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기재배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Highbush Blueberry 'Duke' to Hydroponic Cultivation (블루베리 '듀크' 품종의 양액재배 시 수체 생장과 수량 반응)

  • Cheon, Mi Geon;Lee, Seo Hyoun;Park, Kyung Mi;Choi, Seong-Tae;Hwang, Yeon Hyeon;Chang, Young Ho;Kim, Jin Goo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0 no.3
    • /
    • pp.244-249
    • /
    • 2021
  • The hydroponic culture for growing 'Duke' blueberry was evaluated in a protective greenhouse provided with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to the conventional blueberry cultivations. One year old 'Duke' blueberry bushes planted in 180 L containers filled with 130 L peat moss and 40 L pearlite (v/v)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A nutrient solution consisted with NO3-N 4.6, NH4-N 3.4, PO4-P 3.3, K 3, Ca 4.6, and Mg 2.2 mmol-1 was supplied to the plants, comparing non-hydroponic treatment (provided with only underground water). Hydroponic culture increased number of shoot per bush by 18% and total shoot length by 24% compared with non-hydroponic culture. Total dry weight of a bush increased in the hydroponic with vigorous root growth 1.4-fold more than the non-hydroponic. Higher concentrations of inorganic elements and organic compounds were found in the hydroponic, indicating active nutrient absorption of the bush. The hydroponic produced high yield similar to adult bush from 4 years old age, maintaining the yield until 8 years old 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s will be useful for growing blueberry crop.

Pot Cultivation Method of Minuartia laricina (L.) Mattf. for Ground Cover (너도개미자리의 지피용 포트묘의 재배 방법)

  • Soo Ho Yeon;Sang In Lee;Ju Sung Cho;Cheol 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21-21
    • /
    • 2020
  • 본 연구는 7~10월에 백색 꽃이 개화하는 화훼류인 너도개미자리[Minuartia laricina (L.) Mattf.]를 지피용 관상식물로 활용하기 위한 재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용식물증식센터에서 종자를 분양 받아 2019년 4월 19일에 트레이에 파종하여 충북대학교 유리온실에서 육묘한 유묘를 7월 4일에 정식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9월 24일까지 약 11주 동안 재배하였다. 식재 용기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닐 포트 2, 3, 4치를 이용하였다. 토양 실험은 단용토로 원예상토를 사용하였으며, 혼용토는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를 2:1, 3:1 비율로 혼합한 후 토양 9L당 퇴비 1L를 첨가하였다. 묘 소질에 관한 실험은 파종립수(1, 2, 4, 6립)와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를 각기 달리하여 육묘한 유묘를 정식한 후 생육을 비교하였다. 대조구는 비닐 포트 3치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1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 용기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생육은 4치 비닐 포트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면, 개화율이 양호하였던 3치 포트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볼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종류별로는 원예상토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러나 너도개미자리는 배수가 잘되는 산지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육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인 마사토와 피트모스를 3:1로 혼합한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도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파종 립수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개체당 생육은 셀당 파종된 립수가 적을수록 왕성하였으며, 1립과 2립 파종묘가 우수하였다. 2립 파종묘의 포트당 생체중이 가장 무거운 결과를 보였으며, 4립과 6립 파종묘는 개체당 생육이 크게 억제되어 2립 파종묘에 비해 저조하였다. 파종 용기에 따른 생육은 육묘에 사용된 용기의 크기가 클수록 정식 후 모든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162구에서 생산한 묘가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개화율은 200구 생산 묘가 가장 높았으며,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던 162구 생산 묘는 왕성한 생육으로 인해 개화가 비교적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너도개미자리의 재배는 4치 비닐 포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여 200구 트레이에 셀당 2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지피용 재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3치 비닐 포트에 마사토와 피트모스를 3:1로 혼합한 토양을 이용하는 것도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everal Factors Affecting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for Pot Cultivation (몇 가지 요인이 산꼬리풀 분화재배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 In;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7-87
    • /
    • 2019
  • 현대인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관상식물의 관심이 증가하여, 자생초화류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은 국내 특산식물로서 산지의 초원에서 자생하고, 쪽빛을 내는 화기는 청아한 느낌을 주어 관화식물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8년 7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플라스틱 8, 10, 12호 화분, 비닐포트 3, 4치),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립수(1, 2, 4, 6립),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생육은 플라스틱 화분 12호에서 왕성하였고, 포트의 용적량이 클수록 경직경, 측지수, 마디수, 엽수, 개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고, 측지수,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이 모두 우수하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였다. 피트모스 혼용토는 생육이 억제되는 동시에 잎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사토 혼용토의 경우,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 절간장은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포트당 마디수와 엽수는 증가하였으나, 1립 파종묘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4립 파종묘(44.4%)가 1, 2, 6립 파종묘(20.8~25.0%)보다 높았다. 육묘용기별 생육은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던 162구 생산묘가 정식 후 재배에도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꼬리풀의 최적의 분화재배를 위해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162구 트레이에 포트당 엽수와 개화율이 높은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토양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던 마사토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Pot Soil and humidity on Growth for Transparent Cup Cultivation of Climacium japonicum Lindb (나무이끼의 투명컵 재배시 용토 및 습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 Suh, Jong-Taek;Ryu, Seung-Yeol;Yoo, Dong-Lim;Nam, Chun-Woo;Hur, Youn-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3 no.4
    • /
    • pp.379-38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ultivation techniques of Climacium japonicum in transparent pot. We analyzed effect of different soil moisture content, air exposure degree, bed soil and ground cover moss on the growth of Climacium japonicum. The best humidity condition in transparent pot culture was 60~80% and a mixture of bed soil with peatmoss : perlite as 7:3 ratio was effective to growth. Two holes(each diameter is 4 mm) in the cover were also effective to the growth and control moisture in the transparent pot. The best mixture of bed soil was moss with peatmoss : pelite(7:3) in the pot culture but price of moss is expensive, the moss treatment was not practical. Total of 10 moss species were selected as ground cover plant; Hypnum erectiusculum Sull. et Lesq., Thuidium kanedae Sak., Hypnum plumaeforme Wils., Trachycystis microphylla Lindb., Bryum argenteum Hedw., Hypnum oldhamii Jaeg., Funaria hygrometrica Hedw., Leucobryum glaucum Aongstr., Polytrichum commune Hedw. and Weissia controversa Hedw. The plant height of selected moss was smaller than that of Climacium japonicum so these moss were very effective to cover the ground.

