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량산정

Search Result 76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Hardware Capacity sizing for Information Systems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용량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ung, Hae-Yong;Ra, Jong-Hei;Choi, Kwang-Dong;Hur, Jung-Hoi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62-57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 ${\cdot}$ 운영에 필요한 하드웨어 도입시 용량산정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정보시스템 업무유형 및 규모를 감안한 용량산정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CPU를 중심으로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적절히 산출할 수 있는 용량산정식과 용량산정식에 포함될 항목 및 각 항목별 중요도(입력값의 범위)를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존연구에서 설정된 용량산정 프레임워크와 하드웨어 용량산정 지침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집단토의 방식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및 전문가집단의 토의결과 CPU(WEB/WAS 및 OLTP), 메모리, 디스크에 대한 용량산정식의 타당도 및 각 용량산정식에 포함될 항목별 입력값의 범위 와 기타 부가적으로 정보시스템의 유형(개발목적과 구축영역)에 따른 항목별 중요도가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의의로는 공공기관의 실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행적 측면에서 용량산정식의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항목별 입력값의 경우에도 정형화된 설문서를 통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설정된 정보시스템 용량산정식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주로 공급업체 전문가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설정된 입력값의 범위 등을 공공기관의 현업전문가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 PDF

클라우드컴퓨팅 기반의 HW용량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Choi, Kook-Hyun;Kang, Yong-Suk;Shin, Yong-Tae;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78-881
    • /
    • 2014
  • 정보시스템은 메인프레임(Mainframe)에서 클라이언트/서버시스템(C/S System), 인터넷 및 인트라넷 시스템을 지나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성과 컴퓨팅 환경의 다변함에 따라 시스템 성능 및 용량 산정에 관한 중요성은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H/W(하드웨어규모산정지침 등)의 방식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다양한 컴퓨팅 환경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는 하드웨어 구축비용의 증가 혹은 감소로 실제 요구되는 정보시스템 자원이 과다 또는 과소 산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은 막대한 서버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HW를 산정하는 것은 사업성공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하드웨어의 용량 산정을 위해서는 우선 IT자원의 성격에 따른 3가지 서비스모델(서비스형소프트웨어, 플랫폼형서비스, 인프라형서비스)에 적합한 용량산정모델을 제시해야 한다. IaaS는 사용자에게 인프라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PaaS의 경우에는 플랫폼과 OS 등의 개발환경을 제공의 목적이 있기 때문에 HW용량산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SaaS는 WEB/WAS의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의 서비스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 서비스 특징과 클라우드 특징을 도출하기에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aS기반의 하드웨어 용량산정에 대한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구축 시 HW용량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하다.

  • PDF

Probabilistic Reliability Method based Capacity Value of Wind Power (확률적 신뢰도기법에 의한 신재생발전기 용량가치 산정기법)

  • Ryu, Seong-Ho;Ryu, Heon-Su;Shim, Dae-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72-1373
    • /
    • 2011
  • 신재생에너지 발전기는 출력가변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 전력수급계획 수립시 발전용량을 얼마로 할 것인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론적 신뢰도 기법에 기반하여 신재생 발전기가 공급신뢰도에 기여하는 용량산정 방법을 제안하고 우리나라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국내 발전설비계획 수립에 사용하는 공급지장확률(LOLP)을 이용하여 신재생 발전기의 공급 신뢰도 기여용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현재까지 사용해 온 신재생발전기 이용률에 기반한 기여용량 산정결과와 비교하였다. 특히 신재생발전원 중 우리나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풍력 및 태양광에 대하여 용량가치를 산정하였다. 확률적 신뢰도기반 용량가치 산정법은 제5차 전력 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적용된 바 있으며, 좀 더 정밀한 산정절차를 수립하여 수급계획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수급계획 수립에 신재생 발전원의 정확한 용량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을 선정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용량 산정 방법

  • Choe, Guk-Hyeon;Park, Se-Jeong;Sin, Yong-Tae;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799-800
    • /
    • 2015
  • 정보시스템의 복잡성과 컴퓨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스템 성능 및 용량 산정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은 막대한 서버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HW 용량을 산정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제 도입기를 지나 성숙기를 향해 빠르게 진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클라우드는 IaaS, PaaS, SaaS 등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국내 다수의 IT 서비스 기업들은 클라우드 인프라가 구축된 기업들과 MOU를 맺고 SaaS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SaaS를 위한 하드웨어 용량 산정 기법에 관한 연구는 향후 클라우드 내에서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는데 필요한 기반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aS 기반의 하드웨어 용량산정에 대한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구축 시 HW용량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하다.

