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오드화메틸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고진공 상태에서 니트로벤젠과 m-크실렌용액중 요오드화갈륨과 1-요오드화프로판과의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of Gallium Iodide with n-Propyl Iodide in Nitrobenzene and m-Xylene on High Vacuum)

  • 김영철;구덕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1-307
    • /
    • 1991
  • 니트로벤젠 및 m-크실렌 용액내에서 1-요오드화프로판의 용해도를 8$^{\circ}$, 15$^{\circ}$및 25$^{\circ}C$에서 요오드화칼륨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의 두 경우에 대하여 각각 측정하여 보았다. 요오드화칼륨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m-크실렌에서 1-요오드화프로판의 용해도가 니트로벤젠에서 보다 크다. 이것은 1-요오드화프로판과 m-크실렌의 상호작용이 니트로벤젠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요오드화칼륨이 존재할 경우에는 용액내에서 1-요오드화프로판과 요오드화칼륨이 불안정한 착물이 생성된다. 이 착물을 여러 경우로 가정하여 계산하여 본 결과 1:1 착물일 때, 불안정 상수 K값이 비교적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1:1 착물 n-C$_3H_7I{\cdot}GaI_3$가 형성됨을 알았으며, 이 착물은 용액내에서 다음 평형식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고 본다. n-C$_3H_7I{\cdot}GaI_3{\rightleftharpoons}n-C_3H_7I+1/2Ga_2I_6$ 요오드화칼륨과 1-요오드화프로판의 착물의 불안정도를 이와 대응하는 요오드화메틸과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이 착물의 해리에 대한 엔탈피, 자유에너지 및 엔트로피 변화도 산출하였다.

  • PDF

포리메틸페닐실란계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과 구조 특성 (Synthesis of Doped Polymethylphenylsilane Conductive Polymers and their Structure Characteristics)

  • 양현수;강필현;김정수;류해일;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54-962
    • /
    • 1996
  • 측쇄가 메틸, 페닐 혹은 이들이 혼합된 구조인 4종의 폴리실란계 고분자를 합성하고, 이어서 이들에 요오드를 도핑하여 변형된 폴리실란/$I_2$ 고분자들을 얻었다. 그들의 구조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FT-IR, UV/VIS, TGA/DTG,DSC,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관찰하였다. FT-IR 스펙트럼들에 의하여 원하는 측쇄를 함유한 폴리실란계 고분자의 합성을 확인하였다. 열분석에 의하여 측쇄그룹이 메틸기에서 페닐기로 치환됨에 따라 열안정성이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 UV/VIS 분석에서는 메틸기의 치환체에서 나타나는 350nm의 실리콘 결합의 ${\sigma}-{\sigma}*$ 전이는 페닐기가 치환되면서 장파장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는 ${\pi}$ 전자의 비편재화에 의한 띠간격의 감소가 발생함을 나타내었다. 요오드로 도핑된 고분자들은 도핑되지 않은 고분자들에 비하여 다단계의 열분해가 일어나며 잔기의 함량도 높았다. 전도도는 폴리실란 고분자에서는 $10^{-5}S/cm$ 범위의 값을 가지고 도핑 폴리실란에서 $10^{-4}S/cm$ 범위의 값들을 나타내었다.

  • PDF

폴리메틸벤젠과 할로겐 사이의 전하이동착물 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제3보) (The Thermodynamics of the Formation of Polymethylbenzene-Halogens Charge Transfer Complexes (III))

  • 권오천;경진범;김정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351-360
    • /
    • 1981
  • 듀렌과 요오드, 브롬, 일염화요오드 및 일브롬화 요오드와의 각계를 사염화탄소 용액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C_6H_2(CH_3)_4{\cdot}X_2$$C_6H_2(CH_3)_4{\cdot}IX$형의 전하이동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X는 할로겐원자). 이들 착물생성에 의한 흡수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온도에서의 평형정수를 구했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생성에 대한 ${\Delta}H$, ${\Delta}G$${\Delta}S$등의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각 온도에서의 듀렌과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ICl>IBr>I_2>Br_2$ 이 순서는 듀렌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의미하며 할로겐 분자의 편극율 및 할로겐 원자의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와 전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폴리메틸벤젠과 요오드와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Benzene