Cultivation Factors for Pot-plant Production of Arenaria juncea M.Bieb. (벼룩이울타리의 분화 생산을 위한 재배 요인)

  • 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59-59
    • /
    • 2019
  • 벼룩이울타리(Arenaria juncea M.Bieb.)는 7~8월에 백색의 꽃이 취산화서로 아름답게 피며, 산지, 산비탈 또는 메마른 초지에 자생한다. 청열 및 양혈의 효능이 있고, 은시호의 대용으로 쓰이며, 뿌리에는 triterpenoid saponins과 sapogenin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는 분화용 식물로 벼룩이울타리를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포트 정식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2018년 선행연구에서 생산된 유묘를 7월 2일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약 15주 동안 재배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9{\times}9cm$)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셀 당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재배 실험은 용기종류[비닐포트(3, 4치), 플라스틱 포트(8, 10, 12호)], 토양 종류[원예상토,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 립수(1, 2, 4, 6립), 파종 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을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벼룩이울타리는 토양의 양이 많을수록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보여, 플라스틱 12호에 재배하는 것이 분화용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비닐 4치와 플라스틱 10호의 경우, 플라스틱 12호와 생육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벼룩이울타리는 원예상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 순이었다. 그러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용토는 비율과 관계없이 생육이 감소하며, 잎에 황백화 현상이 나타났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하여 육묘한 후 정식한 결과, 전반적인 생육은 1립 파종묘에서 양호하였으나, 2, 4, 6립 파종묘가 1립 처리구에 비해 포트당 엽수가 약 1.35, 1.44, 2.01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유묘 생산시 셀당 파종량을 늘려 재배하는 것이 분화용으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용기별 유묘의 생육은 162, 200, 288구 트레이 순이었으나, 정식 후 약 15주 동안 재배한 결과, 162, 200구에서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288구보다 양호하였다. 따라서, 육묘 단계에서 토양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200구에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벼룩이울타리의 분화용 재배는 플라스틱포트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4립 또는 6립을 파종하여 육묘한 묘를 정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한편,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재배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비닐포트 4치 또는 플라스틱 포트 10호에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를 혼용하여 충진한 다음 유묘를 이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s in Soil Physical Properties of Peatmoss Containing Root Media as Influenced by Container Size and Packing Density (용기 크기와 충전밀도 차이에 따른 피트모스 혼합상토의 물리성 변화)

