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혈활성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7초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 및 Candid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5 Seaweed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Candida sp.)

  • 김미선;권경진;이민진;안선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4-151
    • /
    • 2012
  • 해양생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생제 내성균주를 포함한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패, 넓패, 알쏭이 모자반 및 야마다 모자반에서 광범위한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4종과 함께 곰피, 대황, 감태 및 톳의 8종에서 Candida albicans 생육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이중 패, 넓패, 야마다모자반 추출물은 500 ${\mu}g/mL$ 농도에서 55-93%의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8종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다양한 Candida sp.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패 및 넓패로부터 C. albicans 및 항생제 내성 Candida sp.에 대한 신규의 항균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조류 특히 패, 넓패, 알송이모자반, 야마다모자반이 다양한 세균 및 항생제 내성진균의 제어를 위한 생물자원으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함초 씨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oagula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europaea seeds)

  • 김미선;김득회;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2-460
    • /
    • 2016
  • 함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의약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성숙 함초로부터 씨를 회수하고 이의 성분분석 및 유용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함초 씨의 열수 추출효율은 29.6% 이었으며,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TP) 및 total flavonoid (TF) 함량은 각각 25.7 및 11.5 mg/g을 나타내어 성숙기 함초와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Hexane, ethylacetate (EA), butanol을 이용한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중 EA 분획이 158.3 및 136.2 mg/g의 가장 높은 TP 및 TF 함량을 보였으며, 특이하게 물 잔류물 및 butanol 분획물보다 높은 총당 함량(228.3 mg/g)을 나타내었다. 함초 씨 시료의 항균 활성 평가 결과, EA 분획에서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광범위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butanol 분획에서도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강력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함초 씨 열수 추출물은 우수한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강력한 항산화 활성은 EA 분획에서 나타났다. EA 분획의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Nitrite 소거능에 대한 $RC_{50}$은 각각 57.0, 29.0 및 $28.9{\mu}g/ml$로 확인되어, vitamin C의 10.7, 4.0 및 $18.0{\mu}g/ml$보다 약하지만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항혈전 활성 평가결과, EA 분획은 5 mg/ml 농도에서 thrombin time을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7 mg/ml 농도에서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을 15배 이상 연장시켜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함초씨 추출물과 분획물(0.25 mg/ml)은 모두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의 연구결과는 함초 씨 추출물의 EA 분획의 활성물질을 정제하여 항세균 및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굴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인체 시험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Clinical Trial)

  • 양희정;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5-28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굴피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및 주름생성억제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6.75{\mu}g/mL$)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6.62) < ethyl acetate 분획(4.15)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ethyl acetate 분획($OSC_{50}$, $0.56{\mu}g/mL$) < 50% 에탄올 추출물(0.02)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0.01) 순으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굴피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717.2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50% 에탄올 추출물 ($243.98{\mu}g/mL$) < ethyl acetate 분획(153.87)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137.53) 순으로 나타났고,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도 50% 에탄올 추출물($31.01{\mu}g/mL$) < ethyl acetate 분획(14.42) <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1.48) 순으로, aglycone 분획이 매우 큰 활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굴피나무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량, 경표피 수분 손실량 그리고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placebo)보다 수분 보유량을 $2{\sim}8%$ 증가시켰고,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감소시켰다. 또한 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을 9.55%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굴피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와 이를 통한 인체 시험의 결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Inula britannica Flower Extract)

  • 김은희;김정은;김규희;나의연;이상기;정현민;이현준;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9-2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 꽃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항산화, tyroin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P. acnes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0.25 %로 나타났으며, methyl paraben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냈고 quercetin보다는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8.55{\mu}g$/mL로 측정되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ethyl acetate 분획 $0.24{\mu}g$/mL로, 50 % EtOH extract와 aglycone 분획 보다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5{\sim}100{\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은 $25{\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64.15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ethyl acetate 분획에서 $87.03{\mu}g$/mL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금불초 꽃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금불초 꽃 성분 분석, ethyl acetate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 그리고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질환활성과 관련된 유전자형 검색 및 탐색자 개발 (Detection of Genotype associated with Disease Activity and Development of Probe)