  • PDF

Freeway Design Capacity Esti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ime Headway Distribution (차두시간분포 분석을 통한 고속도로 설계용량 산정모형의 개발)

  • Kim, Jum San;Park, Chang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D
    • /
    • pp.251-258
    • /
    • 2006
  •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stimation method of freeway design capacity through the analysis of time headway distribution in continuum flow. Traffic flow-speed diagram and time headway distribution plotted from individual vehicle data shows: a) a road capacity is not deterministic but stochastic, b) time headway distribution for each vehicle speed group follows pearson type V distribution. The freeway design capacity estimation model is developed by determining a minimum time headway for capacity with stochastic method. The estimated capacity values for each design speed are lower when design speed ${\leq}80km/h$, and higher when design speed ${\geq}106km/h$ in comparison with HCM(2000)'s values. In addition, The distinguish difference is that this model leads flexible application in planning level by defining the capacity as stochastic distribution. In detail, this model could prevent a disutility to add a lane for only one excess demand in a road planning level.

The calculation of ESS optimal capacity in Microgrid (Microgrid에서의 ESS최적용량 산정)

  • Son, Hyun-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19-620
    • /
    • 2015
  • 본 논문은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의 신재생에너지원의 출력 안정화 및 디젤발전기의 최소 사용을 통한 경제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도입을 위한 용량 산정 및 SOC에 따른 충/방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산정 알고리즘을 통해 도서지역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ESS 용량을 산정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다.

  • PDF

Evaluating Applicability of Sediment Transport Capacity Equations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민감도 분석을 통한 유사이송용량 산정식의 적용성 평가)

  • Her, Younggu;Hwang, Syew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7 no.6
    • /
    • pp.79-90
    • /
    • 2015
  • 유사는 오염물질을 저장 또는 운반하는 매개체로 하류 수체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사 발생 및 운송 양의 추정은 수질개선을 위한 유역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러한 유사량 및 운송과정은 주로 모형에 의해 계산되고 모의되는데, 많은 유사운송모형들이 유사이송용량 (sediment transport capacity)식을 이용하여 유사 발생량, 이송량 및 퇴적량을 산정한다. 유출에 의한 유사이송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존의 식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환경에서 개발되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식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사이송용량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들의 개발 목적과 환경을 검토하고, 경사, 유량, 유사입경 및 토성에 따른 민감도를 조사하여 각 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8개의 유사이송용량 산정식은 모두 경사도에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raham과 Yalin식 이외의 산정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유사이송용량은 경사도가 0.1 % 보다 작을 때는 0 mg/l, 경사도가 100 % 보다 클 때는 이론최대치인 2,650 mg/l 을 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산정식의 적용 가능한 경사도 범위를 0.1 %-100 %로 추정할 수 있었다. Abrahams식은 유량에, Bagnold식은 유사입경 및 토성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Low, Rickenmann, 및 Schoklitsch식은 유량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고, Low와 Schoklitsch식은 토성에도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식의 제한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Yang식은 계산식에 포함된 로그항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었다. Abrahams과 Yalin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사운송용량은 모든 인자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alin과 Low식의 경우, silt와 clay에 적용되었을 때 유량이 클수록 유사운송용량이 다소 작아지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Abraham식의 적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모의 시 적용대상 지역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유사운송용량 산정식을 선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Examination Reservoir water sensitivity by measurement inflow (실측유입량에 의한 저수용량 민감도 검토)

