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휴면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담배나방 (Heliothis assulta) 용휴면의 유기와 종료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Pupal Diapause in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 부경생;신현철;한만위;이문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7-285
    • /
    • 1990
  • 담배나방 (Heliothis assulta Guenee)의 용휴면에 대한 유기와 종료요인 및 휴면 지속기간 등에 대하여 실험실과 야외개체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일장과 온도조건이 용휴면유기에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20^{\circ}C$와 lOL/140의 팡주기하에서 유충율 키웠을 때 100%의 휴면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25^{\circ}C$의 경우에는 본 실험에서 시도한 가장 짧은 광주기인 8시간하에서도 약 85%의 휴면율만 나타내었다. 결국 휴면을 유기하는 임계일장이 $25^{\circ}C$에서는 12-12.5시간, $20^{\circ}C$에서는 14-14.5시간으로 계산되었으며 휴면유기 조건에 감응하는 발육단계는 4령과 5령유충기였다. 수원 및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9월 20일경부터 채집되는 노숙유충은 모두 휴면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성충, 알, 용 등은 실험실내 휴면유기 조건 ($20^{\circ}C$, lOL/140)에 처리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휴면기간은 휴면유기온도가 낮으면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광주기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면용들은 저온처리를 받지않아도 깨어나지만 저온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휴면기간은 짧아졌다.

  • PDF

담배나방 휴면용과 비휴면용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변화 (Change in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Diapausing and Non-diapausing Pupae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Guenee)

  • 조국호;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6-293
    • /
    • 1990
  •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담배나방 용 및 휴면용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함량변화, 산소소비율, 몸무게의 변화, 삼투압등을 비교하였다. 정상용의 경우에는 산소소비율의 변화가 전체 기간에 걸쳐 U자 모양의 곡선을 보인 반면, 휴면용의 경우에는 $20\mu l/g/hr$의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감소되어 유지되다가 우화직전에 산소소비율이 다시 높아졌다. 또한 휴면용의 몸무게는 용화후 12일동안 변화가 거의 없었다. 주요 탄수화물과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비휴면용보다 휴면용에서 더 높았으며, 함량변화는 비휴면용에서 더 급격했다. 휴면용과 비휴면용의 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 패턴은 유사했으며 휴면용의 혈림프 삼투압은 저온에 보관되었을 때 더 올라갔다.

  • PDF

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의 휴면용과 비휴면용에서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 (Change in Major Carbohydrate Contents in Diapausing and Nondiapausing Pupae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 최만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5-150
    • /
    • 1987
  • 흰불나방의 휴면용과 비휴면용에서 탄수화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1. 저온상태($-5{\pm}1^{\circ}C$)에 보관한 휴면용은 실온에 둔 것 보다 글리코겐(glycogen)함량은 적었지만 트레할로스(trehalose)와 솔비톨(sorbitol)의 양은 많았다. 2. 휴면용에서 혈액의 삼투압은 비휴면용의 것 보다 높게 나타났다. 3. 휴면용의 평균 산소 소비량은 비휴면용 보다 $4{\sim}6.7$배 적었다.

  • PDF

흰불나방의 용휴면이 결정되는 시기와 용 체내단백질의 변화 (Diapause-initiation Stage and Changes in Proteins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Pupae)

  • 박노중;부경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3
    • /
    • 1988
  • 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 의 용휴면이 결정되는 시기, 휴면용에서의 20-hydroxyecdysone 의 영향과 전기영동 방법으로 측정된 용단백질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용휴면의 결정은 유충발육기간중 초기 5~15일에 이루어졌다. 산소소비율의 변화는 정상발육용에서 U자 모양의 곡선을 나타내었고, 휴면용에서는 $30mu$l {TEX}$O_{2}${/TEX} /g/hr 수준으로 감소되어 유지되었다. 휴면용에서 추출된 2.5%균질액은 20-hydroxyecdysone 의 처리로 호흡활성이 증가하였고, 휴면예정용은 직접 주사로 우화하였다.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 변화는 정상발육용에 급격하게 이루어졌으나, 휴면용에서는 완만하였고, 더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었다. 휴면예정용의 지방체에서 분리한 단백질의 종류는 비휴면용의 경우와 달랐다.

  • PDF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휴면번데기에 대한 탈피호르몬의 영향 (Effect of 20-hydroxyecdysone on diapausing pupae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 박재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50
    • /
    • 1993
  • 미국흰불나방 휴면번데기에 5 $\mu\textrm{g}$/g(생체중) 이상의 탈피호르몬을 처리하면 처리된 용의 약 50%가 우화했으며, 10 $\mu\textrm{g}$이나 12.5 $\mu\textrm{g}$/g의 처리구에서는 몇마리의 기형적인 성충이 나타났다. 한편 탈피호르몬의 체내함량을 적정한 결과 정상용은 용화 후 6일째에 약 3.2 $\mu\textrm{g}$/g의 최대값을 보였으며, 탈피호르몬을 처리한 용에서는 처리 6일째에 4.1 $\mu\textrm{g}$/g의 최대값을 보였다. 그러나, 휴면 용에서는 낮은 탈피호르몬 함량을 보였는데 측정 기간중 얻은 최대치는 1.73 $\mu\textrm{g}$/g 정도였다. 탈피호르몬을 처리한 휴면 용의 글리코겐함량은 정상용 보다 낮았으나, 성충조직 발육기간 동안의 발육양상은 정상 용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같은 처리를 받은 휴면 용의 포도당-솔비톨과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처리 후 6일째에 최대값을 보였는데, 그 수준은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개체의 경우보다 높았다. 탈피호르몬 처리를 받은 휴면용의 혈림프 내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정상 용의 그것보다 낮았으며, 혈림프를 제외한 전체 조직 내에서 정상용의 경우보다 높았다.

