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접 비드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optimization of welding parameters and process monitoring using a vision sensor in pipe welding (파이프 용접에서 최적조건 도출 및 시각 센서를 이용한 비드 형상 모니터링)

  • Cho, Dae-Won;Na, Suck-Joo;Lee, Mok-You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0-10
    • /
    • 2009
  • 파이프 용접은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위치에 따라 같은 용접변수라도 비드 형상이 매우 달라 지게 된다. 또한 지금까지 많은 용접 기술자들이 위험하고 까다로운 환경에서 수작업으로 용접을 실행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용접 자동화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FCAW를 사용하여 파이프 모재 대신 필릿 평판을 아래보기, 위보기 자세를 포함하여 9개 자세에서 실행하였다. 용접 자세를 비롯한 용접 변수와 비드 형상 변수간의 관계를 비선형 회귀 분석과 구간적 3차 에르미트 보간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용접 변수에서의 비드 단면의 형상을 예측하고, 비드의 결함 유무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자세에 따라서 용접 결함이 없는 용접 변수를 구할 수 있었다. 시각센서를 이용하여 용접 후 비드 형상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의 알고리즘은 영상획득, 이진화, 세선화, 적응형 미디언 필터링, 적응형 허프 변환, 용접 결함 검출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보다 빠른 영상처리를 위하여 적응형 미디언 필터링을 제시하였다. 모니터링을 통하여 2차원 비드 단면뿐만 아니라, 디루니 삼각법을 적용하여 3차원으로 비드 표면을 표현할 수 있다. 보간법을 사용하여 얻은 비드 형상과 시각 센서를 통하여 얻은 비드 형상간의 비교를 통하여 본 연구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 PDF

Aluminum 1060의 저출력 전자빔 용접부 bead 특성

  • 이돈배;우윤명;김기환;김창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262-266
    • /
    • 1998
  • 하나로 핵연료의 피복관과 봉단마개 재료로 사용되는 Aluminum 1060의 전자빔 용접부의 비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bead-on-plate 용접을 하였다. 비드의 단면을 절단하여 가속전압, 빔 전류, 용접속도에 따른 비드의 폭과 용입 깊이의 변화를 측정하고 용접부에 발생한 용접결함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가속전압과 범 전류의 증가에 따라 용입 깊이는 직선 비례적으로 계속 증가하였지만 비드폭은 그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용접속도의 증가에 따라서 비드 폭과 용입깊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범 출력이 높은 용접부의 root부에 다수의 porosity 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핵연료 봉단 마개의 porosity와는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welding process to rootpass for U-Groove without gap in pipe 1GR butt welding (파이프 1G 회전 맞대기 용접에서 갭 없는 U-그루브의 루트패스 용접공정 개발)

  • Son, Chang-Hui;Kim, Nam-Gyu;Cho, Sang-Myeo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0-40
    • /
    • 2010
  • 산업현장에서는 파이프 또는 탱크류의 1GR용접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가지는 루트패스 용접을 위해 2~3mm의 루트갭을 띄우고 용접봉 또는 필러와이어를 사용하는 TIG용접을 주로 한다. TIG용접은 고품질의 이면비드가 얻어지며, 용접인자의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어 루트패스 용접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루트갭을 띄우면 이면비드는 잘 얻어지지만 용착금속량이 많아지게 되어 제작원가가 상승되고, 또한 소모성 와이어를 사용하는 GMAW에 비해 생산성이 낮다. 따라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가지면서 생산성이 높은 1GR GMAW 루트패스 용접공정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이 경우도 루트갭이 2~3mm로 정해져 있으면 Fit-up공정에서 공수가 많이 필요하므로 근본적으로 루트갭이 없는 그루브에 대한 루트패스 용접이 더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루트면 2.7mm를 가지는 U-그루브의 갭 없는 루트패스 용접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가 형성되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2.7t의 평판에 대하여 경사상진 각을 주고 기초 실험 후, U-그루브 맞대기 용접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경사상진 각은 용융금속이 중력으로 인해 아크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그로 인해 아크가 모재에 직접 닿게 되어 용입이 더 깊게되므로, 이면비드의 형성에 더 유리하다. 두께 2.7t의 연강 시편 2개를 갭 없는 I-그루브 맞대기 이음에서 Ǿ1.2 연강 솔리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GMAW용접을 실시하였고, 용접전류, 용접속도, 경사상진 각, 위빙 폭, 위빙 주파수를 변경하여 각 조건에 대한 이면비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경사상진 각 $25^{\circ}$, 전류 200A, 위빙폭 3mm, 위빙주파수 3Hz의 조건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Fit-up중 발생할 수 있는 루트갭의 문제에 대하여 루트갭 1.2mm의 I-그루브 맞대기 용접에서 경사상진 각, 위빙 폭, 위빙 주파수는 갭 없이 실시한 실험에서 얻어진 가장 안정적인 결과를 사용하였고, 용접 전류, 용접 속도를 변경하여 이면비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갭이 없을 때보다 약 80A 낮은 전류 조건인 120A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앞선 실험들을 기초로 하여 U-그루브 맞대기 용접을 실시 하였고, I-그루브 맞대기 용접에서 사용한 조건들과 유사한 용접 전류, 용접 속도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welding process to overcome misalignment in root pass at butt joint TIG welding of Stainless Steel (스테인리스강 TIG 맞대기 용접 루트 패스에서 단차 극복을 위한 공정 개발)