  • PDF

폴리메틸벤젠과 할로겐 사이의 전하이동착물 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제2보) (The Thermodynamics of the Formation of Polymethylbenzene-Halogens Charge Transfer Complexes (Ⅱ))

  • 권오천;김정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84
    • /
    • 1981
  • 메시틸렌과 요오드, 브롬, 일염화요오드 및 일브롬화요오드와의 각 계를 사염화탄소용액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C_6H_3(CH_3)_3{\cdot}X_2$$C_6H_3(CH_3)_3{\cdot}IX$ 형의 전하이동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 (X는 할로겐원자). 이들 착물생성에 의한 흡수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온도에서의 평형상수를 구했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생성에 대한 ${\Delta}H$, ${\Delta}G$${\Delta}S$ 등의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각 온도에서의 메시틸렌과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ICl > IBr > $I_2$ > $Br_2$ 이 순서는 메시틸렌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의미하며 할로겐분자의 편극율 및 할로겐원자의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와 전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폴리메틸벤젠과 요오드와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Benzene

  • PDF

Tetramethyltin과 Iodine 사이의 Iododestannylation에 대한 압력의 영향 (The Effect of Pressure on the Iododestannylation between Tetramethyltin and Iodine)

  • 권오천;이영훈;전인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50-355
    • /
    • 1995
  • 요오드와 테트라메틸주석간의 전하이동에 따른 상호작용을 사염화탄소 용매내에서 분광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일시적인 전하이동 착물의 흡수 스펙트 럼(${\lambda}_{max}=270nm$)이 관찰되었으며, 흡수스펙트럼의 후속적인 감소현상으로 요오드에 의한 테트라메틸주석의 분해반응임을 알았다(iodoedestannylation). 따라서 Iodoedestannylation에 대한 속도 상수를 온도 10, 25 및 $35^{\circ}C$ 압력을 1200 bar까지 변화 시켜가면서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반응속도상수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증가함을 알았다. 이 반응속도 상수로부터 ${\Delta}V^{\neq},\;{\Delta}{\beta}^{\neq},\;{\Delta}H^{\neq}$${\Delta}S^{\neq}$의 값을 구했으며 이들 값으로부터 전이상태의 용매구조 변 화 및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본 반응은 $S_F2$ 메카니즘이 지배적 이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S_F2$의 성격이 약화됨을 알았다.

  • PDF

솔라논의 합성 (A Synthesis of Solanone)

  • Yong Tae Kim;Kwang-Kyu Yang;Kun Soo Kim;Sung Chul Shin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7-139
    • /
    • 1988
  • 담배의 중요 향기성분인 솔라논에 관한 전체합성이 시도되었다. 출발물질인 4-시아노-2-이소프로필부탄알을 금속 주석, 알미늄 및 브롬산의 존재하에서 요오드화 메탈릴로 처리하고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리드와 반응시킨 다음 메틸화 함으로써 좋은 수득률로 솔라논을 합성하였다.

  • PDF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케톤의 탈케탈화 (반응) 의 연구 (A Study on Deketalization of Rigid ${\beta}$-Aminoketones)

  • 김정균;이용태;윤웅찬;조인섭;문성환;한선홍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57-566
    • /
    • 1988
  • 구조 형태가 고정된 ${\beta}$-아미노 케탈의 탈케탈화 실패요인으로서, 반응 중간체의 정전기적 반발, 구조상 특징에 의한 전이상태의 각스트레인의 증가, 그리고 고정된 구조형태에서 오는 물분자의 $SN_2$ 형태공격의 입체적 차단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그들 요인의 중요성을 분리 평가하였다. 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아민, N-(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아세트 아미드, 그리고 트리메틸-2-에틸렌디옥시-1-아세나프테닐암모니움 요오드를 합성하여 그들의 탈케탈화 반응을 검토함으로서 이중 양이온의 정전기적 반발요인에 의한 실패요인 정도를 평가하였다. ${\beta}$-아미노기에 전자흡인기인 아세틸기를 넣어 아미노기의 양성자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탈케탈화를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정전기적 반발요인이 ${\beta}$-아미노 케탈화의 탈케탈화 방해요인으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구조상 특징에 의한 방해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구조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beta}$-아미노케탈, 2-아미노-1-에틸렌디옥시아세토페논과 아미노아세탈, 디메틸 아미노 포름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과 2-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의 탈케탈화 및 탈아세탈화 용이도를 검토한 결과 용이하게 탈아세탈화되었다. 이 결과는 구조상 특징에 의한 요인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 PDF