  • 이동근;김강주;김은숙;김지현;유수경;유용욱;김원신;임미경;장선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371-383
    • /
    • 1994
  • 질환성과 관련된 세균의 분포 및 유전자형을 탐색하고자 구강농양 및 골수염의 급성감염 혼자와 진료실 및 실험실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포도상구균을 분리 및 동정을 시행하고,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plasmid 및 염색유전자를 분리하여 제한효소를 처리후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분리된 plasmid로 탐색자를 제작하여 dot blot을 시행하였다. 대부분의 급성환자에서 분리된 포도상구균을 S. lugdunensis와 S. aureus이었으나, 진료실 및 실험실에서는 coagulase 음성 staphylococci가 분리되었다. 급성환자에서 분리된 포도상구균은 ampicillin과 penicillin에 내성을 보였다. 분리된 S. lugdunensis균주중 네 균주는 ${\delta}$형의 용혈소를 생산하였다. Plasmid를 분리한 결과 S. lugdunensis균주중 세 균주는 약 6.5 kilobases이었으나 S. aureus는 약 4.3 kilobases 정도 크기의 band를 보였다. S. lugdunensis에서 분리된 plasmid로 제작한 탐색자로 dot blot를 시행한 결과 치과 영역에서 분리한 plasmid를 갖는 균주는 양성반응을 보였다. 염색체유전자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delta}$형의 용혈소를 생산한 네 균주의 S. lugdunensis는 유사한 유전자형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질환의 진행에 S. lugdunensis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치과영역에 존재하는 plasmid는 공통적인 유전자 서열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고등균류 균사체의 면역조절 기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munomodulating function of components separated from higher fungi)

  • 배만종;박무희;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42-148
    • /
    • 1996
  • 고등균류 균사체에 대한 면역조절기능과 항알레르기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서 우선 단백다당류를 추출 회수해서 몇 가지 관련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감수성이 우수한 BALB/C 마우스를 통해서 적혈구 응집과 용혈반응, 항체생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PFC와 RFC실험, 마크로파아지와 임파구 세포들의 탐식능력 실험을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탐식능의 결과는 상황버섯(Phellinus igniarius),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 버들송이(Agrocybe cylindracea), 균사다당체 모두가 복강탐식세포, 말초임파구, 비장의 식세포에 대해서 유의성 있는 식작용을 확인했다 상황은 복강식세포, 버들송이는 비장식세포에 대해서 식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2. PFC와 RFC의 실험결과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면역세포가 상황 130%, 장수 90%, 버들송이 70% 정도로 증강된 활성을 보였다. 3. 용혈소가와 응집소가는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균사단백다당체가 $2{\sim}3$배의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된장에 존재하는 Bacillus cereus의 분리 및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Secreting Proteases from Korean Soybean Paste)

  • 김성조;윤주희;이명숙;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6-141
    • /
    • 1997
  •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는 미생물의 존재를 규명하기 위해, skim milk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투명환을 보이는 균주들을 얻었고, 각종 생리 및 생화학적 검사, VITEK system, MIDI system을 통해 이들 중, JH-1, SH-5, SH-7의 3 strain이 Bacillus cereus임을 동정하였다. JH-1과 SH-5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pH 9와 40^{\circ}C.$에서 최적활성을 보였으며, SH-7 균주는 pH 8과 50^{\circ}C.$에서 최적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3균주는 blood agar plate에서 용혈능력을 보였다.

