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욕실계획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9초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택의 욕실계획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 권오정;하해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1-144
    • /
    • 2004
  • The Universal Design(UD) is a recent issue related to preserve human dignity, equality and human settlements. This study is aimed at describing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residential bathrooms and in identifying the awareness and needs of adapting the UD concept for residential bathrooms. 570 persons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were used as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wareness of the UD was very low, but that their needs for adapting the UD concept was relatively high.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he UD, followed by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ree types of specific design considerations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were suggested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UD.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The bathroom design guideline considering the usage pattern of Koreans)

  • 이호숭;김미영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47-358
    • /
    • 2010
  • 과거에는 단순한 생리처리 및 위생공간이었던 욕실에 대한 기능이 현대에 들어서는 생활의 활력을 충전하고, 자신만의 욕구와 실현의 공간으로써 활용되는 다기능 공간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의식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새로운 욕구와 변화가 나타나면서 현재 '욕실' 공간에서의 행위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많은 수의 한국인들은 욕실사용에 있어서 서양의 입식(立式) 샤워 방식 외에도 욕조 밖이나 대야 등에 물을 받아 사용하는 등의 욕실사용 행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국인의 독특한 욕실사용행태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한국인의 욕실문화가 고려된 욕실구조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욕실공간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인의 욕실사용 정황과 사용 중에 느끼는 불편함과 종합적 감정 등을 조사하여 욕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며, 욕실 공간계획에 있어서 건강, 위생문제를 해결하는 공간이자, 현대인의 신체특징과 라이프스타일이 반영 가능한 기본적인 설계지침 도출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 PDF

반의존형 휠체어 사용 고령자와 보호자를 위한 욕실평면계획 - 욕실 내 발생 행위를 위한 면적제안을 중심으로 - (The Bathroom Plan for the Impaired Elderly with Caregiver - Focus on the Size of Bathroom needed for Behaviours -)

  • 주한나;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3-15
    • /
    • 2017
  • The study on bathroom plan for the elderly who use wheelchair has been done continuously. However, the elderly's behaviour at the bathroom and consideration for the caregiver has been underestimated. In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more bathroom size is needed for the elderly who use wheelchair and the caregiver based on their behaviours. The study method is as follows: First, behaviours which occur at bathroom were collec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the size neede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elderly and caregiver's movement. Third, the size of bathroom enough for the impaired elderly with caregivers was suggested. The room next to shower booth and bath tub should be expanded for the caregiver. In addition, the room beside the basin should be added as much as $600{\times}600$ to let the caregiver stand and support the elderly when they are needed to wash their hair. As a result, the size of bathroom should be at least planed as follow; $1.3m^2$ more for type A, $1.5m^2$ more for type B, $1.6m^2$ more for type C, and $1.1m^2$ more for type D. As the bathroom is the room that the elderly want to modify for their rest of the lives, the room should be reserved enough from the early stage of design, so that this will make the elderly be possible stay at the place until they want to stay.

한국 노인의 부엌 및 욕실 설비에 대한 적정 치수 조사 (Survey on The Dimension of The Equipment Focus on Korean Elderly of Kitchen and Bathroom)

  • 주서령;이지예;김민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1-232
    • /
    • 2005
  • In the design guideline about the existing elderly house, the equipment related to kitchen and bathroom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ecure and functional aspec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lderly house is being designed according to foreign design guideline or common housing form instead of reflecting living and physical qualities of the korean elderly.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guideline of the existing literature, we made kitchen and bathroom equipments and conducted an experiment in finding proper position and height for korean elderly enough to use the kitchen and bathroom conveniently and independently. Based on the guideline of the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foreign and domestic elderly house, we made Mock-up furnished with the equipments of kitchen and bathroom. The equipments of kitchen consist of sink and shelves to be capable of changing height. The equipments of bathroom consist of different height wash bowls, toilet stools, grab bars, and a bathtub. The study was accomplished by observing and measuring the use of the elderly.

  • PDF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욕실 계획 실태 (A Status of Bathroom Planning of Units in Elderly Housing Facilities)

  • 주서령;이지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5-53
    • /
    • 2005
  • Compared with a lot of comprehensive and alternative studies on elderly housing facilities until now, specialized studies of dimensional and detailed standards have hardly made. Therefore we intends to examine the status of bathroom planning on representative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As the methods of this study, we executed a field study into five representative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We visited each two units out of the outstanding 5 facilities and surveyed the total ten bathrooms. Then we analyzed the space planning of them and the state of bathroom commodities, and measured the bathroom equipment. In addition, we collect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preference, and problems from the residents. As a result, most of the bathrooms had powder rooms and were furnished with bathtubs(4) and shower stalls(6). One or more grab bar and emergency calling system were provided but the heights of the handles were different from each bathroom. The floor material of bathroom should be installed with no-slippery material.

