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인 복원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ement of Restoration Path Tracking Model for Urban Stream (도시하천 복원경로 추적모형 개발)

  • Lim, Yong-Ho;Eom, Jeong-Seob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5-110
    • /
    • 2007
  • 도시가 성장하면서 도시내의 소하천은 복개되거나 사라져 다른 용도로 토지가 이용되어 도시내의 수공간 부족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도시의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면서 기존에 복개되었던 하천을 복원하려는 사업이 많이 진행이 되고 있으나 도시화과정에서 사라진 소하천을 복원하는 사례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도시화 과정에서 사라진 도시내 소하천을 추적하고 이를 복원할 때 현실적으로 가장 적절한 경로를 찾을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GIS기법으로 사라진 하천의 경로추적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1:1,000 수치지도상의 고도 Point자료를 이용하여 DEM을 만들고 GIS의 공간분석기능으로 사라진 도시내 소하천을 추적하고 그 결과를 고문헌에 의한 구하도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DEM으로부터 추출된 하천의 경로가 고문헌에 의한 하천경로와 많은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되어 GIS로 사라진 소하천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음이 평가 되었다. 찾아진 소하천을 복원하고자 할 때 복원경로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데 GIS를 이용하여 고도, 토지이용상태, 지가를 동시에 고려한 최적 복원경로를 추적하는 모형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환경도시를 계획하고 있는 기존의 도시에서 사라진 하천을 찾아내고 이를 복원할 때 가장 이상적인 경로를 찾는데 기여하여 쾌적한 환경도시를 만드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평가됨.

  • PDF

Study on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of River Disturbance (하천교란 평가기법 연구)

  • Kim, Ki-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33-637
    • /
    • 2007
  • 하천환경 복원사업이나 자연형하천 정비사업의 근본 목표는 그 하천 고유의 하천경관이나 생태계 등 특성을 회복(Rehabilitation)시키거나 복원(Restoration)하는 것이다. 현재 이 치수기능 확보를 위한 댐 보의 건설, 하천정비 및 골재채취 등 하천의 인공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하천 및 하도의 물리, 화학,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하천의 인위적 교란은 요인, 규모, 빈도 및 강도는 다르지만 하천생태 서식처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변형, 변질되어 하천생태계가 변화, 단절, 절멸되는 심각한 상태가 빈발하고 있다. 하천교란(River disturbance)은 요인에 따라 유량 및 유사량 변화, 하상변동, 하도준설, 인공호안, 생태통로 차단 등 하천의 물리적 환경 변화를 초래하고, 그에 따른 영향으로 생물종의 감소 및 단순화, 개체수 감소 등과 같이 하천 생태계가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하천의 교란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또한 표준화된 평가체제가 구축되어 있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복원에 대한 의식 보급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교란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하천교란평가기법 개발을 위한 전단계로서 일본의 하천수변 국세조사, 영국의 River Habitat Survey, 호주의 River Assessment System, 미국의 Stream Corridor Restoration 등에서 제시하는 하천모니터링 및 평가체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외국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천교란 요인을 하천정비, 댐건설, 골재채취로 유형화하고 교란요인별 조사해야 할 물리적 인자로서 유량, 유사량, 하도 제원, 특징적 내용, 하도형상, 여울과 소, 점사주, 인공구조물, 제방 호안의 재료 및 특징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으며, 생태계 인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 PDF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Function and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대장암환자 치료와 신체기능과의 관련 요인)

  • Lee, Seong-R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915-918
    • /
    • 2010
  • 본 연구는 대장암환자 치료와 신체기능과의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2009년 12월 15일부터 2010년 1월 30일까지 한 종합병원 외과에 내원한 대장암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치료시점과 신체기능과의 관련요인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방사선치료 시기 및 장루유무 등과 신체기능과의 요인은 t-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치료시점은 성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482, p<0.05), 둘째, 오심구토, 식욕저하, 치료부작용은 복원수술 전, 성기능은 복원수술 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셋째, 장루유무의 경우 성적만족은 장루가 없는 경우가 63.40점으로 장루가 있는 경우의 45.69점 보다 높은 반면 배뇨문제에서는 장루가 있는 경우가 28.17점으로 장루가 없는 경우의 14.69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편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t=1.548, p<0.05). 결론적으로 대장암 환자 치료의 신체기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능상태와 증상불편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청계천 유역 지하수 모니터링을 위한 자료 구축 및 관리 방안

  • Park Jong-Cheol;Jang Se-Jeong;Kim Yun-Yeong;Hyeon Yun-Jeong;Lee Gang-Geu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37-440
    • /
    • 2005
  • 서울시는 복개천이었던 청계천을 복원하여 도심지를 통과하는 하천을 만들기 위해 청계천 복원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청계천 복원 공사 구간을 포함하는 유역에는 서울시 지하철 1, 2, 4, 5, 6호선 등이 통과하고 있으며, 도시 내 비수시설, 하수관거시설 등 자연적인 수문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위적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때문에 청계천 복원 공사 후 유역내의 여러 요인들과 공사의 정도에 따라 누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 후 청계천에서의 누수율에 대한 측정은 공사의 성공여부를 결정하고, 향후 지속적인 누수가 예상되는 청계천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계천의 손실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지하로의 누수에 대한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누수율을 측정하고, 누수율과 주변 요인들과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수문모델링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수문모델링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청계천 유역에서의 지속적인 수문관련 인문 자연자료를 획득하여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복원 공사 구간의 유역에 대한 인문 자연자료를 GIS(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도면과 속성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럼으로써 청계천 주변 유역에 대한 도시형 수문 모델링 연구에 활용하고, 아울러 공사 후 지속적으로 누수율을 측정하는데 자료를 원활히 제공하여 청계천의 유지 보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of the Hantan Dam Reservoir (한탄강 댐 저수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 산정)