  • PDF

오미자 열매, 씨, 착즙 후 박의 항산화, 항균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Fruit, Seed and Pomace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미선;성화정;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1-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가공산업의 부산물 이용을 위해, 오미자 열매, 씨 및 착즙 후의 박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들의 유용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오미자 열매, 씨 및 박의 추출 수율은 각각 28.3, 22.1 및 7.2%로 나타났으며, 추출물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8.81, 37.22 및 9.20 mg/g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박(4.31 mg/g)>씨(1.25 mg/g)>열매(0.76 mg/g)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다양한 radical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및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 박>씨>열매 추출물 순으로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오미자 박 추출물의 DPPH 양이온, ABTS 음이온 및 nitrite 소거능에 대한 $RC_{50}$는 각각 226.2, 192.5 및 $92.5{\mu}g/ml$로 계산되었다. 항균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열매, 씨 및 박 추출물(0.5 mg/disc)은 B subtilis 및 P. vulgaris 균에 대한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액응고저해 활성의 경우, 오미자 열매 및 박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TT, PT 및 aPTT를 모두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연장시켰으며, 박 추출물(2.5 mg/ml)은 aspirin (1.5 mg/ml)과 유사한 혈액응고 저해를 나타내었다. 혈소판응집 저해 활성 평가 결과, 열매 추출물과 씨 추출물(0.25 mg/ml)은 동일농도의 aspirin 보다 우수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오미자 시료들은 0.5 mg/ml 농도까지 유의적인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오미자 가공산업에서 발생하는 오미자 씨와 착즙 후의 박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항혈전 기능성 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피조개 양식장 내 용혈성 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diversity of hemolytic microbiome from aquafarm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 권병근;김영옥;남보혜;김우진;공희정;김봉석;지영주;이상준;안철민;김동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3-206
    • /
    • 2013
  •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는 돌조개 과에 속하는 이매패류로 한국과 일본에서 매우 중요한 수산식품이며, 주로 국내 남해안 지역에서 양식되고 있다. 그러나 피조개 생산량은 여름철 대량폐사로 인하여 지난 10년 동안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대량폐사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조개의 생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인자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미생물학적인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조개의 주요 혈액 성분인 헤모글로빈이 미생물의 병원성인자에 의하여 피해를 받아 발생하는 용혈현상과 피조개의 폐사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피조개 양식장의 용혈활성 미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여름철 고수온기인 6월부터 9월까지 강진만과 진해만 피조개 양식장의 해저퇴적물과 피조개 체내에서 분리한 약 4,200여점의 배양가능 용혈성 미생물의 다양성 및 지역 특이적인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6월에 25속 118종, 7월에 24 속 89종, 8월에 30속 109종, 그리고 39속 141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16S rDNA 정보를 통하여 지역별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폐사빈발 지역에서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140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지역 특이적 미생물 균총 연구는 피조개 대량폐사 원인 규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다양한 패류의 폐사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담자균류의 약효성분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복진우;여경숙;최응칠;김병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53-253
    • /
    • 1994
  • 영지와 구름버섯의 원형질체 융합 균주 F-1의 배양 균사체로 부터 열수추출한 분획 Fr.I을 DEAE-cellulose ion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분획 Fr.II, III, IV,로 분리 정제하였다. Sarcoma 180에 대한 종양억제율을 검사한 결과 Fr.IV는 68.73%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동계 복수암에 대한 수명 연장 효과도 140 %의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다. 면역 관련 장기의 중량에 대한 영향을 실험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간,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켰고, 마우스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나 면역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에서 용혈반 형성세포수를 1,36배 증가시켰으며 암이식군에서 감소된 T lymphocyte활성을 정상수준까지 회복시켰고 또, macrophage의 superoxide anion 분비를 2.25배 증가시켰다. 이로써 이 항암 성분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Fr.IV히 분자량은 7.9$\times$$10^4$ dalton이고 75,57%의 다당체와 4.47%의 단백질로 이루어졌으며 그 다당체는 주로 glucase, xylose와 mannose로 구성된 heteropolysaccharide이었으며 그 단백질은 Alanine과 Valine을 위시한 15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