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래의료비 본인부담금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이중차이모델에 의한 건강보험 외래본인부담금 경감제도의 영향 분석 (Analyses of Impacts of the Outpatient Cost Sharing Reduction based on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 안이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87-197
    • /
    • 2013
  • 2007년 8월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6세 미만 어린이 외래환자에 대한 본인부담금 경감제도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본인부담금 경감제도가 시행된 2007년 8월을 기준으로 제도 시행 전인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와 제도 시행 후인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전후 1년 동안 외래진료 민감질환으로 외래를 방문한 6세 미만 환자들의 의료이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의료이용 변화는 제도 시행전후 외래 환자 수 증감율, 외래방문일수, 방문당 평균 진료비로 파악하였는데, 6~10세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중차이방법을 적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제도 시행 후 외래진료 민감질환으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는 대상군과 대조군 모두 증가하였는데, 특히 대상군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그러나, 대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제도 시행에 따른 외래방문일수와 방문당 외래진료비의 증감율은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고 그 차이 또한 적었다. 6세 미만 어린이 외래 본인부담 경감제도는 외래환자 수 증가라는 의료이용 변화를 가져왔으나, 실질적인 의료 접근성을 나타내는 외래방문일수, 방문당 평균 진료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도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료 접근성 향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제도홍보와 함께 소득계층별로 본인부담률을 상이하게 설계하는 등의 의료 취약계층에 초점을 둔 정책이 요구된다.

흡연에 의한 의료이용 및 의료비지출에 따른 사회적비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ocial Expenditure of Medical Care and Medical Expenditure by Smoking)

  • 유인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87-199
    • /
    • 2018
  • 본 연구는 2012년 한국의료패널자료의 보건의식행태에 응답한 만 18세 이상만으로 처리하였으며 전체 2,757명, 남자 2,614명(44.6%), 여자 143명(2.3%)으로 선정하였다. 흡연으로 의료이용 및 의료비지출 자료를 통하여 흡연자의 응급. 입원, 외래 의료이용횟수에 따른 의료비를 통하여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였다. 사회적비용은 보건경제학자인 Rice(1968)의 의해 정립된 사회적관점을 채택하여 의료이용에 따른 의료비와, 보험자(공단)비용, 본인부담금, 비급여, 생산성 비용을 합산하여 사회적비용을 산출하였다. 흡연상태별 연간 응급의료이용률은 인구 백명당 흡연자 7.5%, 이용횟수 9.8회 사회적비용은 809,003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흡연상태별 인구 백명당 연간 입원의료이용률은 인구 백명당 흡연자 9.6%, 이용횟수 9회, 사회적비용은 706,870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흡연상태별 연간 외래이용률은 흡연 68.6%, 연간의료이용건수는 9건, 사회적비용은 706,870원으로 나타났다.

상용치료원 보유여부가 고혈압 환자의 외래이용횟수 및 외래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Usual Source of Care on Outpatient Visit and Expense of Hypertension Patients)

  • 윤효정;최재우;이상아;박은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17
  • Purpose : Many studies showed that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improved the efficient access of healthcare service. However in Kore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usual source of care. So this study aims to find whether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affect the medical utilization and expense. Methodology/Approach : We used the Korean Health Panel data in 2012, 2013 to examine the change of utilization and expenses in ambulatory care affected by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We selected 1,215 hypertension patients without usual source of care in 2012 and perform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group(with usual source of care in 2013) and control group(without usual source of care in 2013). Then we performed analysis again separated by the age group. Findings : Among study population, 711(58.5%) reported that they have a usual source of care in 2013. Treatment group reported 1.85 less increase in outpatient visits and 69,234 won less increase in expense than control group with weak significance(visit ${\beta}$ -1.85 p-value 0.0807, expense ${\beta}$ -69,234 p-value 0.0541). People under the age of 65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outpatient visits for tertiary hospital (visit ${\beta}$ -0.78 p-value 0.0154, expense ${\beta}$ -91,462 p-value 0.0168). The analysis which focused outpatient for mild disease showed similar trend. Practical Implications : This study supports the positive effect of having usual source of care which decrease inefficient outpatient utilization. Promoting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 is important for efficiency of healthcare service.

당뇨병 질환자의 의료이용 및 직접의료비 연구 (The study of Health Care Utilization and Direct Medical Cost in the Diabetes Mellitus Client)

  • 유인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87-101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 질환자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를 통하여 직접의료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한국의료패널 총 5,434가구, 15,872명을 이용하여 만19세 이상 당뇨병 질환자는 8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응급의료이용, 입원의료이용, 외래의료이용에 대한 평균 의료비와 직접의료비(환자본인부담의료비+공단부담금+비급여본인부담금)를 구하였고, 년간총직접비용은 직접의료비에 당뇨병유병율(N)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 질환자의 100명당 평균 응급의료이용횟수는 1.98회 의료비, 총직접비용, 년간총직접비용은 85,942원, 447,359원, 363,255,508원이었고, 입원의료이용횟수는 5.6회 의료비, 총직접비용, 년간총직접비용은 772,240원, 4,061,982원 3,298,329,384원 이였으며, 외래의료이용횟수는 10회 의료비, 총직접비용, 년간총직접비용은 11,978원, 26,020원, 21,128,240원 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뇨병의 발생은 의료비증가와 직접의료비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가구 및 환자에 있어 큰 부담이며 삶의 질도 낮아질 것이다. 당뇨병 질환의 감소를 위한 식생활. 운동 혈당, 혈압 등의 조기진단과 예방을 위한 관리가 중요하다.