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부소음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6초

고속철도차량의 터널 소음을 위한 차음 전략 (Sound Insulation Strategy for the Tunnel Noise in a High Speed Train)

  • 김석현;이호진;김정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15-322
    • /
    • 2012
  • 터널 내에서 고속철도 차량의 실내소음은 개활지 대비 5dB~7dB정도 증가한다. 그 원인은 터널 내 차체 외부의 음향 인텐시티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인데, 특히, 측면재의 외부에서는 개활지에 비해서 음향 인텐시티의 증가가 가장 크다. 따라서 터널 내에서는 차체의 측면을 통하여 음향파워의 투과 전달이 커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차세대 고속 철도차량의 터널 내 실내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차음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차체의 주요 차음재인 바닥 적층재, 측면 적층재 및 복층 유리창의 시편을 제작하여 ASTM E2249-02에 근거하여 투과손실 측정한다. 측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음 성능상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차음성능 향상을 위한 층별 개선 방안과 적층 구조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재택근무 경험자의 실내환경 인식: 음환경을 중심으로 (Remote wor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erception of indoor environment: a focus on acoustic environment)

  • 박상희;신혜경;김경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27-636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 인구는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였고, 이 중 하나가 재택근무의 증가였다. 앞으로도 언제든 감염병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배경으로 인해 재택근무의 확대가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재택근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존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재택근무 경험자를 대상으로 실내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특별히 재택근무 경험자의 음환경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주택 내에서 근무할 때 경험하는 음환경 인식에는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응답자 개인의 어떠한 변수가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해당 조사를 통해 동거인 수, 방 개수와 주택 면적, 개인의 소음민감도에 따라 재택근무 시 외부소음, 이웃소음, 동거인소음을 인식하는 경향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주거용도뿐만 아니라 업무 및 학습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주택 설계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장실험을 통한 학교교실의 벽체 차음성능 및 측로전달소음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walls and flanking noises in classrooms using field measurements)

  • 류다정;박찬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29-337
    • /
    • 2017
  • 미국과 영국에서는 교실의 적정한 음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잔향시간 및 배경소음에 대한 기준이 수립되어 있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건축계획방법 및 실내마감재 적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학교 교실의 배경소음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에 기초가 되는 교실 벽체의 차음성능에 대한 실태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실의 실내외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청주시 소재 중학교 2개소의 외부벽체와 실간벽체의 구조를 조사하였다. 실내외 벽체의 차음성능 및 측로전달소음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투과손실, 가중 표준화 음압레벨차, 음향 감쇠 계수, 신호대잡음비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간벽체의 경우 건식벽으로 건립된 학교의 차음성능이 습식벽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중고파수대역에서 높은 차음성능을 나타내었다. 외부벽체의 경우 각 학교 별로 차음성능을 비교하였을 때 단창을 이중으로 배치한 학교보다 복층유리를 사용한 학교의 성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로전달소음의 경우 창문을 모두 개방하거나 복도 측 창문과 문을 연 경우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내부 소음에 의해 학생이 음성전달에 방해를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ES와 FW-H 음향상사법을 이용한 탠덤 실린더의 공력소음 특성 연구 (A Numerical Study on Aerodynamic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Tandem Cylinders using DES and FW-H Acoustic Analogy)

  • 김만식;이윤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883-89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랜딩 기어와 유사한 형태의 탠덤 실린더에 대해 DES (Detached Eddy Simulation)와 FW-H (Ffowcs Williams and Hawkings) 음향상사법을 이용한 전산공력 소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린더 중심 간 거리 3.7D 조건에 대한 전산공력소음해석 결과를 탠덤 실린더를 지나는 외부 유동 특성 및 원거리 소음을 계측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전방 실린더의 상/하부에서 발생한 와류(Vortex)가 특징적인 주파수를 갖고 후방 실린더에 충돌하면서 소음 발생원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 와 FW-H 음향상사법을 이용한 전산공력소음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전방 실린더의 후방에 분할판을 적용한 경우의 전산공력소음해석을 수행하였다. 전방 실린더의 후방에 분할판이 적용되면 전방 실린더의 상/하부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특징을 변화시키고 이극자 소음원 크기를 감소시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엔진 흡기계의 소음발생 및 전파에 관한 수치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Intake Noise in the Reciprocating Engine)