  • Park, Eun Young;Choi, Jong Myung;Lee, Dong Hoo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5
    • /
    • pp.558-564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ecur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in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s influenced by the compaction of root media during container filling. Three root media were formulated by blending peatmoss (PM) with expanded rice hull (PM + ERH, 8:2, v/v), carbonized rice hull (PM + CRH, 6:4) and ground and aged pine bark (PM + GAPB, 8:2). Based on the optimum bulk density, the amount of root media filled into 6.0, 7.5, 8.5, 10.5 and 12.5 cm were adjusted to 90, 100, 110, 120, and 130%, then the changes in total porosity (TP), container capacity (CC), and air-filled porosity (AFP) were measured. The TP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acking amount of three root media were elevated in all sizes of container. The T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oot media in small sizes of containers,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sizes of containers became larger. As packing amount of three root media were elevated, the CCs in all sizes of containers were decreased. The PM + CRH had the lowest CC among three root media in containers smaller than 8.5 cm, but had the highest CC in those larger than 10.5 c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creases in CC were influenced by the sizes of containers as well as kinds of root media. The elevation of packing amount in three root media diminished significantly the AFP. The AFP in PM + GAPB medium was two times as high as those of PM + ERH or PM + CRH when equal packing densities were applied in all sizes of containers. As the container sizes became larger in three root media, the extents in decreasing of CC were distinct than those of AFP. Above results indicate that elevation in packing amount of three root media decreased significantly the TP, CC and AFP, but these were influenced differently by sizes of containers and kinds of root media. Th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expectation in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in various sizes of containers filled with peatmoss based root media.

$\cdot$어업용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등에 관한 특례규정$\cdot$규칙 개정

  •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 Corrugated packaging logistics
    • /
    • v.9 no.41
    • /
    • pp.45-49
    • /
    • 2002
  • 조세특례제한법(2001. 12.29, 법률 제6538호) 및 농$\cdot$축산$\cdot$$\cdot$어업용기자재에대한부가가치세율적용에관한특례규정(2001. 12. 31, 대통령령 제17465호)이 개정되어 농$\cdot$어업용기자재에 대하여 면세석유류의 공급이 가능해짐에 따라 면세석유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농업기계와 어업용 시설을 정하고, 콩나물재배업자를 부가가치세 환급 및 면세유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농$\cdot$어민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한편, 농$\cdot$어업용기자재부가세환급신청서$\cdot$임업용기자재구매확인서 등 부가치세의 환급 및 면세유류의 공급과 관련되어 필요한 서식을 정하는 등 동규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 PDF

Bush Growth and Yield of Highbush Blueberry 'Duke' as Influenced by Different Pruning Times in Unheated Plastic House (블루베리 '듀크' 품종의 무가온 시설재배시 전정시기가 수체생장과 과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 Cheon, Mi Geon;Lee, Seo Hyoun;Park, Kyung Mi;Choi, Seong-Tae;Hwang, Yeon Hyeon;Chang, Young Ho;Kim, Jin Goo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0 no.3
    • /
    • pp.212-217
    • /
    • 202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effects of summer pruning at different times and dormant pruning on shoot growth and yield of northern highbush blueberry. Using 7 (2018) to 9 (2020) years old 'Duke' bushes grown in 180 L containers, summer pruning was treated on June 20 (around 30 days after harvest), July 20, and August 20 consecutively in both 2018 and 2019 removing 30% of the total woods, while dormant pruning (conventional) was on January 20 in both 2019 and 2020. Summer pruning reduced shoot growth the following year, especially when treated in late summer. Total shoot length per bush decreased to 47%, 37%, and 33% on October 15, 2020 in June, July, and August prunin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dormant pruning. Summer pruning at different times in 2018 and 2019 did not affect berry characteristic in the following year. Yield per bush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2019, but it decreased by 21 to 38% in 2020 in the summer pruning treatments compared with 2.9 kg of the dormant pruning. It was concluded that consecutive summer pruning in 'Duke' under unheated plastic house could weaken the shoot growth with reducing yield.

Growth Characteristic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according to Several Cultivation Conditions (몇 가지 재배조건에 따른 산꼬리풀의 생육특성)

  • Lee, Sang In;Yeon, Soo Ho;Cho, Ju Sung;Lee, Cheol H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3 no.1
    • /
    • pp.24-32
    • /
    • 2020
  •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the most effective approach for the cultivation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plants, which was expected as new ornamental plants. We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plug seedlings, varied the seeding container type and seeding rate. We also varied seedling quality, planting container, soil type, and shading ratio. Seedling quality was used seedlings produced from different seeding containers and seeding rates. The seedling quality were seeding growth using 162, 200, and 288 trays, and seedings rate was used seedlings produced by sowing 1, 2, 4 and 6 seeds. As a result, 162 trays of seedlings were suitable for use in this study. Plants grown with one seed per cell in individual cells exhibited increased individual growth, but those grown with four seeds per cell exhibited better growth for the whole plant. According to seedling quality, seedlings produced in the 162 trays or with four seeds per cell showed higher growth than other seedlings. In the cultivation of V.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seedling growth increased depending on container capacity for both shoot and root parts. Container material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seedling growth. Seedlings grew the best on horticultural substrate, and showed better growth on mixed soils with high decomposed granite content than on peatm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