  • Gang, Hyeong-Sik;Bang, Seok-Bae;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7-517
    • /
    • 2017
  • 본 연구는 저수지 주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를 산정하여 댐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 모델 고려 인자로는 고도, 경사 및 각과 같은 물리적 요인, 산림 지형, 식생 유형, 연령층, DBH 등급과 같은 초목 요인들, 그리고 생태 자연상태, 식생 보존 분류 및 야생 생물 출현 지점과 같은 서식지 요인을 이용하였다. 각 요소의 생태학적 기능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정량화하여 개발된 모델은 한탄강 댐 저수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댐 건설 이전의 생태 가치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댐 건설 이후에 물리적 요소는 83.9, 초목요소는 92.4, 그리고 서식처 요소는 84.5로 저하되었다. 전반적인 생태 가치는 건설 후 86.9 %, 13.1 % 감소하였다. 또한, 평가 요소를 쌓은 방법을 통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댐 저수지에 생태 복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Factors of Obstacles to Growth of Planted Trees in the Gimcheon Jakjumgogae of Baekdudaeg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Site (김천 작점고개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 내 식재수목의 생육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Su-Jin;Park, Hyun-B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4
    • /
    • pp.422-432
    • /
    • 2022
  • Soil and micro-climatic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actors causing tree growth impediments at the Baekdudaeg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si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trient supply was insufficient in the restoration project site due to the lack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soil compared to the surrounding fores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 the soil moisture in the autumn decreased more than 7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forest,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soil moisture was significantly low due to the lack of silt and clay content.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site, the annual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as analyzed to be 975mm, which is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forest. The soil moisture of the restoration site in the summer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daytime when the amount of insolation increased and this was foun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factors affecting the tree growth at the Baekdudaeg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site,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mooth supply of nutrients and water to plants by improving physical proprietie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i.e., using litterfall, humus soil, soil conditioner and organic fertiliz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Study on Cause Analysis of Capsizing Accident in Fishing Boat No. 66 Poongsung (어선 제66풍성호 전복사고 원인분석에 대한 연구)

  • Lee, Li-Na;Lee, Chang-Hyun;Ohn, S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955-964
    • /
    • 2022
  •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maritime accidents statistics that have occurred in Korea over the past five years, maritime accidents caused by fishing boats have increased every year from 1,646 in 2016 to 2,100 in 2020. In particular, of the 378 capsizing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in the past five years, 252 capsizing accidents of fishing boats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of 66.7%, therefore,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capsizing accident of fishing boat No. 66 poongsung, data such as stability and seawater inflow routes were collected, and the effects of waterproof, additional wood decks, and windbreakers on stability on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dditional decks, windbreakers, and waterproof installed in No. 66 poongsung cause initial list, deteriorate stability, and fail to meet fishing boat structural standard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tability was weaken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ll shape of No. 66 poongsung. To estimate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the accident,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the working in the fishing ground condition, amount of seawater inflow according to the change in sea conditions, hull oscillation situation, and change in stability due to the hull factor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minimum GoM was satisfied at the time of working in the fishing ground, but it could not be restored at the maximum wave height of 4 m, and the minimum GoM was not satisfied at the maximum wave height of 4 m owing to the influence of seawater inflow and oscillation due to the hull list. However, the minimum GoM was satisfied if additional decks and windbreakers installation was excluded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No. 66 poongsung.

Automatic Film Line Scratch Removal System using Spatial Information (공간 정보를 이용한 오래된 필름에서의 스크래치 제거 시스템)

  • Ko, Eun-Jeong;Kim, Kyung-Tai;Kim, Eun-Y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5 no.6
    • /
    • pp.162-169
    • /
    • 2008
  • Film restoration is to detect the location and extent of defected regions from a given movie film, and if present, to reconstruct the lost information of each regions. It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by many researchers, to support multimedia service of high quality. Among artifacts, scratch is the most frequent degradation. In this paper, an automatic film line scratch removal system is developed that can detect and restore all kind of scratches. For this we use the spatial information of scratches: The scratch in old films has lower or higher brightness than neighboring pixels in its vicinity and usually appears as a vertically long thin line. Our systems consists of scratch detection and scratch restoration. The scratches of various types are detected by neural network based texture classifier and morphology-based shape filter and then the degraded regions are restored using bilinear interpolation.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t has been tested with all kinds of scratches, and the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robust to various scratches and efficient to apply a real film removal system.

Automatic Film Restoration Using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 (분산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필름 복원)

  • Kim, Byung-Geun;Kim, Kyung-Tai;Kim, Eun-Y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2
    • /
    • pp.1-9
    • /
    • 2009
  • In recent years, a film restoration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by many researchers, to support multimedia service of high quality. In general, an old film is degraded by dust, scratch, flick, and so on. Among these, the common factors are scratch and blotch, so that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ed to restore these degradations. However, the methods in literature have one major limitation: A method is working well in dealing with scratches, however it is poorly working in processing the blotches. The goal of this work is to develop a robust technique to restore images degraded by both scratches and blotches. For this, we use MRF-MAP (Markov random field - maximum a posteriori) framework, so that the restoration problem is considered as the minimization problem of the posteriori energy function. As the minimization is one of complex combinatorial problem, we use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s (DGAs) that effectively deal with combinatorial problems. To asse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tested on natural old films and artificially degraded fil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methods. Then,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other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