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아함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견직물의 스치는 소리로부터 변환된 색채의 물리량과 감성 (Phys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n the Transformed Colors from the Rustling Sounds of Fabrics)

  • 김춘정;최계연;김수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25-3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7가지 실크직물의 스치는 소리를 녹음한 후, 색채로 변환시켜 변환색채에 대한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고, 2차원 모형을 제시하여 감각/감성과 직물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변환색채에 대한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색채의 물리량은 홍색비율(RP), 녹색비율(GP), 청색비율(BP)과 색채 빈도수(CC)를 계산하였다. 감성차원에 대하여 활동감, 우아함, 터프함의 세 요인이 도출되었다. 활동감 차원은 GP, CC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능직물과 견방사의 교직물을 가장 활동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우아함 차원은 RP와는 정적상관을, CC와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수자직물과 평직물이 가장 우아하다고 평가되었다. 터프함 차원은 RP와 높은 정적상관을 가졌다. 능직물과 같이 색채 빈도수가 많고 홍색비율과 녹색비율이 많은 변환색채를 선호하였다.

  • PDF

실크 직물의 스치는 소리와 변환된 색채의 물리량과 감성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btained from the Rustling Sounds of Silk Fabrics and Their Transformed Colors)

  • 김춘정;최계연;김수아;조길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실크 직물 7종의 마찰음을 녹음한 후, 색채 변환시켜 소리와 변환색채에 e한 감성을 평가함으로써 시각과 청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의류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소리와 변환색채를 차례로 제공한 후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물리량은 소리의 경우 LPT, $\Delta$L, $\Delta$f, ARC를 색채의 경우 RP, GP, BP, CC를 계산하여 감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소리와 색채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우아함', '활동감', '터프함'의 세요인이 도출되었다. 각 감성차원에 대한 소리와 색채 물리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LPT와 $\Delta$L이 작을수록, 홍색비율이 크고 색채빈도수가 적을수록 우아함차원으로 평가하였으며, LPT와 $\Delta$L의 값이 클수록, 녹색비율이 크고 색채빈도수가 많을수록 활동감차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ARC값이 작을수록, 홍색비율이 클수록 터프함차원으로 나타났다. 직물별 소리와 색채에 대한 선호도는 전통적인 수자직 직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레이스 켈리(Grace Kelly)의 레이디라이크 스타일 (A study on the Ladylike Style of Grace Kelly)

  • 정소영;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4호
    • /
    • pp.30-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dylike style of Grace Kelly focusing on her costume design of 1950s movie and star image, and to understand how she became a fashion icon today. Her city elegant look was usually composed of A line or H line suits and dresses, pearl jewelry, gloves, handbags and her classic ladylike attitude. Kelly's luxury casual look epitomized a relaxed elegance based on the American sporting image including the Hermes "Kelly" bag. Her sexual elegant look showed the combination of freshness, ladylike virtue and underlying sex appeal. Her self-confident, ladylike style appeals to modern fashionable women who likes to be elegant but also sexy.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색채감성과 선호도 (Color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the Black Color Fabrics)

  • 김여원;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37-346
    • /
    • 2010
  • 본 연구는 블랙컬러 패션소재에 대한 색채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선정한 9종의 블랙 패션소재에 대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촉감 및 구매선호도를 평가시켰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 요인분석, t-test, Kruskal-Wallis검정,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블랙컬러소재의 색채감성을 요인분석 한 결과,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종류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검정 벨벳소재는 이들 색채감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소재로 평가되었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블랙소재가 더 심플/클래식하고 우아하며 현대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들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블랙컬러 패션소재 중에서 촉감이 좋다고 평가된 소재의 경우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촉감과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변인은 색채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컬러 패션소재는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의 색채감성을 나타내었고, 색채감성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상품기획시 추구 이미지에 따라 블랙컬러소재를 차별화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영화(映畵)의 복식(服飾)과 색채(色彩) 이미지 (A Study on the Costume and Color Image of the Movie)

  • 이예은;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5호
    • /
    • pp.28-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ovie costume and color image through the movie "The Aviator". Firstly, looking at the costumes of main characters and their color images expressed in the movie, one extreme of Hughes' image to another was expressed in order to show his extreme inner world by using the light-dark contrast rather than specific colors as the base. The gold color used to express the image of Hepburn represented an image expressing her intellectual elegance. As for her dress silhouette, the taste of intellectual elegance was displayed by a dress whose back was exposed with a grownup-style feminine silhouette or one with drapes and pleats ornaments. To express Gardner's image; that is, her alluring charm and glow, a vivid red color was used. As for her costume, her splendid and fascinating image was expressed by the 40s' rectangular- shouldered tailored suit, exotic peasant blouse and showy accessories. Secondly, the color image expressed in the background in the movie as a special space for Hughes. The red color image of screening room was shown to be as a space for passion and desire and the green color image of men’s room as a space for stability and rest.

영화의상에 나타날 엘리자베스 여왕 1세 로브의 표현효과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Elizabeth I's Rebes in Cinema)

  • 조윤영;양숙희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89-10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in cinema and also to present two example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designed and made based on these expressive effects. To this end, this study wilt first examine Queen Elizabeth I's robes in her portraits according to the visual definers and emblematic meanings. Then on the basis of these knowledges, analyze visual definers and viewing prioritie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in five movies. Thereinafter, these robes will be classified based upon Belong(1998)'s four expressive effects. excitement. calmness, strength and delicacy. Finally, this study will demonstrate calmness and delicacy among four expressive effects through two robes made for the purpose. After analyzing the expressive effects of robes in five Queen Elizabeth I's movies, one can conclude excitement. calmness, strength, and delicacy can be foun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y. Since this analysis focuses mainly on one particular person during one Particular period of time, there was a fundamental silhouette prevalent among the Queen's robes which then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forms. Moreover, Queen's character in itself embodies authority and grace which. in turn, facilitates the presentation of the four expressive effects along the story line. In conclusion,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on the character and the period. in addition to analysis of the visual definer and viewing priorities, is imperative when designing a historical cost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