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례 검색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onceptual Clustering of Korean Concordances using Similarities between Morphemes (형태소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한 용례의 의미별 분류)

  • Baek, Dae-Ho;Lee, Ho;Rim, Hae-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235-240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에서 사용하는 계층적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용례들을 중심어의 의미에 따라 분류하고자 한다. 분류에 필요한 용례 사이의 유사도는 형태소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형태소 사이의 유사도 계산에는 상호 정보, 상호 정보의 유사도, 벡터 유사도 등을 사용한다. 품사 태깅된 17만 코퍼스에서 명사 4개와 동사 4개를 중심어로 사용하여 추출된 용례에 대해서 각 방법의 정확도를 실험한 결과 상호 정보와 상호 정보 유사도를 더한 값을 형태소 사이의 유사도로 사용한 방법이 90.16%의 정확도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에서 사용하는 정보들은 의미 태깅되지 않은 코퍼스에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획득이 쉬운 장점이 있다.

  • PDF

Text Visualization and Concordance Search Using Gutenberg Project Text Data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 및 용례 검색)

  • Kim, Dongsung;Shin, Yeonsu;Lee, Jian;Yu, Jim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75-178
    • /
    • 2017
  • 본 연구는 거시적 빅데이터 인문학과 미시적 언어 텍스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서 언어를 통한 문화의 역동적 변화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문화도 생물체처럼 변화하는 존재라 여기고 그 구성요소들을 연구한다는 뜻인 '문화체학(文化體學; Culturomics)'과 같은 '인문학 + 정보과학 + 사회과학' 등등의 다학문간의 융합적 연구에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 인류 역사의 기록인 텍스트 빅데이터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각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글의 업적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서 인문학 자체의 지평을 넓히고, 사회과학을 변형시키고, 산업과 상아탑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는데 있다.

  • PDF

Text Visualization and Concordance Search Using Gutenberg Project Text Data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 및 용례 검색)

  • Kim, Dongsung;Shin, Yeonsu;Lee, Jian;Yu, Jimi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75-178
    • /
    • 2017
  • 본 연구는 거시적 빅데이터 인문학과 미시적 언어 텍스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서 언어를 통한 문화의 역동적 변화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문화도 생물체처럼 변화하는 존재라 여기고 그 구성요소들을 연구한다는 뜻인 '문화체학(文化體學; Culturomics)'과 같은 '인문학 + 정보과학 + 사회과학' 등등의 다학문간의 융합적 연구에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 인류 역사의 기록인 텍스트 빅데이터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각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글의 업적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서 인문학 자체의 지평을 넓히고, 사회과학을 변형시키고, 산업과 상아탑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는데 있다[1].

  • PDF

KONG-DB: Korean Novel Geo-name DB & Search and Visualization System Using Dictionary from the Web (KONG-DB: 웹 상의 어휘 사전을 활용한 한국 소설 지명 DB, 검색 및 시각화 시스템)

  • Park, S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3 no.3
    • /
    • pp.321-343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semi-automatic web-based pilot system 1) to build a Korean novel geo-name, 2) to update the database using automatic geo-name extraction for a scalable database, and 3) to retrieve/visualize the usage of an old geo-name on the map.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extracting novel geo-names, which are currently obsolete, is difficult to solve because obtaining a corpus used for training dataset is burden. To build a corpus for training data, an admin tool, HTML crawler and parser in Python, crawled geo-names and usages from a vocabulary dictionary for Korean New Novel enough to train a named entity tagger for extracting even novel geo-names not shown up in a training corpus. By means of a training corpus and an automatic extraction tool, the geo-name database was made scalable. In addition, the system can visualize the geo-name on the map. The work of study also designed, implemented the prototype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ilot system. Lastly, items to be improved have also been addressed.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Fixed Expression Knowledge for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한영 기계번역을 위하 고정표현 지식의 기술 방법)

  • 서진원;안동언;정성종;김재훈;서영애;김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66-368
    • /
    • 2000
  • 규칙기반 기계번역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제시된 예제기반 기계번역 시스템은 대량의 고품질 대역 코퍼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빠른 N-best 예제 검색, 유사 예제 계산, 번역결과의 평가 등이 중요한 문제들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기본적인 것은 대역 예문들을 표현하고 기술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대역 예문들을 수집하여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고정 표현 지식을 기술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대역 패턴의 기술 방법을 CFG 형태로 정의하고 실제 용례를 통하여 기술 방법을 설명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part-of-speech annotation tool that has the study facility (학습기능을 가진 효율적인 품사 부착 도구 설계 및 구현)