주생활단원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n Elderly Housing Contents in the Housing Chapter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 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교과서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의 주생활단원 노인주거 내용을 5개 내용요소의 67개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술 가정 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11개 항목 중 욕실과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이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욕실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욕실 화장실 바닥 미끄럼 방지 처리,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샤워기 욕조 세면대의 위치와 높이조정)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 높았다. '노인실 계획'의 7개 항목에서는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지침(긴급 통보 장치, 화장실을 가깝게 배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20개 항목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설비 갖추기와 노후기 주거 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항목(긴급 통보 장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3세대 동거 주택'의 11개 항목에서는 안전에 관한 원칙적 내용이나 세대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항목(노인을 위한 주거 안전 고려, 독립성을 보장하는 세대간의 공간 배치, 노인 전용의 욕실 화장실 두기)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25개 항목에서는 욕실 화장실의 안전한 사용이나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항목(욕실 화장실의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휠체어가 회전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대해 제언할 점은 첫째, 여러 내용요소에 공통으로 포함되며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은 4개 항목(긴급 통보 장치,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을 보편적인 노인주거 교육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중점은 욕실 화장실의 안전이 되어야 하며, 셋째, '노인실 계획'의 중점은 화장실의 근접 배치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이 되어야 하며, 넷째,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중점은 안전사고 방지 설비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 및 고령화 대비와 연계되는 내용이 되어야 하며, 다섯째, '3세대 동거 주택'의 중점은 노인 주거 안전과 세대 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내용이 되어야 하며, 여섯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점은 보편적 디자인 지침과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관련법과도 일치하는 내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 PDF

한국 노인에게 적정한 욕실설비 치수에 대한 실험 조사 (Survey on the Dimension of the Bathroom Equipment for the Korean Elderly)

  • 주서령;이지예;김민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65-176
    • /
    • 2006
  • In the design guideline about the existing elderly housing, the equipment related to bathroom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ecure and functional aspec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lderly housing is being designed according to foreign design guideline or common housing form instead of reflecting living and physical qualities of the Korean elderly.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guideline of the existing literature, we made Mockup furnished with the equipments of bathroom and conducted an experiment in finding proper position and height for Korean elderly enough to use the bathroom conveniently and independently. The equipments of bathroom consist of different height wash bowls, toilet stools, grab bars, and a bathtub. As a result, suitable height of wash bowl is 760 mm $\pm{\alpha}$. We can realized that elderly feel comfortable to grab perpendicular bars of toilet stools more than horizontal ones. So it is necessary for elderly to grip perpendicular of grab bars added to prevention slipping and made shape easy to hold. Most of elderly told us that 500 mm of the bathtub setting is suitable. But many other people feel high. So height of the bathtub must be established lower than 500 mm for safety in the bathroom and for convenience.

고령자의 독립성을 고려한 낙상예방 공용욕실 계획 (Apartment Bathroom Design to Prevent Fall for Independence of the Elderly)

  • 조혜연;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3-62
    • /
    • 2017
  •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elderly to maintain their independence and to live safe and comfortable daily lives in order to lead an independent life. The bathroom in the house has the greatest number of fall accidents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throom design method that improves th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whose physical function is deteriorated through preventing falls. In this study,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causes of falling in bathroom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d the intelligent services that can prevent falls and selected them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bathroom size of the apartment among the various housing type, analyzed the type of the bathroom, and developed a standard type of the bathroom. Thirdly, we analyzed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elderly residents in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directions. We also divided the intelligent sanitary appliances and fall-prevention products and proposed the installation method and directions. Therefore, the comprehensive bathroom design standards and proposal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bathroom design to prevent falls and improv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and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and help the designer in designing.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ndependence of the elderly through fall prevention and increases the easiness of hygiene action and suggests direction to maintain self-sustaining life of the elderly.

산학협동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욕실공간 샤워시스템 개발연구 (Design Development of Shower system for Bathroom through Design Support Program based upon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 김국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49-156
    • /
    • 2002
  • 산학 연계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통하여 산업체는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 학교의 전문 인력은 관련 지식 및 정보와 기술의 사회 환원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나아가서는 국가 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산업체 요구에 합당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주문식 교육체제 구축이 되는 결과물의 교육과정 적용으로 학습효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신지식 기반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정부 산하 관련 단체의 적극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각 대학에서도 활발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 주거 공간 내 욕실 공간을 위한 샤워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업체의 디자인 개발의지를 반영하여 중소기업청의 산학 협동 연구 개발 사업 지원을 통하여 실질적 제품 개발이 이루어진 산학 연계 지원 체제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근거하고 있다. 연구 개발을 위하여 욕실 공간의 개념과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변화하는 욕실의 구성과 목욕 문화에 따른 개발 계획을 세우고 실내 공간 트랜드를 적용하여 제품 경쟁력을 갖는 신제품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결과물의 피드백을 통한 정보활용이 이루어지는 실용적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산학 협동 신제품 개발을 통하여 현장 중심 교육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신지식 기반을 구축하여 사회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