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욕창예방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중환자의 욕창 예방 연구 : 욕창 예방 QI팀을 중심으로 (CQI Action Team Approach to Prevent Pressure Sores in Intensive Care Unit of an Acute Hospital Korea)

  • 강소영;최은경;김진주;주미정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0-63
    • /
    • 1997
  • Background : A pressure sore was defined as any skin lesion caused by unrelieved pressure and resulting in damage to underlying tissue. The health care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were reported the incident rate of pressure sores ranging from 6 to 14 %. Intensive Care Unit needed highest quality of care has been found over 40% incidence rate of pressure sore. Also, Annual expenditures for the care of pressure sores in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estimated to be $7.5 billion; furthermore, 50 percent more nursing time is required to care for patients with pressure sore in comparison to the time needed to implement preventive measures against pressure sore formation. However, In Korea, there were little reliable reports, or researches, about incidence rates of pressure sore in health care institution including intensive care unit and about the integrated approach like CQI action team for risk assess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velop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tool and the protocol for prevention of pressure sore formation through CQI action team activities, to monitor incident rate of pressure sore and the length of sore formation for patients at high risk, and to approximately estimate nursing time for sore dressing during research period as the effect of CQI action team. Method : CQI action team in intensive care unit, launched since early 1996, reviewed the literature for the standardized risk assessment tool, developed the pressure sore assessment tool based on the Braden Scale, tested its validity, compared on statistics including incidence rate of pressure sore for patients at high risk. Throughout these activities, CQI action team was developed the protocol, called as St. Marys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Pressure Sore Protocol, shifted the emphasis from wound treatment to wound prevention. After applied the protocol to patients at high risk, the incident rate and the period of prevention against pressure development were tested with those for patients who received care before implementation of protocol by Chi-square and Kaplan-Meier Method of Survival Analysis. Result : The CQI action team found that thes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in incidence rate of pressure sores between patients at high risk (control group) who received care before implementation of protocol and thos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it after implementation of protocol (p<.05). 25% possibility of pressure sore formation was shown for the patients with 6th hospital day in ICU in control group. In experimental group, the patients with 10th hospital day had 10% possibility of pressure sore. Therefor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survival rate between two groups. Also, nursing time for dressing on pressure sore in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as much as 50% of it in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collaborative team effort led to reduced incidence, increased the length of prevention against pressure sore, and declined nursing care times for sore dressing. However, there have ha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The preventive care system for pressure sore should be applied to patients at moderate, or low risk throughout continuous CQI team activities based on Bed Sore Indicator Fact Sheet. Hospital-wide supports, such as incentives, would be offered to participants for keeping strong commitment to CQI team. Also, Quality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incidents and estimating cost of poor quality, like workload (full time equivalence) or financial loss, regularly in a hospital has to be developed first for supporting CQI team activities as well as empowering hospital-wide QI implementation. Being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would be one of the report cards for the CQI team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 of an acute hospital and a trial of quality improvement of health care in Korea.

  • PDF

일산화탄소중독치료(一酸化炭素中毒治療)에 있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Hyperbaric Oxygen Treatment in Acute CO Poisoning)

