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어통일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김도한
    • 과학과기술
    • /
    • 제26권6호통권289호
    • /
    • pp.85-86
    • /
    • 1993
  • 국제정세의 변화와 오랜 통일에의 염원에 따라 남북한 상호간에 많은 교류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해방 후 분단 반세기 동안 남한과 북한은 전혀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상당한 이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수학의 경우에도 분야에 따른 연구상황은 물론, 용어면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우리가 별 노력없이 일본식 한자용어와 영어용어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경향인데 반하여 북한에서는 한글화 작업에 많은 노력을 쏟아와 대부분의 수학용어들이 우리 고유의 한글로 정착되어 있다. 현재 우리의 감각에는 생소하고 어색한 단어들도 많지만 북한의 좋은 한글용어를 보완, 수정하는 등 중요 자료로 받아들여 우리의 수학용어를 체계화시킴으로써 통일된 앞날의 우리 수학발전에 기초로 삼아야 할 것이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4)-틀리기 쉬운 잉크용어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0호
    • /
    • pp.164-167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1)-틀리기 쉬운 제판용어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7호
    • /
    • pp.114-119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2)-틀리기 쉬운 제판용어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8호
    • /
    • pp.120-123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3)-틀리기 쉬운 윤전인쇄용어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9호
    • /
    • pp.120-124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6)-틀리기 쉬운 그라비어 인쇄용어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2호
    • /
    • pp.118-119
    • /
    • 2005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인쇄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5)-틀리기 쉬운 종이용어

  • 박도영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1호
    • /
    • pp.100-103
    • /
    • 2005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코미, 베타,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박도영 전 교육인적자원부교과서심의위원이 정리한 인쇄용어통일에 대한 연구를 정리.연재한다.

  • PDF

31개 주요 정보화용어 연구 현황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저널
    • /
    • 통권60호
    • /
    • pp.140-142
    • /
    • 1998
  • -최근 정보화가 급속도로 진전됨에 따라 정보통신 용어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새로운 개념의 신조어들이 많이 생성됨에 따라 정보통신 관련 외래어가 범람하고, 번역 용어도 다양하여 사용상 혼란이 야기되고 있음. -특히 언론이나 행정,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는 정보통신 관련 용어의 통일화는 올바른 의사 소통 및 마인드 확산 등에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됨. -우리 협회에서는 일반 국민들의 정보통신 이해 증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정보통신 관련 용어의 쉬운 우리

  • PDF

과학기술용어 통일은 국가발전의 주춧돌

  • 이의재
    • 과학과기술
    • /
    • 제35권11호통권402호
    • /
    • pp.16-18
    • /
    • 2002
  • 과학기술용어를 외국어로 쓰는 것은 익숙한 사람에게는 편리하겠으나 일반인에게는 엄청난 부담이 되며 독창적 사고를 통한 과학기술발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우리 사회에 횡행하는 여러 분야의 외국 용어들을 한시 바삐 우리말로 다듬어 정착시키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 PDF

전문가시스템 한글용어 안 (Korean Terminologies in Expert Systems)

  • 권순범;이재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권2호
    • /
    • pp.85-100
    • /
    • 1996
  • 국내 전문가시스템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응용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전문가시스템 분야 한글용어에 대한 일관성 있는 용어사용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전문가시스템 관련 학계, 산업계, 연구소가 통일된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시스템 한글용어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안은 국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분야의 문헌을 조사하여, 전문가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되는 영문용어의 한글용어 대안을 식별하고,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표준용어를 선정하였다. (1) 원래의 뜻에 충실하여 이해가 쉽도록 한다. (2)기존 문헌의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3)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보다는 한글용어를 우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