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울성향 중년여성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Meditation Intervention on th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 김귀원;김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9-5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을 가지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차명상 프로그램이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B시 B대학 평생교육원에 자발적으로 등록한 경도-중등도의 우울증을 경험하는 20명을 선발하여, 실험 및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매주 2회씩 80분 동안 5주에 걸쳐 10회기의 차명상 프로그램 참여하였다. 마음챙김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을 사전, 사후, 추후에 각각 측정하여 반복측성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통제집단의 참여자들보다 마음챙김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도 유의미한 수준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인 자기 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 삶의 목적 및 개인적 성장이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각각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명상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을 치유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킨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차명상 프로그램은 우울성향을 가진 중년여성들의 마음챙김 능력을 함양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적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한계점과 향후 후속연구에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율동적 동작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Health in Middle Age Women)

  • 이규은;최의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64
    • /
    • 1999
  • Dance movement program. Psychological wellbeing, Middle aged women, Wellbeing with depression tendency, 율동적 동작 프로그램, 우울성향 중년여성 %600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Dance Move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health in middle-age women with depression tendency. 67 women with mile to moderate depression scoring between 16-25 were selected among 235 responded to CES-D (Radloff, 1977, Cho and Kim, 1993). The 46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assigned the control. 7 attritions occurred during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leaving thirty-nine subject : nineteen experimental and twenty control, for the final analysis. Research subjects revealed to be homogenous demographically and by health-related variables. The 50-minute Dance Movement Program was performed by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from October 6 to November 29, 1997.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self 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ourse of Dance Movement Program. Plasma serotonin was measured to identify its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Homogeneity tests revealed satisfactory level on relevant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paired and unpaired t-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that depresso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y t-test(t=2.20, P=.0021) 2) The hypothesis that life satisfactio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y t-test(t=1.42, P=.0049). 3)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y t-test(t=6.20, P=.0616). 4) The hypothesis that level of plasma serotonin will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y t-test(t=1.88, P=.0524) Thus, the effects of the Dance Movemen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gram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for the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tendency are scientifically confirmed by this study.

  • PDF

중년여성의 피로와 스트레스 저항력 그리고 정서와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tress resistance and Emotion in Korean middle aged women)

  • 이정은;박병운;현경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45-1150
    • /
    • 2011
  • 본 연구는 발달적 위기에 놓여있는 중년여성의 피로와 스트레스 저항력 그리고 정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신경 생리학적 지표인 뇌파측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 뇌파측정을 의뢰한 우리나라 중년여성 4402명(35세~65세)의 뇌기능 지수(긴장도, 항스트레스지수, 정서지수)를 시계열 선형분석과 상관분석으로 한 결과 중년여성의 피로, 스트레스 저항력 그리고 정서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정서적 성향을 보면 명랑과 우울 성향에서는 명랑 성향이, 긍정과 부정적 성향에서는 긍정적 성향이, 전체적으로는 명랑하면서 긍정적인 성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년여성들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개인건강은 물론 원만한 가족의 안녕을 유지, 증진하는데 꼭 필요하다고 본다.

우울증 성향을 보인 중년여성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f sand play therapy for a middle-aged woman with depression)

  • 문채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9-4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and play therapeutic effect for a middle-aged woman who shows the depression because of her husband's debauchery. The client showed psychological conflict, also her children appeared the schoolwork problem and regression. For the pre-test, HTP, KED, SCT and MMPI were used. As a result of analysis she was under heavy stress and chose to sleep as a mean to forget herself. The sand play total sessions were 19. The subject of the sand play therapy were analysed the sessions into the chaos stage, the struggle stage, ego/self axis stage and the adaptation stage. Sand play therapy helps the client's positive change and accept in the sand play. The sand play therapy was effective and significant to cure to middle-aged woman with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