실험의 통계적인 수치를 전적으로 실제 사고에 적용하기란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많다고 생각되나 정확한 사고원인조사가 가스안전관리 정책수립의 기본 바탕이 되어야 함으로 이러한 실험이 계속 발전적으로 실시되어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다소 아쉽고 미흡한 점도 많은 실험이었으나 가스의 누출량에 대한 첫 실험이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앞으로 이와 같은 실험이 지속되어 가스안전에 관한 시험 및 자료수집이 활발해 질수 있기를 바란다. (중략)

  • PDF

Radicoid Structure of Herbaceous communities in Mt. Kumbyung : Special Emphasis on the Dominance of Clonal Plants (금병산 초본군집의 지하부 구조 : 영양생장식물의 우점도에 관하여)

  • 정연숙;이규송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1 no.3
    • /
    • pp.243-249
    • /
    • 1998
  • Radicoid structure of herbaceous communities in Mt. Kumbyung, Chunchon, Kangwon-Do was clarified emphasizing on the dominance of clonal plants in relation to vegetation development. In the total vegetation, 46% species identified were rhizomatous, 26% were species with tap roots, and 13% were stoloniferous species. Thus, all clonal species, including plants with bulb, corm and tuber, covered 62.8% of the total species. in the understory of Quercus, Pinus and Larix forests, 68.2% were clonal, which means 5% more compare to total vegetaion. Dominance of clonal plants became more conspicuous as their importance value was calculated. That is, they covered average 86% for the following three communities: 85% in Quercus, 95% in Pinus, and 76% in Larix, Especially, the rhizomatous plants were remarkable. Overall, clonal species dominated over the other radicoid types in terms of not only the number of species, but also the importance value. Dominance of these species was more peculiar in understory of forests, indicating the occupancy of clonal plants was related to the vegetation development.

  • PDF

Comparative Study of Fish Community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by Habitat Type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 비교)

  • Kim, Seong-Won;Lee, Jin-Hui;Jang, Chang-Ryeol;Choe, J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11.04a
    • /
    • pp.98-103
    • /
    • 2011
  • 도심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 31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 1,033 개체가 조사되었다. 도심하천에서 출현한 한국 고유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와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2종(11.8%)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동물에 속하는 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출현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출현한 한국고유종은 쉬리 (C. splendidu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등 총 13종(61.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았고, 멸종위기 II급에 속하는 종인 묵납자루(A. signifer)와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등 2종(9.5%)이 조사되었다. 두 하천의 군집분석을 비교한 결과 도심하천이 자연하천에 비해 우점도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이 같은 유형의 서식처이지만 도심하천의 경우 양안 수변대와 제방구축, 하천정비, 고수부지의 시멘트화 등의 원인과 오염원의 유입, 풍부한유기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cessing of Polyurhane Microcellular Foam for Thermal Insulation (단열재용 폴리우레탄 미세포 포움의 가공)

  • 윤재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190-199
    • /
    • 1997
  • 단열용도의 폴리우레탄 미세포 포움의 가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세포 구조 를 얻기 위해서는 핵생성율을 증진시키고 균일한 분포의 기포를 생성시켜야 한다. 이를 위 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풀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각각 과포화시키고 충돌혼합하여 초음파 가진을 적용하였다. 이산화탄소 기체가 수지 내부에서 기포 내부로 확산함에 따라 기포의 성장이 조절된다고 가정하고 금형이 충전되는 동안에 금형 내부에서의 기포성장기구를 이해 하기 위하여 수치적인 방법으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화 시간과 확산 경계를 고려 하여 최종적인 기포의 크기를 계산하였으며 반응속도론을 고려하여 중합반응동안의 폴리우 레탄의 점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화 시간을 결정하였다. 실험적으로 결정된 기체 분자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확산경계를 예측하였다. 화학적 발포제인 물과 함께 물리적 발포 제인 이산화탄소를 각각 1,2,3기압의 포화압력으로 변화시키면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포화시켜 폴리우레탄 포움을 제작하고 제작된 포움의 밀도, 열전도도, 및 기포의 수와 지름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이산화탄소의 포화압력과 초음파 가진이 포움의 기포핵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