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한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포항시 흥해읍 용한리지역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OSL 연대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on the Quaternary deposits in Yonghan-ri, Heunghae-eup, Pohang City, South Korea)

  • 정혜경;김정빈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1-145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Quaternary sand deposits in the process of surveying Quaternary deposits distributed in Yonghan-ri, Heunghae-eup, Pohang city. Field geological surveys were conducted and OSL dating samples were taken. The altitude of the Quaternary sand deposits layer is about 15m, and there are two upper and lower sand dune layers, and a peat layer is developed between them. The sampling point are just above the peat layer, and the altitude level is about 13.4m (YHO-1) and about 13.7m (YHO-2). OSL dating was performed for YHO-1 and YHO-2 and the results were 69 ± 6 ka and 62 ± 5 ka, respectively. The date analyzed are interpreted as MIS 4. 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time of the peat layer at an altitude of about 13.2 to 13.7m can b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OSL dating of the above sandy deposits. The peat layer can be inferred to have formed during MIS 5a or earlier.

강릉-부산 간 동해안 해안단구 검토 (Review on Marine Terraces of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 Gangreung - Busan)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409-425
    • /
    • 2019
  • 계단형 평탄지형면인 해안단구는 고해수면을 지시하는 표식지형으로 가까운 지질시대동안 일어났던 지구조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지질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지형이다. 한반도의 동해, 서해 그리고 남해안 모두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중 동해안에 가장 잘 발달하고 있다. 동해안의 해안단구는 4-6조로 해발고도 수m 에서 수십m 상위에 발달하고 있다. 이들 중 최하위 단구를 제외한 모든 단구는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에 형성되었고, 특히 OSL 연령과 고지자기 층서의 블래이크 사건(Blake excursion event)에 따르면 2단구와 3단구는 공히 최종 간빙기에 대비된다. 플라이스토세 해수면변동 곡선과 단구의 구정선고도를 서로 대비하여 본다면 동해안에서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부터 중기 홀로세까지 광역적 지구조 운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릉에서 부산까지 해안단구의 구정선 고도가 지역별로 상이하며 4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릉-용한리(I), 호미곶-나정(II), 나정-방어진(III), 왜성-부산만(IV). 구정선 고도가 지역 간 서로 다르게 발달하고 있는 것은 오천단층 혹은 그의 부수단층, 감포 선구조, 울산단층 등에 의한 지괴운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구정선 고도와 단구 평탄면 형성시기를 상호 함수로 한 동해안의 융기율은 0.2-0.3m/ky 범위 내외이며, 구정선 고도에 따라 융기율은 지역적으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