  • HwangBo, Jong-Gu;Shin, In Jong;Jo, Dae 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6-266
    • /
    • 2022
  • 효율적인 댐 운영은 정확한 수문자료가 필수이다. 많은 댐 운영자들은 실측자료, 수문모형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유입량과 유출량을 산정하지만 댐 저수용량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계산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발전용수, 농업용수, 생활용수 등 실질적으로 이용되는 물은 댐저수지의 물이며 이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효율적인 댐 운영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국내 대부분의 댐은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량을 이용하여 저수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저수용량을 파악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더군다나 우리나라 댐 저수지는 대부분 저수지 내에 한 개의 수위를 관측하여 저수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이는 수km에서 수십km에 이르는 저수지 크기를 고려하면 큰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유역의 화천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과 달천 괴산댐에서 실측유입량에 따른 댐 저수위 반응을 살펴보고 저수용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각 댐별로 저수위 0.01m 변화에 따른 저수용량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갈수기라고 할 수 있는 11월과 홍수기에 해당하는 7월의 실측 유입량에 따른 댐 저수용량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존의 방법인 저수위 변화로 계산된 유입량과 실측자료에 산정된 유입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측자료와 저수위 변화를 이용한 유입량을 비교·검토한 결과 차이를 보였으며 실측유입량이 저수지 수위를 0.01m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30분에서 최대 120분 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입되는 물에 비해 저수위 변화는 미미하여 현재의 계측 시스템으로는 저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정하기에 무리가 있다. 결국 실시간으로 댐 저수량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저수위 계측 분해능을 현 0.01m에서 0.001m로 향상시키고, 저수지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수위를 계측하고 저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stimation of Storage Capacity for Rainwater Harvesting System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 (확률분포를 이용한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용량 산정)

  • Lee, Kil-Seong;Kang, Won-Gu;Chung, Eun-Sung;Song, Jae-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64-768
    • /
    • 2010
  • 수자원의 근간이 되는 빗물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도 빗물이용시설(Rainwater Harvesting System, RHS)이 많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RHS의 효율적인 설계 및 유지 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건물의 물 사용량과 집수되는 빗물의 양이 고려된 적정 저류용량 산정이 필수이다. RHS의 적정 저류용량 산정을 위해서는 강수량에 따른 저류용량과 부족량간의 확률적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강우와 물 사용량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저류용량에 따른 부족률을 도출하는 모의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저류용량과 부족률간의 관계를 확률 분포로 제시하였다. 적용대상은 서울대학교 34동이며 적합 확률분포로는 Generalized Logistic 분포임을 검증하였고 재현기간에 따른 저류용량별 부족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18m^3$ 이상의 저류용량을 가지는 RHS 설치는 재현기간을 막론하고 효율성이 없음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모의 모형과 재현기간에 따른 저류용량별 부족률은 RHS의 설계와 의사결정에 관련된 이 해당사자들의 직관적 판단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향후, 좀 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일강우량에 따른 일화장실 물사용량의 실측자료를 모의 모형에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Battery Capacity Determination of Solar-Wind Hybrid Power System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축전지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 Kwon, Byeong-Gook;Lee, Seung-Chul;Park, Chan-Eom;Kim, Jong-Hwan;Oh, J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d
    • /
    • pp.297-29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확률적으로 변화하는 시스템 발전량과 부하량을 고려한 적정 축전지 용량산정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서울지역에서의 전형적인 날의 시간대별 일사량과 풍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출력분포를 산정하였고 배전계통과 연계된 전형적인 일반 주택부하를 가정하여 시스템 발전량과 부하량이 서로 상응하도록 풍력발전기와 태양전지의 용량을 결정하였다. 태양광 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예상 발전량은 각각 Beta 분포와 Weibull 분포에 기초하여 산정하였고 수요부하량을 비교하여 잉여 발전량은 축전지에 충전하고 부족 발전량은 축전지에서 방전하여 가능한한 계통으로부터 인입전력을 공급받지 않기 위한 최소 축전지 용량을 산정하는 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