  • Ahn, Yu-Mi;Oh, Jin-Young;Cha, Ju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91-19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자바 기반의 품사부착 코퍼스 작성 도구를 제안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각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실행하지만 주요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서 지식을 공유할 수 있고, 품사부착 작업에 있어 사전에 만들어진 어절 후보로부터의 선택 및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고빈도 오류어절의 자동 표시 기능, 용례 검색을 통한 도움말 기능, 코멘트를 기반으로 구성된 집단 지식을 이용한 도움말 확장 기능 및 사전 검색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일관성 검사를 통해 품사부착 결과에 대한 신뢰도 증가 및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A Word Semantic Similarity Measure Model using Korean Open Dictionary (우리말샘 사전을 이용한 단어 의미 유사도 측정 모델 개발)

  • Kim, Hoyong;Lee, Min-Ho;Seo,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
    • /
    • 2018
  • 단어 의미 유사도 측정은 정보 검색이나 문서 분류와 같이 자연어 처리 분야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의미 유사도 측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어의 계층 구조를 사용한 기존 연구들이 있지만 이는 단어의 의미를 고려하고 있지 않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대사전에 50만 어휘가 추가된 우리말샘 사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단어에 대한 계층 구조를 파악했다. 그리고 단어의 용례를 word2vec 모델에 학습하여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파악하고, 단어의 정의문을 sent2vec 모델에 학습하여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파악했다. 또한, 구축된 계층 구조와 학습된 word2vec, sent2vec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어 단어 의미 유사도를 측정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모델이 기존 모델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입증했다.

  • PDF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Dictionary and Corpus (사전과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단어 중의성 해소)

  • Jeong, Hanjo;Park, Byeonghwa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1
    • /
    • pp.1-13
    • /
    • 2015
  • As opinion mining in big data applications has been highlighted, a lot of research on unstructured data has made. Lots of social media on the Internet generate unstructured or semi-structured data every second and they are often made by natural or human languages we use in daily life. Many words in human languages have multiple meanings or senses. In this result, it is very difficult for computers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these datasets. Traditional web search engines are usually based on keyword search, resulting in incorrect search results which are far from users' intentions. Even though a lot of progress i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search engines has made over the last years in order to provide users with appropriate results, there is still so much to improve it. Word sense disambiguation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this area. Major approaches to word sense disambiguation can be classified as knowledge-base, supervised corpus-based, and unsupervised corpus-based approach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which automatically generates a corpus for word sense disambiguation by taking advantage of examples in existing dictionaries and avoids expensive sense tagging processes. It experi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based on Naïve Bayes Model, which is one of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by using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and Sejong Corpus.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has approximately 57,000 sentences. Sejong Corpus has about 790,000 sentences tagged with part-of-speech and senses all together. For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and Sejong Corpus were experimented as a combination and separate entities using cross validation. Only nouns, target subjects in word sense disambiguation, were selected. 93,522 word senses among 265,655 nouns and 56,914 sentences from related proverbs and examples were additionally combined in the corpus. Sejong Corpus was easily merged with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because Sejong Corpus was tagged based on sense indices defined by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Sense vectors were formed after the merged corpus was created. Terms used in creating sense vectors were added in the named entity dictionary of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By using the extended named entity dictionary, term ve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input sentences and then term vectors for the sentences were created. Given the extracted term vector and the sense vector model made during the pre-processing stage, the sense-tagged terms were determined by the vector space model ba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e effectiveness of merged corpus from examples in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and Sejong Corpus. The experiment shows the better results in precision and recall are found with the merged corpus. This study suggests it can practically enhance the performance of internet search engines and help us to understand more accurate meaning of a sentence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ertinent to search engines, opinion mining, and text mining. Naïve Bayes classifier used in this study represents a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and uses Bayes theorem. Naïve Bayes classifier has an assumption that all senses are independent. Even though the assumption of Naïve Bayes classifier is not realistic and ignores the correlation between attributes, Naïve Bayes classifier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in practice it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text classification and medical diagnosis. However, further research need to be carried out to consider all possible combinations and/or partial combinations of all senses in a sentence. Also, the effectiveness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may be improved if rhetorical structures or morphological dependencies between words are analyzed through syntactic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