붕산메틸,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이 메탄올의 Co-60 放射線分解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thyl Borate, Iodine and Potassium Iodide on the Radiolysis of Methanol by Co-60 Gamma Rays)

  • 최상업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6-109
    • /
    • 1965
  • 메탄올의 Co-60 ${\gamma}$放射線分解反應의 기체 생성물을 기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정량하는 방법으로 이용함으로써 $B(OCH_3)_3,\;I_2$ 및 KI의 共存이 室溫에서 메탄올의 ${\gamma}$放射線分解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재검토하였다. $B(OCH_3)_3$이 존재하면 $(CH_2OH)_2$의 收得率은 상당히 감소하고 $H_2$$CH_2O$의 收得率은 조금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I_2$가 존재하면 $H_2,\;CH_2O$$(CH_2OH)_2$의 收得率은 현저히 감소하지만 $CH_4$의 收得率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KI가 共存하면 $H_2$$(CH_2OH)_2$의 收得率은 감소하지만 $CH_2O$의 收得率은 증가한다. 위의 어떤 경우에도 미량생성물의 收得率은 거의 변화지 않는다.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메탄올의 放射線分解反應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 PDF

Methyl Bromide를 대체하는 훈증 가스의 문화재 재질 안정성 평가 (The Stability Appraisement on Cultural Property Material with the Replacing Fumigation Gas of Methyl Bromide)

  • 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3-291
    • /
    • 2009
  • 현재까지 문화재 훈증제로서 사용되어왔던 브롬화메틸(Methyl Bromide, 이하 M.B)은 온실 가스로 지구 오존층 파괴의 원인물질로 판명되어,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선진국에서는 2005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또한, 2007년 발리 협약에 의해 우리나라도 점진적으로 사용 규제가 예상되므로, 본 실험에서는 Methyl Bromide를 대체할 Ethylene Oxide + HFC 134a, Methyl Iodide, Cyanogen, Argon 훈증법이 금속(은, 구리, 철), 목재(미송), 안료(황, 장단, 양청, 백분, 먹), 섬유(삼베, 모시, 황마, 도침 비단, 비도침 비단 / 쪽, 황벽, 홍화 염색), 지류(닥지 4종, 중성지 1종) 시편 재질에 미치는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훈증 실험 결과, Ethylene Oxide + HFC 134a가 훈증 전, 후 실험 시편의 중량, 색도 변화 등에 가장 영향이 없었다. 표면변화는 지류와 금속시편에서 부분적으로 변색이 발생하였다. 색도변화는 대부분의 시편에서 0.5에서 1.5내외의 근소한 색차를 나타내었다. Methyl Iodide는 훈증 전, 후 중량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변화는 대부분의 실험시편에서 1.0 이상의 색차를 나타내었다. 특히, 염색된 대부분의 섬유시편에서 비교적 큰 색도변화가 나타났다. 표면변화는 양청안료시편에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변색이 관찰되었다. Cyanogen은 훈증 전, 후 실험 시편의 중량변화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변화는 전반적으로 실험시편에서 1.5이상 정도의 색차를 보였다. 특히, 섬유시편의 변색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rgon으로 훈증한 실험시편은 중량변화가 3~6% 내외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변화는 지류시편에서 부분적으로 변색이 발생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색도변화는 2주 훈증 조건에서 홍화와 황벽으로 염색한 황마시편이 6.3, 6.0의 현저한 색차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