  • Im, Sung-Bin;Ham, Hyo-Sik;Ha, Jong-Moon;Seo, Ji-Suk;Cho, Sang-Myu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6-26
    • /
    • 2009
  • TIG 용접은 고품질이고 용접인자의 제어가 쉽고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얕은 용입과 낮은 생산성과 같은 단점이 있다. TIG 오비탈 용접에서는 용입의 한계 때문에 작은 루트면과 넓은 그루브를 가공하여 다층 용접을 하며, 루트패스에서는 파이프 진원도에 의한 핏업 시 단차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많은 현장에서 루트갭을 만들어 수동 용접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산성이 낮으며 생산 단가가 높고 용접 품질이 작업자에 따라 다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 오비탈 용접을 위해 단차를 흡수 할 수 있는 용접 공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TIG 용접에서 단차에 따른 용접성을 검토하여 이를 맞대기 용접에 적용했을 때 균일한 이면비드를 얻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래보기 자세에서 단차에 따른 용입 특성을 이면비드 및 단면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단차 없이 아크길이만 1mm, 2mm, 3mm로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 아크길이가 짧아질수록 표면비드 폭은 좁아졌고 이면비드 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아크길이가 짧아질수록 용융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차 1mm에서 아크길이 3mm를 제외하고 표면비드 및 이면비드가 미려하였다. 하지만 단차 2mm에서는 아크길이 1mm, 2mm, 3mm 전부 이면비드가 생성되지 않았다. 이는 단차로 인해 아크길이가 증가하여 용융효율이 낮아졌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면비드가 생성되지 못한 시험편을 백 베벨링(0.5mm, 1.0mm, 1.5mm, 2.0mm)하여 실험한 결과 단차 2mm, 아크길이 1-3mm 백 베벨링 2.0mm 적용한 시험편에서 양호한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ontrol of molten pool by physical force of bead former in TIG welding of overhead and inclined-up position (위보기 및 경사상진자세의 TIG용접에서 비드성형기의 물리적 힘에 의한 용융지 제어)

  • Ha, Jong-Moon;Ham, Hyo-Sik;Im, Sung-Bin;Seo, Ji-Suk;Cho, Sang-Myu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3-23
    • /
    • 2009
  • 우수한 용접부 품질 때문에 TIG를 이용한 오비탈 용접은 파이프 용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루트갭이 없고 루트페이스가 큰 맞대기 오비탈 용접의 위보기 및 경사상진자세에서는 오목한 이면비드가 형성되기 쉽지만,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는 희박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보기 및 경사상진자세에서 볼록한 이면비드의 형성을 연구하기위해서 용융지의 제어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였다. 4mm 두께의 SS400 시편을 위보기 및 경사상진자세에서 각각 Bead-on-plate 용접하고, 이 때 비드성형기의 사용에 따른 비드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텅스텐 전극과 비드 성형기간의 거리(Tip To Former Distance, 이하 TTFD)를 4.5mm에서 7.5mm로 1mm단위로 변경시켜 실험하였으며, TTFD가 증가할수록 위보기 및 경사상진자세에서 이면비드 높이가 감소하였으며 표면비드의 처짐이 증가하였다.

  • PDF

Control of arc pulse to overcome misalignment and gap variation in root pass welding of pipe butt joint by GMAW (GMAW 초층 이면비드 용접에서 단차와 갭변동 극복을 위한 아크 충격량 제어)

