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접점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31초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점용접 공정제어 (Application of microprocessor to control of spot welding processes)

  • 조형석
    • 오토저널
    • /
    • 제5권3호
    • /
    • pp.24-32
    • /
    • 1983
  • 전기 동저항 제어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점용접 과정에서 동 저항이 용접질(용접강도)을 잘 나타내 준다. 1) 동저항 곡선의 peak가 발생하는 시간이 이르면 일반적으로 늦게 나타난 것보다 용접질이 좋다. (단, expulsion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2) peak에서의 저항값과 용접시간 끝에서의 저항값 차이가 클수록 일반적으로 용접질이 좋다. (2) 한 동 저항곡선에 다른 동 저항곡선을 맞추려는 제어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1) P-control로는 동저항을 추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적분제어기를 추가한 PI-control을 하면 잘 추적한다. 2) 용접질의 관점으로 볼 때 원하는 용접강도를 얻으려고 PI제어를 하면 그 용접 평균강도에 아주 근사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 PDF

저항 점 용접에서 날림발생 저감을 위한 DC 펄스전류 파형설계에 관한연구 (Design of DC current waveform for expulsion reduction in resistance spot welding)

  • 황인성;윤현준;김동철;강문진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39-39
    • /
    • 2010
  •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차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연비향상과 배기가스의 양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고강도 강재의 차체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여러 산업에서도 두께 감소를 통한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고강도 강재를 자동차 차체에 적용하면서 용접성에 대한 새로운 문제가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중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차체의 조립공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저항 점 용접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고강도 강재의 저항 점 용접의 문제점으로는 잦은 날림발생을 들 수 있다. 이는 강도의 증가에 따른 비저항 증가와 필요 가압력의 증가로 인해 입열에 의한 가압부의 소성변형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다단가압, 다단전류제어 등의 기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항 점 용접의 펄스전류 파형설계를 통해 고강도강 용접의 날림발생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실험소재로는 Al-Si 도금의 1.5GPa 급 강재를 사용하였고 실험조건으로는 기존 로브곡선에서 날림이 발생하는 용접조건을 사용하였다. On/Off 방식의 펄스전류를 이용하여 On/Off 시간에 따른 용접성을 평가하여 이를 기존 용접성과 비교하였다. 또한 펄스전류 파형에 따른 입열과 냉각의 변화와 날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저항용접공정에서의 In-Line 품질평가를 위한 Q-MEXS의 개발 (A Development of Q-MEXS for In-tine Quality Monitoring in Resistance Welding)

  • 조성우;조상명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24-26
    • /
    • 2004
  • 현재 박판조립라인에서 널리 사용되는 저항용접은 용접기술과 자동화 기술의 발달로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있다. 그러나 용접 품질의 좋고 나쁨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점용접의 품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략)

  • PDF

점용접된 판에서의 동적 파괴 거동 (Dynamic Fracture Behavior at the Spot Welding Plate)

  • 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14-3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점 용접된 박판이 파괴되어 가는 동적 과정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그 점용접부의 강도를 해석하는데 있다. 위판이 아래의 판에 대하여 늘어난 후 0.64 ms가 경과된 시점에서 서로 점 용접된 위판 및 아래 판이 떨어져 나감을 알 수 있다. 비교적 위판 및 아래 판 가운데의 용접 부위에서 최대의 von Mises 응력을 나타내고 있다. 용접이 깨어지는 시점인 0.64 ms 부근에서는 그 내부에너지가 상당히 감소되고 운동에너지는 급격히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미끄럼 에너지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계단형으로 감소되어 경과 시간이 0.2 ms 부근에서 0이 되다가 그 후로는 미끄럼 에너지가 음수의 값이 되어 두 판들은 오히려 고착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