  • PDF

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 용의 휴면 유기와 종료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Pupal Diapause in the Fall Webworm, Huphantria cunea Drury)

  • 최만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9-144
    • /
    • 1987
  • 흰불나방의 용 휴면(休眠) 유기(誘起)와 월동휴면 종료(終了)시기를 조사한 실험에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25{\pm}1^{\circ}C$온도 조건에서 휴면유기의 임계일장은 14시간과 14시간 30분 사이에 존재하였다. 2. 유충 발육기간은 $25{\pm}1^{\circ}C$조건에서 일장이 길어질 수록 약간씩 단축되었다. 3. 야외에서 월동휴면 종료는 12월하순 이후에 부분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이전에 꺼낸 용은 성충으로 전혀 우화되지 않았다.

  • PDF

복숭아심식나방 월동유충의 발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s of the Overwintering Peach Fruit Moth, Carposina niponensis Walsingham)

  • 이순원;현재선;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2-48
    • /
    • 1984
  • 복숭아 심식나방의 발생생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휴면 유기 및 종료시간, 휴면타파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 휴면후 월동유충의 용화시간 및 이에 대한 강우조건의 영향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숭아심식나방의 휴면은 최초 7월하순에 탈과하는 유충부터 시작되었으며, 8월중순에 약 $50\%$가 휴면하였고, 9월 상순 이후 탈과하는 유충은 모두 휴면하였다. 2. 휴면유기는 산란시기와 관계가 있어서 6월하순$\~$7월하순에 산란되어 발육한 유충부터 휴면하기 시작하나, 년도별 발육시간중의 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3. 휴면이 종료되는 시기는 12월상순 경이었으며, 1월이후에 가온하는 개체는 거의 모두 용화하였다. 4. 휴면타파에는 5, $10^{\circ}C$의 저온이 효과적이었으며 저온요구기간은 약 1개월이상이었다. 그러나 $0^{\circ}C$ 이하의 저온은 휴면타파를 억제하였다. 5. 포장에서 월동후 유충의 5월중${\cdot}$하순에 시작되었으나, 온도조건 외에도 5월$\~$7월의 강우가 월동유충의 발육에 중요한 요인으로 토양이 심히 건조한 경우 용화가 지연되었으며 유충의 사망률도 높았다.

  • PDF

휴면중인 오리나무잎벌레 (Agelastica coerulea Baly) 성충에 미치는 유약호르몬과 탈피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Juvenile Hormone and Molting Hormone on Diapausing Adults of the Alder Leaf Beetle, Agelastica coerulea Baly)

  • 최진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8-264
    • /
    • 1991
  • 본연구는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Baly)성충의 유면 유기에 미치는 온도와 광주기 영향 및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me III)과 탈피호르몬(20-hydroxyecdysone)이 휴면중인 성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는 일년에 일회 발생하며 난, 유충, 용 성충기간은 가각 7~10일, 19~21일, 14~15일, 약 10개월로 조사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의 알과 유충을 $25^{\circ}C$$20^{\circ}C$의 조건에서 광주기를 각각 16L/8L, 12L/12D, 8L/16D로 달?여 사육하여도 모든 성충이 휴면에 들어가 이들은 필수성충휴면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휴면기간동안 난소는 거의 발육되지 않았으며 유면말기의 개체를 $25^{\circ}C$, 16L/8D에 노출시키면, 난소소관이 급속하게 발달되었다. 휴면중인 성충에 유약호르몬을 처리하면 일시적으로 휴면이 타파되고 산란이 이루어졌으나 탈피호르몬은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 PDF

수원지방에서 왕담배나방 (밤나방과) 휴면 유기시기와 연간 발생 세대 (Timing of Diapause Induction and Number of Generations of Helicoverpa armigera (Hüber) (Lepidoptera: Noctuidae) in Suwon, Korea)

  • 정진교;서보윤;박창규;안승준;김주일;조점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83-392
    • /
    • 2015
  • 야외 사육과 성페로몬트랩 조사를 통해 왕담배나방 휴면 유도시기와 연중 발생 세대가 연구되었다. 2013년과 2014년에 갓부화 유충을 수원 야외에서 사육하였을 때, 8월 하순~10월 상순에 사육을 시작한 집단들에서 휴면용이 생성되었고, 9월 중순 이후 사육 집단에서는 휴면용들만 생성되었다. 2013년 집단의 경우 휴면용들은 이듬해 5월 하순~6월 상순에 우화하였고 2014년 집단의 경우 5월 하순~6월 하순에 우화하였다. 휴면용들만 생성된 집단들에서, 사육을 시작한 날의 일장은 11시간 49분~12시간 24분이었고, 이들이 번데기가 될 때까지 평균온도는 $14.8{\sim}20.7^{\circ}C$이었다. 야외 사육에서 하면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원과 화성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한 페로몬 트랩의 성충 발생 시기는 연중 4회(1화기: 4월 하순~6월 중순, 2화기: 6월 중순~7월 하순, 3화기: 7월 중순~8월 하순, 4화기: 8월 하순~10월 중순)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에 Mironidis and Savopoulou-Soultani (2008)의 선형발육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4세대 출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을철 3세대와 월동세대는 일부 중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왕담배나방은 연중 월동세대 이후 온전한 3세대를 거치고, 휴면용은 3화기와 4화기 성충들의 자손들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4월 말 파종되는 옥수수 포장에서 출사기에서 수확기 사이의 이삭 피해는 1세대와 2세대의 왕담배나방 유충이 피해를 주는 것으로 고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