  • Son, Chang-Hui;Kim, Nam-Gyu;Park, Hyo-Hui;Cho, Sang-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76-76
    • /
    • 2011
  • 선박이나 산업 플랜트에서 파이프 또는 탱크류의 맞대기 용접 시 안정적인 이면비드의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현장에서 파이프 맞대기 초층용접부의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형성하기 위해 3mm의 루트갭을 띄우고 루트면이 없는 V-그루브에서 필러를 사용하는 수동 TIG용접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수동 TIG용접은 고품질의 비드와 우수한 아크안정성, 그리고 용접인자의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동 TIG용접은 용접속도가 10cpm정도로 느리기 때문에 GMAW에 비해 생산성이 낮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생산성과 기준갭 1.5mm에서 단차의 허용공차를 크게 하기 위해 루트면 3mm를 가지는 U-그루브의 설계를 하였으며, 두꺼운 루트면을 가지는 그루브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형성시키기 위해 GMAW에서 아크 충격량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GMAW의 아크력이 용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기 위해 수냉되는 동판에 갭을 1.5mm 띄우고 동일한 용착량과 입열량에서 아크력만을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또한, U-그루브의 루트부를 모델링하여 두께3t의 평판시편을 각각의 갭과 단차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이 때, 기준갭 1.5mm에서 갭에 의해 생기는 단면적을 기준 갭단면적, 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단면적을 추가 갭단면적, 갭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을 감소 갭단면적으로 정의하였다. 용접 중 발생하는 추가, 감소 갭단면적에 대하여 용착량을 50%의 수준으로 증가, 감소 시켰다. 갭에 따라 아크력을 변경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면비드의 형상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평판 시편의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이면비드가 형성된 조건을 pipe U-그루브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동판에서 용착량과 입열량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아크력이 증가함에 따라 용입이 깊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3t 평판시편에서 아크력의 제어를 통해 큰 단차와 갭이 있을 때,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pipe U-그루브에서 앞선 실험의 용접조건으로 갭과 단차의 변화에 대해 실험을 하였으나, 시험편의 두께차이에 의한 전도 열손실로 인해 이면비드의 형성이 어려웠고, 아크 충격량의 증가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Welding Bead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Edge Enhancement and Active Contour (에지 향상과 활성 윤곽선을 이용한 용접 비드 영역화 알고리즘)

  • Mlyahilu, John N.;Kim, Jong-Na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1 no.4
    • /
    • pp.209-215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segmenting weld bead images using edge enhancement and active contours. In the proposed method, high-frequency filtering and contrast improvement are performed for edge enhancement, and then, by applying the active contour method, only the weld bead region can be obtained. The proposed algorithm detects an edge through high-frequency filtering and reinforces the detected edge by using contrast enhancement. After the edge information is improved in this way, the weld bead area can be extracted by applying the active contour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methods for segmenting the weld bead in the image. For the objectiv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t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high pass filtering method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ding bead seg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s excellen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fully used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weld bead through an additional procedure for the segmented weld bead.

Usag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Prediction System of Process Parameters for Arc Robot Welding (아크로봇 용접 공정변수 예측시스템에 다중회귀 분석법의 사용)

  • Lee, Jeong-Ic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4
    • /
    • pp.871-877
    • /
    • 2008
  •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ld process parameters and weld bead geometry for adaptive arc robot welding. Howeve, it is difficult to predict an exact back-bead owing to gap in process of butt welding. In this paper, the quantitative prediction system to specify the relationship external weld conditions and weld bead geometry was developed to get suitable back-bead in butt welding which is widely applied on industrial fiel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process parameter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prediction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Effect of the Wear of Contact Tips on the Weld beads made by GMAW Process (GMA용접 공정에서 콘택트팁 마모가 용접비드에 미치는 영향)

  • Koh, Jin-Hyun;Kim, Nam-Hoon;Kim, Hwan-Tea;Hwang, Yong-Hw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5
    • /
    • pp.2019-2024
    • /
    • 2011
  • The effect of the wear of contact tips on the weld beads made by a Gas Metal Arc Welding(GMAW) process was studied. In order to correlate between the wear of tips and beads, the droplet transfer was investigated by a high speed camera and waveform shapes, and the condition of beads was examined by a low magnification camera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worn contact tip had caused to shif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tip and the welding wire which resulted in nonuniform beads. In addition, the worn contact tip had changed the welding resistance and brought about the arc instability during welding.

Welding Bead Detection Inspection Using the Brightness Value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밝깃값을 이용한 용접 비드 검출 검사)

  • Jae Eun Lee;Jong-Nam Ki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3 no.4
    • /
    • pp.241-248
    • /
    • 2022
  • Shear Reinforcement of Dual Anchorage(SRD) is used to reinforce the safe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t construction sites. Welding is used to make shear reinforcement, and wel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products. Therefore, a weld bead detection inspection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lgorithm for inspecting welding beads using image data of welding beads. First, the proposed algorithm calculates a brightness valu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n image, and then divides a welding bead in a vertical direction by find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50% height point of the brightness value distribution in the image. The welding bead area is also divided in the same way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the segmentation image is analyzed if there is a welding bead.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d the amount of computation by performing analysis after specifying the region of interest. In addition, accuracy could be improved by using all brightness valu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difference of brightness between the base metal and the welding bead region in the SRD image. The experiment compared the analysis results using five algorithms, such as K-mean and K-neighborhood, as a method to detect if there is a welding bead, and the experimental result pro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as the most accu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