  • 윤덕로;조수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153-156
    • /
    • 1983
  • 1950년(年) 이후(以後) 무연탄(無煙炭)으로 만든 연탄(煉炭)을 취사(炊事), 난방용(煖房用)으로 가정(家庭)에서 광범위(廣範圍)하게 사용(使用)하게 되면서 연탄(煉炭)가스내(內)의 일산화탄소(一酸化炭素)로 인(因)한 중독사고(中毒事故)가 빈발(頻發)하여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가 되어왔다. 저자(著者)들의 실태조사(實態調査)(1975년도(年度))에 의(依)하면 서울특별시일원(特別市一圓)에 있어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년간발생(年間發生)은 인구(人口), 10만당(萬當) 경증(輕症) 260명(名), 혼수상태(昏睡狀態)의 중증중독(重症中毒) 45명(名), 사망(死亡) 1명(名)으로 위험인구(危險人口)를 3,000만명(萬名)으로 하였을 때 전국적(全國的)으로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추정발생수(推定發生數)는 년간(年間) 경증(輕症) 78만명(萬名), 중증(重症) 13만(萬) 5천명(千名), 사망(死亡) 3,000명(名)으로 그 피해(被害)의 규모(規模)가 100만을 육박(肉薄)하는 가공(可恐)할 수자(數字)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著者)들은 이러한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를 우선(于先) 실천가능(實踐可能)한 제이차예방(第二次豫防)에 역점(力點)을 두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을 보급(普及)할 목적(目的)으로 일인용고압산소장치(一人用高壓酸素裝置)를 개발(開發)하고 1969년(年) 1월(月)에 서울대학교병원(大學校病院)에 고압산소치료실(高壓酸素治療室)을 개설(開設)하여 급성일산화탄소(急性一酸化炭素) 중독환자(中毒患者)에 대(對)한 응급치료(應急治療)를 실시(實施)하여 1978년(年)까지 10년간(年間)의 치료결과(治療結果)를 요약(要約)한바 다음과 같다. 1. 총치료환자수(總治療患者數)는 2,242명(名)이고 회복(回復)된 수(數)는 2,202명(名)으로 98.2%의 회복률(回復率)을 보였다. 2. 계절적(季節的)으로 10월(月)에서 4월(月)까지가 연중최성기(年中最盛期)이나 5월(月)에서 9월(月)까지도 적지않은 환자(患者)의 발생(發生)을 볼 수 있었다. 3. 연령별분포(年齡別分布)를 보면 15세(歲)${\sim}29$세군(歲群)이 전체환자(全體患者)의 반이상(半以上)인 52.7%를 차지하고 있고 $0{\sim}14$세군(歲群)은 인구비(人口比)에 대해 발생(發生)이 훨씬 적은 결과(結果)를 보이고 있다. 4. 도착시간별(到着時間別) 입원율(入院率)은 오전(午前) 10시이후(時以後) 도착군(到着群)서부터는 입원율(入院率)이 급증(急增)하는데 이는 병원도착(病院到着)이 늦일수록 당일회복(當日回復)이 되지못하고 입원가료(入院加療)하게 됨을 나타내주는 결과(結果)라 할 수 있다. 5. 병발증(倂發症)으로는 급성욕창, 폐렴(肺炎) 및 신경학적(神經學的) 이상등(異常等)의 소견(所見)을 많이 볼 수 있었다.

  • PDF

2018년도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와 활용도 조사 (A Survey on Awareness and Availability on Items of 2018 Assistive Devices Distribu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 김정은;박제민;배수영;정남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95
    • /
    • 2018
  • 목적 : 보건복지부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도와 활용도를 조사하고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부산 경남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보조기기 인식도, 보조기기 활용도, 보조기기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구성되었고, 총 68문항이다. 결과 :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중 96.2%가 보조기기는 장애인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도움이 되는 일상생활영역에 대해서는 운동성과 이동하기 영역이 가장 높았고 컴퓨터사용 영역이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인식도에서는 기울어진 숟가락과 두꺼운 손잡이와 식사 보조기기가 가장 높은 반면, 시각 신호표시기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활용도에서는 욕창 예방용 방석 및 커버가 가장 높았고 시각 신호표시기와 음성유도장치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활용빈도에 관한 질문에는 '가끔 한다'가 67.4%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활용계획에 대해서는 '그렇다'라고 응답한 치료사가 77.3%로 가장 많았다. 보조기기 활용도 향상을 위해서는 43.2%가 기관의 재정적 지원, 32.6%가 보험수가 도입, 22.7%가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보조기기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32.6%와 65.2%가 각각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고, 교육유형으로는 38.9%가 전문 영역별 종사자 교육, 27.1%가 재활보조공학 관련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추후 재활보조공학에 관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 케어 요구도 분석 (Survey on the Hospice Care Needs of Hospice Volunteers)

  • 조현;강희숙;김정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55-162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질병 말기 환자에게 호스피스 케어를 제공하는 자원봉사자의 관점에서 본 서비스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 경상남도, 부산시 및 충청남도 지역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교육 수료자로서 호스피스 케어 제공 경험이 있는 자원봉사자인 연구대상 중 88명이 본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에 의해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회귀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 :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기독교 중류가정의 40대 유배우 고졸 여성으로 가족 중 호스피스 경험이 없는 경력 1년 미만의 호스피스 센터에 소속된 사람이었다. 정보영역에서 호스피스 케어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질병과 치료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 필요'에 대한 요구가 정보영역에서, '욕창관리 및 예방'에 대한 요구가 신체적 영역에서, '의료인과 지속적인 관계유지 도와줌'이 정서적 영역에서 그리고 '의료보험 지원 확대를 도와줌'이 사회경제적 영역에 대한 요구도 중 가장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케어 전체 영역 및 신체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 중 호스피스 경험'이, 정서적 영역에서는 '호스피스 경력'과 '가족 중 호스피스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로 예측되었으나 정보영역 및 사회경제적 영역에서는 어떤 변수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가 편의표본을 사용하여 시행되었기에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일반화되어 사용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센터 별 전수조사 혹은 확률표본추출법에 의해 설계된 본 주제와 관련된 조사연구 및 질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