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현적 행위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에 매개효과

  • 최필열;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70
    • /
    • 2022
  • 최근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부터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지능화, 다양화되고 범죄와 폭력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의 절도, 사기, 장물, 횡령 등과 같은 초범의 재산 범죄가 44.8%(2015)에서 45.1%(검찰청, 2020), 언어 및 신체의 학교폭력 피해자가 45.2%(2015)에서 54.1%(교육부, 2021)로 나타나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심각한 실정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의 범죄와 폭력은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수행과 목표 달성의 도구적 행위이며 고위험군의 외현화 문제행동이다(Cornish & Clarke, 2002). 외현화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조절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 9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 25.0과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1.871, p<.001). 둘째,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F=111.594, p<.001).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방 및 감소, 초기 부적응심리도식의 완화를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사용자 심리적 연상에 의한 제품형태 접근 방법에 관한연구 -암묵기억과 외현기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roach Method of Product Form by User Mental -Concentrated on Implicit & Explicit memory-)

  • 안철홍;정도성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7-36
    • /
    • 2002
  • 본 연구는 경험에 의한 기억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기초적 연구와 접근방법을 모색하여, 제품의 형태의 구축단계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예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억에 의한 디자인 행위와 관련하여 향후연구과제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목격을 두었다. 첫째, 인간의 기억과 형태에 대한 학문적,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본 연구에 필요한 기억의 유형과 사물에 대한 인지과정을 이론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둘째, 실험과 분석을 통해 사물에 있어서의 느껴지는 형태가 무엇인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반응을 알아보고 그 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제품에서 느끼는 형태의 연상으로, 암묵적/외현적 반응에 대한 요소(설문과 컴퓨터 실험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를 추출하고, 분석된 요소들을 칼융의 심상구분인 보편적 지식과 현실 기억, 그리고 잠재기억과 원시심상으로 구별하여, 형태심상 및 대별 사용자 심상이 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 정의하였다. 셋째,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암묵적/외현적 반응에 대한 요소 특성의 디자인 활용가능성과 통한 접근방법을 예시하고, 결론과 아울러 향후 연구되어질 과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생의 건강지각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Health Perception on Health Belief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 이종복;김도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9-13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경기도 소재 대학의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은 문항분석과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 파악을 위해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간의 인과효과를 위한 경로분석은 다양한 적합도 지수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모형에 포함된 모든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든 경로계수에서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건강지각과 지각된 장애, 지각된 장애와 건강증진행위에서는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외된 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와 관련한 외현적 타당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만성통증환자의 통증연관 행위를 이용한 통증척도의 민감성 및 타당성 조사 (Sensitivity and Validity Test of Pain Rating Scale Using Pain Behavior of Adult Patients with Chronic Pain)

  • 이은옥;이선옥;임난영;최순희;김달숙;김순자;한윤복;김주희;김광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6
    • /
    • 199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1) to evaluate validity of a pain rating scale using the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Pain Rating Scale(KPRS), Short -Form KPRS(SKPRS) and the Graphic Rating Scale(GRS). 2) to identify sensitivity of the scale using pain behavior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Of the 2025 patients with chronic pain who visited the orthopedic and neurosurgical out - patients departments of 11 university hospitals in various districts of Korea, 520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by mai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pain score measured by the KPRS was 444,85 : the mean sensory score was 209.47, the mean affective score, 147.63 and the mean miscellaneus score. 87.75. The mean pain score measured by the GRS was 20.11 : the mean sensory intensity score, 10.54. and the mean distress score, 9.57. 2. The average number of hours of rest during the day was 3.3, the average score of discomfort in carrying out ADL was 99, the average frequency of pain relieving practices was 3.0, the average number of pain sites was 3.6. 3. The most sensitive scale to differentiate each group was the GRS, the KPRS and SKPRS were less sensitive than the GRS. 4. The intercorrelation between the KPRS total score and the GRS score(.500) as well as that of the SKPRS score were highly correlated(.652), but intercorrelation between the SKPRS score and the GRS score(.172) was not high.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KPRS must be studied further to obtain validity.

  • PDF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 I ; 인터서브젝트(Intersubject)와 인터랙션(Interaction) 요인의 세부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in the Interactive Space I ; Focus on the Analysis of Intersubject & Interaction Factors)

  • 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52-164
    • /
    • 2010
  • 현대에 주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상호작용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성 영향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를 수용하는 사용자 중심적인 공간디자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주제로 수행될 3편의 연계논문 중 첫번째 연구이다. 디자인의 기본 관련영역을 기반으로 설정한 분석지표(시스템영역, 사용자영역, 관계영역)에 의거하여 상호작용성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성의 첫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을 위한 접속의 장인 인터페이스로 분석되었다. 이의 세부유형 분석은 연계연구 II 편의 연구과제이다. 두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발생 주체인 인터서브젝트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사용자의 상호작용 욕구의 측면에서 파악되어 기능적 & 조형적욕구, 외현 & 잠재 욕구, 정보커뮤니케이션 & 공감 욕구의 6개 세부유형이 분석되었다. 세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실제 수행과정인 인터랙션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상호작용 행태 프로세스의 측면에서 파악되었고 접속, 몰입, 심성모형 형성, 상호작용 행위, 변형, 경험적 발생의 여섯 단계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