  • 김용석;이덕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기술회관, 8 Nov. 1996
    • /
    • pp.65-70
    • /
    • 1996
  • 엔진소음을 소음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공력소음(Aerodynamic Noise), 연소소음(Combustion Noise), 기계적인 소음(Mechanical No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배기계소음(Exhaust System No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배기계소음(Exhaust System Noise), 흡기계소음(Intake System Noise), 냉각계소음(Cooling System Noise), 엔진표면소음(Engine System Noise)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소음중 엔진 내부의 유동에 의한 흡배기계통으로의 소음방출은 자동차 실 내외 소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 그 동안 소음기 등의 서브시스템의 형태와 그 위치조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이 비용 또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질적인 소음원을 규명해 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흡배기계의 소음은 엔진의 흡입, 배기행 정시 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팽창 및 압축파 형태의 압력파(pressure wave)로 발생하게 되고, 밸브근방에서는 유동의 박리(separation)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소음기 등의 서브시스템에서도 유동의 박리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특히 배기행정시 발생하는 압력파는 비선형영역에 있게된다. 흡기소음은 배기에 비해 그 크기가 작아서 그동안 등한시 되어왔으나 이것이 소비자의 불평요인으로 작용하므로써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어야 한다. Bender, Bramer[1]는 흡배기계 소음의 외부 방사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기술하였고 Sierens등[2]은 흡기계에서 1차원 MOC(Method of Characteristics)방법으로 비정상 유동해석을 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J.S.Lamancusa 등[3]은 흡기 소음원을 실험을 통해 예측하였고, 흡기소음도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고 밝혔다. Yositaka Nishio 등[4]은 새로운 흡기실험장치를 고안하여 공명기(resonator)의 위치 변화에 의한 저소음 흡기계를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적용하려 하였다. 일반적으로 흡배기계의 복잡한 형상 때문에 대부분 실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고, 수치해석은 피스톤의 운동을 배제한 단순화한 흡배기계의 정상상태 유동해석이 주를 이루어왔다. Taghaui and Dupont 등[5]은 KIVA코드를 사용하여 흡기포트와 연소실 그리고 밸브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한 수치해석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밸브의 운동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한 이동격자는 격자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 격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서 밸브의 완전개폐를 해석할 수가 없다. 강희정[6]은 단일 실린더와 단일 배기밸브를 갖는 문제로 단순화하여 피스톤과 밸브의 움직임을 고려하므로써 배기행정 후 소음이 어떻게 전파해 나가는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최소밸브간격과 최대밸브간격 사이에서만 계산이 가능하나 흡기의 경우는 밸브가 닫힐 때 생기는 압력파가 중요하므로 실린더와 밸브사이에 벽면조건을 주어 밸브의 개폐를 모사하였다.

  • PDF

노이즈맵핑을 활용한 도로변 아파트단지의 세대외부소음 및 옥외지면소음 특성 분석 (Analysis of Building Facade Noise and Ground Noise in a Roadside Apartment Complex through Noise Mapping)

  • 신혜경;김명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75-283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noise exposure of roadside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The facade noise level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the ground noise level inside apartment complexes were predicted and analyzed using noise mapping based on a computerized noise model.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se noise lev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such as traffic volume, building coverage, the number of adjacent roads, etc. was done in a total of 21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showed that building facade noise level and ground noise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ffic volume (correlation coefficient, r=0.616~0.623) and the number of adjacent roads (r=0.340~0.496).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ilding coverage (r=-0.413~-0.477) and complex area per the number of roads (r=-0.478~-0.615).

보행과 표준중량충격원의 충격력 및 바닥충격음 특성 (Characteristics of Impact Force and Floor Impact noise for Man Walking and Standard Impact Sources)

  • 박홍근;문대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24
    • /
    • 2014
  • 층간소음의 대부분의 원인이 아이들 뛰거나 발걸음으로 나타나고 있어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선행 연구로 층간소음의 주요 충격원인 보행 행위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성인 보행 충격력과 그에 따른 바닥충격음을 계측하여 보행하중이 바닥충격음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보행하중 중 발 뒤꿈치 충격력은 전체 충격하중을 주파수 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임펄스 형태의 하중으로 충격력은 뱅머신 또는 고무공보다 낮지만 1 차 영점(First zero)이 80Hz 정도로 높아 유효 가진 주파수 대역이 표준 중량충격원 보다 높았다. 구조물과 수음실의 고유모드 특성으로 인해 외부 충격에 대한 구조체 진동 및 음압의 공진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공진 성분이 포함되는 바닥충격음 레벨은 순수 충격력 특성인 보행 또는 표준 중량충격원의 옥타브 밴드 충격력 폭로레벨과는 전혀 다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코어벽체 거푸집 시스템 (Automatic Climbing System)

  • 문인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27-30
    • /
    • 2002
  • ACS(Automatic Climbing System) 거푸집은 당 현장에서 코어 월 철근 콘크리트 공사시 사용되는 대형 거푸집으로써 상대 플로우 잭에 의해 자동으로 1개 층씩 상승되는 시스템으로 안전난간 및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추락, 낙하재해에 대비하였으며 외부에 천막을 설치하여 비산먼지,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운영 중이다. (그림 1)은 ACS 거푸집의 구성을 나타내었다.(중략)

외부회전자형 BLDC 전동기의 소음원 규명 (Sound Source Investigation of Outer Rotor BLDC Motor)

  • 이창민;신영훈;문정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08-213
    • /
    • 2012
  • With great advancement of the automobile functions, environmental factors become important performances, especially noise. This paper investigates noise sources of outer rotor type BLDC motor using in the air-conditioner of the automobiles. To this end, this paper is analyzed two viewpoints, structural and electromagnetic causes. Structural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modal test and analysis. For modal analysis, 3D finite element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commercial program ansys. Electromagnetic causes are analyzed from local force that is computed by Maxwell stress tensor method. Local force excites structure of motor directly.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i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 between noise causes.

소선회 미니굴삭기 운전실 내부 및 외부 소음평가 (Estimation of Noise in and out the Cabin of Zero Tail Type Mini Excavator)

  • 이종호;이성일;김철호;박종성;손민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17-220
    • /
    • 2005
  • Zero tail type mini excavator is small in size and capacity compared with medium or large excavator. Therefore noise and heat problems are major issues in design due to layout of each components such as engine and hydraulic module. It is necessary to assure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in construction machine, due to be enforced regulation for high noise construction machinery at home and abroa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is apply to predict noise effect in detail design stage by estimating noise of cabin for zero tail type mini excav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